종합(시드니 주택 1).jpg

시드니 일부 지역에 있는 테라스 하우스는 한때 저소득층이 거주하는 주택으로 인식됐던 게 사실이다. 하지만 지금, 이 테라스 하우스 가격은 엄청난 가격에 거래되고 있다. 사진은 도심 인근 글리브(Glebe)의 테라스 주택.

 

전 세계 400여 도시 중 두 번째로 ‘내집 마련’ 어려워

 

꾸준히 치솟은 시드니 주택가격으로 인해 이제 시드니사이더들의 내집 마련 꿈이 요원해지고 있다는 문제는 최근의 일이 아니다.

실제로 전 세계 주요 도시 중산층의 수입을 대비, 주택가격과 비교한 결과 시드니는 최악으로 평가되는 홍콩에 이어 두 번째로 ‘적정한 주택가격’에서 멀어져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고 금주 화요일(24일) ABC 방송이 한 연례 조사 보고서를 인용, 보도했다.

시드니의 이 같은 상황은 호주를 비롯해 미국, 영국, 캐나다 등 9개 국가 400여개 이상 도시의 주택가격과 시민들의 수입을 비교한 연례 조사 ‘Annual Demographia International Housing Affordability Survey’ 보고서를 통해 드러난 것이다.

지난 1월19일(목) 사임을 발표한 마이크 베어드(Mike Baird) NSW 수상의 뒤를 이은 글래디스 베리지클리안(Gladys Berejiklian) 새 주 수상도 첫 미디어 컨퍼런스에서 적정 주택가격에 주목할 것임을 가장 먼저 밝혔다.

보고서는 ‘Median Multiple 지수’를 토대로 중산층 주택구입 능력 순위를 산출했다. ‘Median Multiple 지수’는 한 국가의 중산층 평균 연봉을 몇 년 동안 모아야 주택 구입이 가능한지를 나타내는 지수로, 주택 중간가격을 중산층 가구의 연간 소득으로 나눈 값이다.

이 점수가 5.1점 또는 그 이상에 해당될 경우 각 가정의 수입으로 현재의 주택가격을 감당하기에는 심각하게 어렵다는 것으로 평가된다.

이에 따르면 시드니만이 적정 가격의 주택 부족으로 골머리를 앓는 것이 아니었다. 주택가격이 적정하지 않은 상위 10대 도시에는 시드니 외 NSW 주 지방 소도시, 윙카리비(Wingcaribbee)와 트위드 헤드(Tweed Heads)가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시드니에서 남쪽으로 약 100킬로미터 거리에 위치한 윙카리비는 농촌 타운으로, 비교적 여유가 있고 오랜 역사를 가진 보랄(Bowral), 미타공(Mittagong), 모스베일(Moss Vale)이 포함된 지역이다.

또한 NSW 주의 주요 관광명소 중 하나로 퀸즐랜드(Queensland) 주 경계에 가까이 위치한 트위드 헤드 또한 비적정 주택가격 상위 10개 도시 중 여덟 번째에 이름을 올렸다.

이번 보고서의 공동 저자 중 하나인 휴 파블레티크(Hugh Pavletich)씨는 “시드니의 주택 문제는 아주 주목할 만한 사안”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중산층 가정 수입의 6배가 넘는 홍콩에 이어 시드니는 두 번째로 주택가격이 치솟아 있다”면서 “호주는 이 문제를 아주 심각하게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에 따르면 부동산 시장에서 주택가격은 가구 수입의 3배 또는 그 이하가 되어야 정상이다. 하지만 시드니는 수입 대비 주택가격이 무려 4배에 달한다.

파블레비크씨는 이어 “지방분권화가 이뤄지지 않은 것 또한 문제”라고 진단했다. NSW 주 인구는 770만 명에 달하는데, 이중 480만 명이 대도시 시드니에 몰려 있다.

“호주의 경우 지방분권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문제가 있으며, 이로 인해 각 주 정부와 지방정부가 제대로 비용을 통제하지 못하며 효과적인 인프라 재정 능력을 상실했다”는 것이다.

한편 NSW 주 야당인 노동당 루크 폴리(Luke Foley) 대표는 신임 베리지클리안 주 수상에게 적정 가격의 주택문제 해결을 모색하는 자리를 마련하자고 촉구했다.

 

■ 전 세계 도시별 비적정

주택가격 상위 10대 지역

종합(시드니 주택 2).jpg

-Source : Annual Demographia International Housing Affordability Survey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시드니 주택 1).jpg (File Size:79.5KB/Download:31)
  2. 종합(시드니 주택 2).jpg (File Size:43.1KB/Download:31)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057 호주 임대수익 위한 아파트 투자... 시드니 지역 상위 10개 추천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0.
1056 호주 광역시드니 4분의 1 이상 서버브 중간 주택가격, 200만 달러 넘어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0.
1055 호주 “신의 경지에 이른 예술의 최고봉... 많은 희망을 가져다주는 공연”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0.
1054 호주 NSW 주 정부, 시드니 하버 브릿지 완공 90년 기념 이벤트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0.
1053 호주 점토판 기록물에서 디지털 시대로... 인류 공공도서관의 놀라운 역사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0.
1052 호주 QLD 제2의 도시 골드코스트, 여전히 ‘Regional’로 간주되어야 하나...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0.
1051 호주 역사적 재난과의 비교를 통해 보는 COVID 팬데믹, 어떤 도움이 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0.
1050 호주 시드니의 ‘모기지 보증금’으로 ‘내집 마련’이 가능한 호주 내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7.
1049 호주 NSW 주 정부, 취약 지역사회 대상으로 추가 ‘COVID-19 자금 지원’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7.
1048 호주 피부암 일종인 '흑색종'에 의한 남성 사망 위험, 여성에 비해 두 배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7.
1047 호주 ‘Snow Medical Research Foundation’, 자금지원 대상서 멜번대 제외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7.
1046 호주 위글스 ‘라이크 어 버전’ 커버 시리즈 넘어선 아웃백 작곡가의 ‘아이 러브 유’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7.
1045 호주 NSW 주에서 첫 ‘일본뇌염’ 사망자 발생... 보건당국, ‘주의-예방조치’ 촉구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7.
1044 호주 NSW 주 보건부, ‘오미크론’ 하위 변이 ‘BA.2’ 감염 급증 경고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7.
1043 호주 ‘COVID-19 팬데믹’ 선포 2년... 잘못 알았던 것-주의해야 할 세 가지는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7.
1042 호주 팬데믹 이후의 새로운 직장문화, 업무 방식의 ‘초개인화’ 확산될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7.
1041 호주 연방정부, 새 회계연도 예산 계획 우선 과제는 높아진 ‘생활비 압박 완화’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7.
1040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1906년에 지어진 파이브덕 소재 주택, 353만 달러 낙찰 file 호주한국신문 22.03.24.
1039 호주 팬데믹 사태 이후 해외 부동산 구매자들, 시드니 소재 주택에 ‘주목’ file 호주한국신문 22.03.24.
1038 호주 ‘Beef Australia’ 이벤트, 호주 최대 관광산업상 시상서 최고의 영예 얻어 file 호주한국신문 22.0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