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트럭직업 1).jpg

화물을 운송하는 트럭운전 기사의 경우 호주에서 가장 치명적인 직업 중 하나로 조사됐다. 특히 이들의 경우 주 80시간 이상 일하는 경우도 허다해 안전에 문제가 많다는 지적이다.

 

매콰리대학교 조사... 10% 이상 주 80시간 노동 시달려

 

화물운송을 위한 트럭 운전이 호주에서 가장 치명적인 직업 중 하나로 나타났다.

최근 매콰리대학교 연구팀이 559명의 트럭운전 기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 결과 화물을 운송하는 트럭운전 기사들은 직업을 잃지 않기 위해 위험한 도로상에서 장시간 근무를 강요받고 있다는 조사 보고서가 나왔다.

지난 주 금요일(3일), 운송노동조합(Transport Workers' Union) 주최의 도로안전 회의에서 발표된 이번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트럭운전 기사의 10% 이상이 주 80시간 일을 하며 주 50시간 이상 일하는 이들도 82%에 달했다.

또 13%에 달하는, 8명의 운전기사 중 1명 이상은 안전하지 못한 근무 스케줄을 거부할 수 없었다는 답변이었다. 특히 이들 가운데 5명 중 1명은 주 80시간 또는 그 이상 근무를 해야 하는 실정이었다.

한 운전기사는 “장거리을 운행하는 트럭운전 기사들 대부분은 오랜 시간 고속도로를 달려야 하지만 실제 트럭운행 일지에는 기록되지 않는다”고 털어놓았다. 또 다른 기사는 “수많은 회사와 트럭 운전자들이 규칙을 어기고 위법행위를 모른 체 하고 있다”고 한탄했다.

이 같은 상황에서 트럭운전 기사의 3분 1은 “운송회사가 규정을 위반하고 있음에도 이에 동의했으며, 약 절반 정도는 회사에서 안전운행을 강요하는 것보다 더 많은 화물을 운송하는 것에 관심이 있다”는 답변이었다. 보다 많은 수입을 위해 장기 근무는 물론 안전하지 않은 업무 스케줄을 감수한다는 것이다.

자신의 트럭을 소유한 6명의 기사 중 1명은 안전을 고려하지 않은 화물운송 요구를 거부할 수 없다는 입장이었으며 42%는 일자리를 잃는 것이 두려워 안전하지 않은 업무 요구를 신고하지 못했다는 답변이었다.

이번 조사는 도로 상의 장거리 운행 트럭기사 휴게 장소에서 160명의 트럭운전 기사를 직접 대면 인터뷰했으며 온라인 설문을 통해 626명으로부터 답변을 받았다. 조사원들은 또한 21명의 화물운송 의뢰자를 인터뷰하는 한편 작업장의 건강 및 안전성 문헌을 검토했다.

조사를 실시한 매콰리대학교 미래노동력센터인 ‘Centre for Workforce Futures’의 루이스 손스웨이트(Louise Thornthwaite) 교수는 “이번 조사는 ‘피해자에게 책임을 돌리는’(blame the victim) 업계의 근무환경에 주목했다”면서 “최고 담당자에게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손스웨이트 교수와 함께 이번 조사 보고서를 작성한 NSW대학교 경영대학 샤론 오닐(Sharron O'Neill) 교수도 “이번 조사를 통해 도로운송 근로자들의 높은 사망률과 상해비율 이면의 위험 요소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종합(트럭직업 2).jpg

화물운송 업계의 구조상 트럭운전 기사의 경우 일자리를 잃는 것이 두려워 안전하지 못한 작업 스케줄을 거부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호주 전국 운송노조(TWU National)의 토니 쉘던(Tony Sheldon) 사무총장은 ‘Safe Work Australia’ 자료를 인용하면서 “지난해의 경우 호주 전체 작업장 사망자 가운데 3명 중 1명이 운송 관련 근무자로 나타났다”고 언급한 뒤 “매콰리대학교의 이번 조사 보고서는 화물운송 공급망에서 가장 하위에 있는 운전기사들에게 압박만 가할 뿐 책임을 지지 않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쉘던 사무총장은 이어 “안전을 우선시해야 하며 경험 많고 노련한 운전기사를 고용해야 함에도 이를 무시하고 안전을 생각하지 않는 화물운송 조직의 문제를 보여주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연방 정부가 도로안전을 위한 ‘Road Safety Remuneration Tribunal’를 폐지한 것이 안전 문제를 더 악화시켰다”고 지적하면서 “지난 2014년까지 10년 동안 2천500명의 화물트럭 운전기사 및 다른 차량 운전자들이 도로에서 목숨을 잃었다”고 덧붙였다.

매콰리대학교의 이번 조사는 또한 많은 트럭운전 기사들이 화물을 하역하거나 부두 등에서 기다리는 시간에 대한 비용은 보상받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도로 상의 사망 수치

(연도 : 제반 도로 사망자. 괄호 안은 차량사고 사망)

-2005년 : 1384(243)

-2006년 : 1350(248)

-2007년 : 1337(266)

-2008년 : 1197(240)

-2009년 : 1269(222)

-2010년 : 1128(224)

-2011년 : 1065(212)

-2012년 : 1053(247)

-2013년 : 1008(179)

-2014년 : 947(203)

-2015년 : 1010(195)

Source: Australian Road Deaths Database 2016

 

■ 유형별 상해보상 청구(비사망자)

-Muscular stress* : 34%(화물을 들어 올리거나 내리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근육 통증 문제)

-Falling** : 25%(화물칸에서 추락하는 사고)

-Hit by object : 10%(화물에 부딪쳐 발생하는 사고)

-Vehicle incident : 8%(자동차 관련 사고)

-Trapped : 6%(화물칸을 오르내리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사고)

-Other : 17%(기타)

Source: Safe Work Australia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트럭직업 1).jpg (File Size:31.2KB/Download:41)
  2. 종합(트럭직업 2).jpg (File Size:48.3KB/Download:31)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217 호주 NSW 주 COVID 방역 규정 위반 벌금, 시드니 서부-지방 지역서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22.03.03.
4216 호주 국제여행자 입국 완화 불구 호주 여행업계 ‘불안감’ 여전 file 호주한국신문 22.03.03.
4215 호주 호주 의약품 규제당국, COVID-19 예방치료제 승인 file 호주한국신문 22.03.03.
4214 호주 지난해의 ‘sea changes’ 바람... 주택거래 금액 가장 높았던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3.03.
4213 호주 해외 부동산 화제- 런던의 초소형 아파트, 온라인 경매서 9만 파운드 낙찰 file 호주한국신문 22.03.03.
4212 호주 ‘국가안보’를 무기로 한 집권당의 정치 공격 불구, 노동당 지지기반 ‘견고’ file 호주한국신문 22.02.24.
4211 호주 해외 출생 이민자, 호주 태생에 비해 COVID-19에 의한 사망 위험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22.02.24.
4210 호주 영국인들의 호주 여행에 대한 관심, 이전과는 사뭇 다르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2.24.
4209 호주 성별 임금격차 논란 지속되지만... 남성 급여, 여성보다 높을 가능성 ‘2배’ file 호주한국신문 22.02.24.
4208 호주 내년부터 호주 교육과정에 ‘동의 교육’ 추가, 연방-주 정부의 일치된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22.02.24.
4207 호주 새로운 저가 항공사 ‘Bonza Airlines’, 국내 지역 항공 서비스 발표 file 호주한국신문 22.02.24.
4206 호주 실내에서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 등 NSW COVID 제한 해제 file 호주한국신문 22.02.24.
4205 호주 CB City 카운슬의 '혁신적 지속가능성 프로그램' 인정받아 file 호주한국신문 22.02.24.
4204 호주 팜비치 거주자들, 주택 보유 만으로 지난해 177만 달러 불로소득 챙겨 file 호주한국신문 22.02.24.
4203 호주 호주에서 주택가격 가장 높은 일부 교외지역 중간 가격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2.24.
4202 호주 2021년 12월 분기 브리즈번 주택가격, 18년 만에 최고 성장률 기록 file 호주한국신문 22.02.24.
4201 호주 “노동당 알바니스 대표는 올해 총선에서 승리, 차기 총리에 오를 수 있을까”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7.
4200 호주 덴마크의 COVID-19 데이터, 팬데믹 사태의 끝을 보여준다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7.
4199 호주 COVID-19 예방주사, ‘완전 백신접종’ 대신 ‘최근 접종’ 용어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7.
4198 호주 20년 후 광역시드니 인구, 폭발적 증가 예상... 기반시설 압박 불가피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