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치매 1).jpg

치매 판정을 받고 57세의 나이로 은퇴를 결정해야만 했던 필 하젤(Phil Hazell)씨(사진). 그는 “치매의 원인 규명과 치료를 위한 연구에 정부 자금이 투입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관련 학회, “정부의 체계적 대책 마련으로 상당 비용 절감” 지적

 

안경제조 회사의 사업개발부 관리자인 필 하젤(Phil Hazell)씨는 올해로 57세가 되었지만 여전히 왕성하게 일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에 변함이 없었다. 그는 은퇴 후 아내 얀(Jan)씨와 함께 즐길 휴가를 대비해 더 오래 일을 하고자 했다.

하지만 그는 금주 월요일(13일) 일하던 직장에서 퇴직했다. 자신이 생각해도 너무 빠른 시기였지만, 의사의 조언과 회사 관계자와의 논의 끝에 어려운 결정을 내릴 수밖에 없었다고 고백했다. 하젤씨는 2년 전 조기치매를 진단받았다.

하젤씨는 “미래를 알 수 없어 매우 두렵다. 왜 하필 나란 말인가?”라고 절망하면서도 “치매의 원인 규명과 치료를 위한 연구에 자금이 투입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 아내와 안내견의 도움으로 지내고 있다.

현재 호주에는 40만 명 넘는 치매 환자가 있으며, 65세 이하의 조기 치매 환자는 2만5천명으로 추산된다. ‘알츠하이머 오스트레일리아’(Alzheimer's Australia)의 보고서에 따르면 호주에는 매일 244명의 치매 환자가 발생하고 있으며, 한 해 치매 환자로 인한 국가 지출 비용은 140억 달러 이상에 달한다고 금주 수요일(15일) 시드니 모닝헤럴드가 최근 보고서를 인용, 보도했다.

캔버라대학교 산하 국립 사회경제모델링센터(NATSEM)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만약 현 시점에서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을 경우 40년 안(2056년)에 치매 환자 수는 110만 명에 이를 것이며, 비용은 2배 이상이 불어나 360억에 이를 전망이다.

현재 호주 전체 치매 환자의 약 3분의 1만이 하젤씨와 같이 치료를 받고 있으며 10명 중 1명은 어떠한 도움도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NATSEM 의장이자 이번 보고서의 저자인 로리 브라운(Laurie Brown) 교수는 “치매는 국가적 위기”라며 신속한 해결방안을 촉구했다. 브라운 교수는 “2056년까지 호주는 전국적으로 치매노인보호센터에서 근무할 25만 명의 추가 인력과 지역사회 내에서 치매 환자를 돌볼 수 있는 52만5천명의 돌봄이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종합(치매 2).jpg

‘알츠하이머 오스트레일리아(Alzheimer's Australia)’의 NSW 주 최고 책임자 존 왓킨스(John Watkins)씨(사진)는 “중년기에 과체중인 경우 나이가 들어 치매에 걸릴 확률이 30%까지 높아지며, 비만인 경우 이는 두 배로 늘어난다”는 연구 결과에 대해 “상당히 높은 수치”며 놀라움을 표했다.

 

‘2016-2056년 호주 내 치매환자로 인한 경제적 비용’(The Economic Cost of Dementia in Australia 2016-2056)이라는 제목으로 발표된 NATSEM의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NSW 주에만 약 13만8,700명의 치매환자가 있다.

NSW 주 내 지역별 치매환자 분포도를 보면 마이얼 올레이크(Myall Lakes)에 가장 많았으며, 이어 트위드(Tweed), 포트 맥쿼리(Port Macquarie), 베가(Bega), 옥슬리(Oxley), 클라렌스(Clarence), 사우스 코스트(South Coast), 머레이 고울번(Murray Goulburn), 디 엔트런스(The Entrance) 순이었다.

브라운 교수는 “개인이 가진 위험요소에 따라서도 차이가 발생한다”고 말했다. 그에 따르면 중년기에 과체중인 경우 나이가 들어 치매에 걸릴 확률이 30%까지 높아지며, 비만인 경우 이는 두 배로 늘어난다.

‘알츠하이머 오스트레일리아’ NSW 주 최고 책임자인 존 왓킨스(John Watkins)씨는 이에 대해 “놀랄 만큼 높은 수치”라며, “치매 예방 분야는 앞으로 호주가 집중적으로 투자해야 하는 새로운 보건 서비스”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재무부는 치매의 심각성에 대한 이해가 아직 부족한 것 같다”고 우려했다. 이어 NATSEM 보고서를 인용, “올해 치매로 인한 국가적 지출은 직접비용(건강, 노인복지, 교통, 가사비)와 간접비용(임금 손실액)을 포함해 14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브라운 교수는 “하지만 이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2056년까지 65세 이상 치매환자 수가 5% 감소하게 되면 1천204억 달러를 절감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녀는 이어 “생활습관을 바로잡는 프로그램만 도입해도 치매를 예방할 수 있음은 물론 상당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왓킨스씨는 ‘알츠하이머 오스트레일리아’가 지속적으로 국가 치매예방 전략을 촉구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호주 연방 보건부 대변인에 따르면 정부는 2016-17년 동안 110억 달러의 예산을 노인복지 시설에 책정했다. 이 시설에 있는 노인들 중 50% 이상이 치매를 앓고 있다. 그는 이어 “다양한 치매 관련 상품 소비자들과 이 분야의 지원 프로그램들이 매년 5천만 달러 이상의 자금을 지원받았으며, 4년 넘게 치매 연구에만 2억 달러의 비용이 들어갔다”고 설명했다.

그녀는 이어 연방은 물론 각 주 및 테리토리 정부 사이의 합의문인 ‘2015-2019년 치매에 관한 국가 행동강령’(National Framework for Action on Dementia 2015-2019)을 통해 호주 정부는 ‘알츠하이머 오스트레일리아’가 밝힌 사항들을 모두 아우르는 국가 치매관리 전략을 세워가고 있다고 강조했다.

 

김진연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치매 1).jpg (File Size:49.7KB/Download:35)
  2. 종합(치매 2).jpg (File Size:18.3KB/Download:3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117 호주 만약 빠른 항원검사에서 COVID-19 양성 반응이 나타났다면... file 호주한국신문 22.01.20.
1116 호주 브리즈번 주택 임대료, 지난해 연간 성장률에서 모든 도시 ‘압도’ file 호주한국신문 22.01.27.
1115 호주 호주의 평균 소득자들, 어느 지역에서 주택구입 가능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2.01.27.
1114 호주 COVID-19 감염 차단의 필수품, 가장 좋은 안면 마스크는? file 호주한국신문 22.01.27.
1113 호주 팬데믹 상황 속에서도 ‘2020년 호주인 기대수명’ 0.7년 늘어나 file 호주한국신문 22.01.27.
1112 호주 ‘델타’ 변이 이후 호주 경제 회복세...일자리 붐으로 실업률 급락 file 호주한국신문 22.01.27.
1111 호주 세계보건기구, “COVID-19 극단적 단계는 올해 끝날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22.01.27.
1110 호주 COVID-19와 함께 한 호주의 2년... 감염자 1명에서 188만 9757명으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1.27.
1109 호주 COVID-19 감염 관리... 증상은 무엇이고 언제 진료를 받아야 하나 file 호주한국신문 22.01.27.
1108 호주 지난해 광역시드니 대부분 지역 주택가격, 최대 50%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22.02.03.
1107 호주 2021년 주택 구매자들의 수요가 가장 많았던 지역은 멜번 남동부 file 호주한국신문 22.02.03.
1106 호주 2021년도 호주 주택가격, 1980년대 이후 가장 큰 22% 상승률 기록 file 호주한국신문 22.02.03.
1105 호주 중국의 높은 관세 부과로 호주 와인산업, 10억 달러 규모의 시장 상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2.03.
1104 호주 호주 소비자들, 신용카드 지불 증가 속 현금 사용도 여전히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22.02.03.
1103 호주 COVID-19 관리... 감염 후 한 달 이내 재감염 가능성 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2.03.
1102 호주 NSW 주 정부, ‘오미크론’ 변이 확산 속 ‘방역지침’ 연장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2.03.
1101 호주 NSW 주 정부, ‘오미크론 영향 받은 기업 회생 패키지’ 10억 달러 준비 file 호주한국신문 22.02.03.
1100 호주 호주 중년 여성 21%, '폭음' 수준의 음주... 2001년 대비 거의 두 배 file 호주한국신문 22.02.03.
1099 호주 서부호주 ‘미저리 비치’, 호주정부관광청 선정 ‘2022 최고의 해변’에 file 호주한국신문 22.02.03.
1098 호주 코로나 바이러스... ‘오미크론’에서 파생된 새 변이 바이러스 출현 file 호주한국신문 22.0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