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학군 1).jpg

시드니 모닝 헤럴드 부동산 섹션인 ‘도메인’(Domain)의 ‘Domain School Zones Report’(2월7일 발표) 분석 결과 시드니 지역 유명 공립학교에 자려를 보내려면 일단 150만 달러를 지출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유명 학군 지역 주택가격 상승이 다른 지역에 비해 가파르기 때문이다.

 

페어팩스 미디어 분석, 명문 학군 주변 주택가격 200만 달러 넘어

 

자녀를 광역 시드니 소재 유명 공립학교에 보내려면 어느 정도의 비용이 소요될까? 사립학교처럼 연간 학비가 들지 않는다 해도 유명 공립학교 인근의 높아진 주택가격을 감안하면 최대 150만 달러가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지난 7일(화) 시드니 모닝 헤럴드 부동산 섹션인 ‘도메인’(Domain)이 내놓은 ‘Domain School Zones Report’ 결과(본지 1229호 보도)를 분석한 것으로, NSW 주의 대학입학 수능시험인 HSC 성적으로 순위를 매긴 시드니 지역 상위 20개 학교 주변 주택가격은 지난 한해에만 7%가 상승했으며, 특히 시드니 북부 노던 비치(Northern Beaches)가 포함된 맥켈라(Mackellar) 연방 선거구 지역, 스트라스필드(Strathfield), 윌로비(Willoughby) 등은 중간 주택가격이 200만 달러를 넘어섰다.

또한 시드니 지역 셀렉티브 스쿨(selective public school)아 아닌 공립학교 중 HSC 성적 기준 상위 학교인 켈튼햄 걸스(Cheltenham Girls) 인근의 주택가격은 지난 한 해 15.5%가 높아져 중간가격은 170만 달러에 달했다.

이번 분석에 따르면 뉴타운(Newtown), 카슬힐(Castle Hill), 버우드 걸스(Burwood Girls) 등 상위 20개 학교 소재의, 중간 주택가격이 비교적 낮은 지역도 시드니 전체 평균가격보다 높은 137만 달러를 기록했다.

전 호주 생산성위원회(Productivity Commission) 경제학자이자 현재 공교육 자문기구인 ‘Save Our Schools’를 운영하는 트레버 콥볼드(Trevor Cobbold)씨는 “높은 주택가격은 부유한 가정 자녀의 교육적 혜택을 더욱 공고하게 한다”고 지적했다.

콥볼드씨는 “부유층 지역의 학교들이 사회경제적으로 다소 뒤쳐진 지역 학교들보다 교육에 더 많은 가치를 보태고 있는지, 아니면 높은 (HSC) 시험 결과가 부유한 가정 학생들의 높은 집중력 때문인지에 대해서는 의문을 들게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유명 학교에 입학하기 위해 200만 달러를 지출하는 것은 자녀의 좋은 성적을 기대하기보다는 부유한 또래 집단과 사귈 수 있는 기회를 만드는 게 가능하다”면서 “부유하거나 소득이 높은 가정의 학생들은 부모가 제공하는 혜택으로 인해 다른 학교에서도 좋은 성적을 만들어낼 수 있다”고 주장했다.

‘도메인’의 이번 분석에는 시드니 지역 상위 학교 주변 주택 임대료도 포함됐다. 첼튼햄(Cheltenham), 체리부룩(Cherrybrook), 킬라라(Killara) 지역은 높은 주택가격에 비해 일반주택 주(week) 임대료가 700~850달러로 비교적 낮은(?) 편이었다.

부동산 중개회사인 ‘Belle Property Killara’ 사의 제프 딘(Geoff Dean)씨는 “지난 10여년 사이 자녀 교육에 신경 쓰는 중국계 학부모들이 킬라라(Killara) 지역으로 대거 이주했다"고 전했다.

“유명 공립학교인 킬라라 하이스쿨(Killara High) 인근의 주택을 구입하는 중국계 학부모들은 거래가격에 기꺼이 웃돈을 지불하고 있다”고 언급한 그는

“이 지역으로 이주하는 가정은 확실히 자녀 교육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고 있으며, 이 때문에 자녀가 열심히 공부하도록 독려하고 추가로 사설학원에도 보내고 있다”며 “이들 학교가 좋은 성적을 거두는 것은 이 때문”이라고 풀이했다.

킬라라에 거주하는 제임스 곽(James Kwok)씨는 6년 전 두 자녀와 함게 이 지역으로 이주했다. 현재 곽씨의 두 자녀는 11, 12학년 학생들이다. 그는 “이 지역에 좋은 학교가 있어 행복하다”며 “두 자녀도 좋은 학업수준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자신과 마찬가지로) 자녀를 좋은 학교에 입학시키고자 이 지역으로 이주한 또 다른 가정을 알고 있다”는 그는 “이런 가정이 더욱 늘어나고 있다”며 “부동산 에이전트를 통하지 않고 직접 나에게 찾아와 주택을 판매할 용의가 없는지 묻는 이들도 계속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자녀의 초등학교 입학부터 고려해 좋은 공립학교 지역에 주거지를 마련하는 젊은 부부들도 늘어나고 있다. 시드니 지역 최고의 퍼블릭(public. 초등학교)로 평가된 뉴트럴베이(Neutral Bay)를 비롯해 버클루즈(Vaucluse), 세인트 피터스(St Peters) 지역 주택가격은 지난 한해 무려 26%가 올랐다. 이 지역에 주거지를 마련하는 이들은 좋은 초등학교를 마치고 인근 유명 하이스쿨에 자녀를 진학시키고자하는 이들이다.

크리스 퀘베도(Chris Quevedo)씨와 아내 루시(Lucy)씨는 지난해 4살 된 아들 조슈아(Joshua)의 학교 입학을 고려, 136만5천 달러를 들여 피터샴(Petersham)에 주택을 구입했다. 이 지역에는 좋은 공립 및 사립, 가톨릭 학교들이 집중되어 있어 학교를 선택할 수 있기 때문이었다.

퀘베도씨 부부는 “이곳 학교들의 순위가 높은 편이고 또 여러 학교들 경계에 주택이 자리해 어느 학교든 아이를 입학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학군 1).jpg (File Size:28.7KB/Download:29)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217 호주 NSW 주 COVID 방역 규정 위반 벌금, 시드니 서부-지방 지역서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22.03.03.
4216 호주 국제여행자 입국 완화 불구 호주 여행업계 ‘불안감’ 여전 file 호주한국신문 22.03.03.
4215 호주 호주 의약품 규제당국, COVID-19 예방치료제 승인 file 호주한국신문 22.03.03.
4214 호주 지난해의 ‘sea changes’ 바람... 주택거래 금액 가장 높았던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3.03.
4213 호주 해외 부동산 화제- 런던의 초소형 아파트, 온라인 경매서 9만 파운드 낙찰 file 호주한국신문 22.03.03.
4212 호주 ‘국가안보’를 무기로 한 집권당의 정치 공격 불구, 노동당 지지기반 ‘견고’ file 호주한국신문 22.02.24.
4211 호주 해외 출생 이민자, 호주 태생에 비해 COVID-19에 의한 사망 위험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22.02.24.
4210 호주 영국인들의 호주 여행에 대한 관심, 이전과는 사뭇 다르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2.24.
4209 호주 성별 임금격차 논란 지속되지만... 남성 급여, 여성보다 높을 가능성 ‘2배’ file 호주한국신문 22.02.24.
4208 호주 내년부터 호주 교육과정에 ‘동의 교육’ 추가, 연방-주 정부의 일치된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22.02.24.
4207 호주 새로운 저가 항공사 ‘Bonza Airlines’, 국내 지역 항공 서비스 발표 file 호주한국신문 22.02.24.
4206 호주 실내에서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 등 NSW COVID 제한 해제 file 호주한국신문 22.02.24.
4205 호주 CB City 카운슬의 '혁신적 지속가능성 프로그램' 인정받아 file 호주한국신문 22.02.24.
4204 호주 팜비치 거주자들, 주택 보유 만으로 지난해 177만 달러 불로소득 챙겨 file 호주한국신문 22.02.24.
4203 호주 호주에서 주택가격 가장 높은 일부 교외지역 중간 가격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2.24.
4202 호주 2021년 12월 분기 브리즈번 주택가격, 18년 만에 최고 성장률 기록 file 호주한국신문 22.02.24.
4201 호주 “노동당 알바니스 대표는 올해 총선에서 승리, 차기 총리에 오를 수 있을까”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7.
4200 호주 덴마크의 COVID-19 데이터, 팬데믹 사태의 끝을 보여준다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7.
4199 호주 COVID-19 예방주사, ‘완전 백신접종’ 대신 ‘최근 접종’ 용어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7.
4198 호주 20년 후 광역시드니 인구, 폭발적 증가 예상... 기반시설 압박 불가피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