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직업교육 1).jpg

NSW 정부가 직업교육 보조금 프로그램 ‘스마트 스킬’(Smart and Skilled) 최소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한 학교 17곳에 보조금 지급을 중단 선언했다. 호주 최대 사립 교육기관 중 하나인 ‘커리어 오스트레일리아’(Careers Australia. 사진)는 ‘비양심적 행위’ 혐의를 받고 4천400만 달러를 반환해야 했다.

 

프로그램 미달 등 이유... 3천여 장애학생 학업 위기

 

NSW 주 정부가 직업교육 보조금 프로그램인 ‘스마트 스킬’(Smart and Skilled)의 최소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한 17개 학교에 보조금 지급을 중단하겠다고 발표하면서 3천명이 넘는 장애학생들이 학업을 중단해야 할 위기에 처했다.

주 정부의 이 같은 조치에 NSW 전역 직업교육 기관에서 경영학, 창고업, 소매업을 공부하는 장애학생 수천 명의 미래가 불투명해졌다고 금주 화요일(21일) 시드니 모닝 헤럴드가 보도했다.

이번 보조금 삭감으로 운영이 중단된 학교 명단은 공개되지 않았으며, 정부는 실질적으로 보조금이 끊기기 전까지는 학생과 학부모들에게 알리지 않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NSW 주 산업부(Department of Industry) 대변인은 최근 한 인터뷰를 통해 “해당 학교가 공개되면 학생들이 불필요한 걱정에 시달리게 될 것”이라며 명단을 공개하지 않는 이유를 설명했다.

현재까지 몇몇 학교는 이미 최소 기준 미달로 보조금이 중단돼 장애학생 500명 이상이 수업을 받지 못하고 있는 상태이다.

‘셀루나’(Seluna)와 국제 교육-트레이닝 서비스 센터(Intern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Services. IETA), 호주 최대 사립 교육기관 중 하나인 ‘커리어 오스트레일리아’(Careers Australia)도 이번 조치의 대상 학교에 포함돼 유아교육과 노인복지 과정 수료증(certificates)에 따른 보조금을 박탈당하게 됐다.

‘셀루나’와 IETA는 모두 학생들의 수업이 시작했다는 증명서도 없이 정부로부터 납세자 보조금(taxpayer funding)을 지원받아 이번 조치의 대상이 됐다.

‘커리어 오스트레일리아’의 경우 정부로부터 학생 2만 명에 해당하는 보조금 1억9천만 달러를 지원받았으나 지난해 부적절한 교육과 스마트스킬 프로그램 기준 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했다는 이유로 ‘비양심적 행위’라는 혐의를 받고 4천400만 달러를 반환해야 했다. 이 때문에 저소득층 지역이나 먼 외딴 지방 지역 대부분의 학생들이 수천 달러의 채무를 떠안아야 하는 신세가 됐다.

 

종합(직업교육 2).jpg

NSW 야당인 노동당의 루크 폴리(Luke Foley) 대표. 주 정부에 정부 보조금 삭감으로 운영이 금지된 학교 명단을 공개하라고 촉구했다.

 

이와 관련, 루크 폴리(Luke Foley) 노동당 대표는 글래디스 배리지클리안(Gladys Berejiklian) NSW 주 수상과 존 바릴라로(John Barilaro) 부수상에게 ‘정보공개 자유법’(FOI, Freedom of Information)에 근거, “운영이 금지된 학교 명단을 공개하라”고 촉구했다.

한편 공공 교육기관인 TAFE에는 2012년 이래 장애학생 1만4,567명이 입학했다. TAFE는 3월부터 주요 시스템 점검에 착수하고 사이버 안보, 로봇 강의, 새 기업가 양성 프로그램을 개설하면서 또한 교육과 병원을 겸비한 노인복지 센터를 캠퍼스에 설립한다는 계획이다.

NSW 교사 연맹(NSW Teachers Federation)에 따르면 지난 5년간 5천 개 이상의 직업이 사라졌다. TAFE의 이번 새 계획을 맡은 존 블랙(Jon Black) 대표는 “수습기간을 수료한 학생 수를 2019년까지 65%로 늘리는 것이 목표”라고 포부를 밝혔다.

 

김진연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직업교육 1).jpg (File Size:51.3KB/Download:32)
  2. 종합(직업교육 2).jpg (File Size:40.0KB/Download:31)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097 호주 ‘누가 무엇을 얻는가’의 논쟁... 호주 명예훈장 시스템의 놀라운 역사 file 호주한국신문 22.02.03.
1096 호주 시드니의 ‘sea and tree changers’, 지방지역 주택가격 상승 주도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0.
1095 호주 ‘코어로직’의 1월 주택 관련 자료를 통해 전망하는 올해 주택시장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0.
1094 호주 2021년도, 가장 높은 주택가격 성장을 기록한 5개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0.
1093 호주 팬데믹으로 인한 록다운 기간 중 호주인 맥주 소비량, 크게 감소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0.
1092 호주 팬데믹 이후 퀸즐랜드 주 ‘노인학대 헬프라인’ 신고, 거의 32%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0.
1091 호주 캔터베리 뱅스타운 카운슬, 세계적 수준의 야외 음악회 준비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0.
1090 호주 “우리 지역 스몰비즈니스 지원을 위해 더 많은 일을 하고자 한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0.
1089 호주 백신자문그룹, 16-17세 청소년 대상으로 ‘화이자 백신’ 추가접종 승인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0.
1088 호주 국경 완화 이후 국제학생 입국 증가... 업계, “더 많은 유학생 유치해야”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0.
1087 호주 검고 시퍼런 멍으로 묘사한 인종차별과 회복력에 대한 이야기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0.
1086 호주 시드니 거주자들이 느끼는 주택 압박감, 뉴욕-런던 시민보다 크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0.
1085 호주 호주, 2월 21일부터 각국 여행자에 검역 절차 없이 입국 허용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0.
1084 호주 “올해는 코로나 바이러스 재조정의 해가 될 것...” 전염병 전문가들 진단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0.
1083 호주 광역시드니 중간 주택가격 160만 달러... 성장세는 둔화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7.
1082 호주 ‘워킹 홀리데이’ 비자 신청 및 발급 급증에도 농장 노동력 부족 여전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7.
1081 호주 호주의 각국 여행자 입국 허용... Here's who can travel, and when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7.
1080 호주 20년 후 광역시드니 인구, 폭발적 증가 예상... 기반시설 압박 불가피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7.
1079 호주 COVID-19 예방주사, ‘완전 백신접종’ 대신 ‘최근 접종’ 용어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7.
1078 호주 덴마크의 COVID-19 데이터, 팬데믹 사태의 끝을 보여준다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