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남녀임금격차 2).jpg

커틴 대학교 경제사회연구기관인 ‘뱅크웨스트 커틴경제센터’(Bankwest Curtin Economics Centre)와 정부의 직장 내 성 평등 기구인 ‘Workplace Gender Equality Agency’ 공동조사 결과 기업 내 임원급(senior executives) 여성 비율이 10% 이상 증가하면 남녀 임금격차가 줄어질 수 있지만, 관리자급(management) 여성이 80% 이상을 차지하게 되면 임금격차는 오히려 늘어나는 것으로 진단됐다.

 

BCEC-WREA 공동 조사... 남성 인력 ‘품절’로 몸값 상승

 

직장 내 관리자급 여성 비율이 높아질수록 남녀 임금격차가 더 커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금주 목요일(2일) 시드니 모닝 헤럴드는 커틴대학교 경제사회연구 기관인 ‘뱅크웨스트 커틴경제센터’(Bankwest Curtin Economics Centre. BCEC)와 정부의 직장 내 성 평등 기구인 ‘Workplace Gender Equality Agency’(WGEA)가 공동 조사, 발표한 새 자료를 인용, 임원급(senior executives) 여성의 비율이 10% 이상 증가하면 남녀 임금격차가 줄어질 수 있지만, 관리자급(management) 여성이 80% 이상을 차지하게 되면 격차는 오히려 늘어난다고 전했다.

이번 보고서는 ‘Gender Equity Insights 2017: Inside Australia's Gender Pay Gap’라는 제목으로 12만개 이상의 기업에 종사하는 400만 명의 직원을 대상으로 한 조사연구 결과로, 직장 내 관리자급에 여성이 80% 이상을 차지하게 되면 남녀 임금격차는 8~17% 늘어난다고 분석했다.

이번 보고서의 저자인 BCEC의 레베카 카셀스(Rebecca Cassells) 연구원은 “여성 인력이 많은 직장에서도 여성은 평균임금이 낮은 경우가 많으며, 관리자급에 여성이 대부분을 차지한다고 할지라도 남녀 임금격차는 여전히 발생한다”고 말했다. “여성이 많을수록 남성 인력이 귀해져 이들을 맹목적으로 필요로 하게 되고, 임금을 더 주어서라도 이들을 고용하려고 하는 경향이 발생하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보고서는 이어 “이 같은 현상은 남성이 관리자의 위치에 있어야 한다는 무의식적 편견과 틀에 박힌 사고방식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측된다”고 덧붙였다.

카셀스 연구원은 “이번 연구 결과는 직장 내에서 여성과 남성에게 주어지는 업무와 가치 평가에 차이가 있음을 여실히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보고서의 공동저자인 알란 던컨(Alan Duncan) 교수는 “그간 남녀 임금격차가 줄어든 것은 일부 기업의 임원급에 여성 인력이 늘어났기 때문”이라며 “이번 보고서가 이를 반증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카셀스 연구원은 “남여 임금격차는 경제 불황을 반영한다”고 말했다. “남성은 여성보다 광산 또는 건설 등의 직종에 근무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직업들이 남녀 임금격차의 주범”이라고 설명했다. 경제가 호전되면 이 분야 직종의 수요가 많아지게 되고, 남녀 임금격차가 커지는 반면, 경제가 악화되면 반대로 남성에 대한 수요가 적어져 임금격차가 줄어들게 된다는 설명이다.

그는 “따라서 남녀간 임금 차이가 이런 순환구조에서 벗어났을 때만이 진정한 사회 구조적 변화가 일어나고 임금평등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보고서와 관련, WGEA의 리비 라이언스(Libby Lyons) 대표는 “남녀 인력을 균형 있게 활용하는 직장이 많아져야 임금격차를 줄일 수 있다”면서 “여성과 남성의 업무에 관한 편견을 버리고 사회, 경제적 어려움을 극복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진연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남녀임금격차 2).jpg (File Size:22.6KB/Download:8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097 호주 ‘누가 무엇을 얻는가’의 논쟁... 호주 명예훈장 시스템의 놀라운 역사 file 호주한국신문 22.02.03.
1096 호주 시드니의 ‘sea and tree changers’, 지방지역 주택가격 상승 주도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0.
1095 호주 ‘코어로직’의 1월 주택 관련 자료를 통해 전망하는 올해 주택시장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0.
1094 호주 2021년도, 가장 높은 주택가격 성장을 기록한 5개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0.
1093 호주 팬데믹으로 인한 록다운 기간 중 호주인 맥주 소비량, 크게 감소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0.
1092 호주 팬데믹 이후 퀸즐랜드 주 ‘노인학대 헬프라인’ 신고, 거의 32%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0.
1091 호주 캔터베리 뱅스타운 카운슬, 세계적 수준의 야외 음악회 준비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0.
1090 호주 “우리 지역 스몰비즈니스 지원을 위해 더 많은 일을 하고자 한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0.
1089 호주 백신자문그룹, 16-17세 청소년 대상으로 ‘화이자 백신’ 추가접종 승인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0.
1088 호주 국경 완화 이후 국제학생 입국 증가... 업계, “더 많은 유학생 유치해야”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0.
1087 호주 검고 시퍼런 멍으로 묘사한 인종차별과 회복력에 대한 이야기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0.
1086 호주 시드니 거주자들이 느끼는 주택 압박감, 뉴욕-런던 시민보다 크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0.
1085 호주 호주, 2월 21일부터 각국 여행자에 검역 절차 없이 입국 허용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0.
1084 호주 “올해는 코로나 바이러스 재조정의 해가 될 것...” 전염병 전문가들 진단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0.
1083 호주 광역시드니 중간 주택가격 160만 달러... 성장세는 둔화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7.
1082 호주 ‘워킹 홀리데이’ 비자 신청 및 발급 급증에도 농장 노동력 부족 여전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7.
1081 호주 호주의 각국 여행자 입국 허용... Here's who can travel, and when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7.
1080 호주 20년 후 광역시드니 인구, 폭발적 증가 예상... 기반시설 압박 불가피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7.
1079 호주 COVID-19 예방주사, ‘완전 백신접종’ 대신 ‘최근 접종’ 용어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7.
1078 호주 덴마크의 COVID-19 데이터, 팬데믹 사태의 끝을 보여준다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