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시드니 경제).jpg

지난 회계연도(2015-16년) 광역 시드니 3개 통계 지역(statistical region)이 호주 전체 GDP 생산의 24%를 차지한 것으로 집계, 여전히 시드니가 호주 국가 경제를 선도하는 것으로 진단됐다. 사진은 노스 시드니에서 바라본 하버 풍경.

 

2015-16 회계연도... 금융-IT-연구 등 고부가 가치 산업 집중

 

지난 2013-14, 2014-15 회계연도, 시드니 지역의 GDP 성장이 호주 국가 경제를 선도한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지난 회계연도(2015-16년)에도 주요 회사들이 밀집된 시드니 도심(inner City)의 ‘job hubs power’가 다른 주를 크게 앞질러 호주 경제성장의 4분의 1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주 화요일(28일) 시드니 모닝 헤럴드는 이날 발표된 한 보고서를 통해 각 지역별 경제성과에서 큰 변동이 나타난 것으로 분석됐다고 전했다.

이 보고서는 경제 관련 컨설팅 회사인 ‘SGS Economics and Planning’이 내놓은 것으로, 이에 따르면 시드니 CBD(Central Business District)와 이너노던 지역들(inner northern suburbs) 및 라이드(Ryde) 등 3개 지역(region)이 지난 회계연도(2015-16년) 호주 국내총생산(gross domestic product)에서 차지한 지분은 24%에 달했다.

광역 시드니 북서부의 매콰리 파크(Macquarie Park)에서 시드니 CBD를 거쳐 킹스포드 스미스(Kingsford Smith) 공항에 이르는 이 세 지역은 그야말로 시드니의 ‘글로벌 경제 통로’(global economic corridor)로 일컫는 곳이다.

금융, IT, 전문 서비스, 엔지니어링, 조사연구, 보건, 마케팅, 미디어 등 수많은 고부가 가치의 지식기반 산업이 이 세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또한 인근인 버큼힐스(Baulkham Hills)와 혹스베리(Hawkesbury) 또한 지난 회계연도 강한 성장을 보인 것으로 나타나 주목을 끌었다.

이번 보고서의 저자인 ‘SGS’의 테리 론슬리(Terry Rawnsley) 경제학자는 “시드니의 건축 및 금융산업이 상당한 성과를 보였다”면서 “특히 이너시드니 지역은 광역 시드니뿐 아니라 국가 경제를 선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빅토리아(Victoria) 주 멜번 도심(Inner Melbourne) 또한 호주 전체 GDP 성장의 11.4%에 이르는 높은 성과를 보인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보고서는 광산업 경기가 최고조에 이를 당시 나타났던 특정 지역 편중의 성장 차이가 두드러지고 있다고 경고했다.

시드니와 달리 NSW 주 지방을 5개 통계 지구(five statistical districts)로 구분해 비교하면, 지난 회계연도 시드니 도심 지역의 두드러진 경지 활황과 달리 리베리나(Riverina. -0.6%), 머리(Murray. -0.5%, 중앙 내륙인 센트럴 웨스트(Central West. -0.3%)는 마이너스 성장을 보였다.

서부 시드니(Western Sydney)의 경우 지난 회계연도 GDP 성장을 기록했으나 이 지역 제조업의 지속적 감소로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진단됐다. 2015-16년 광역 시드니의 제조업 비중은 전체 산업 가운데 5.7%에 불과해 웨스턴 시드니의 경제적 어려움은 더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 회계연도 광역 시드니에서 낮은 성장률을 보인 지역으로는 파라마타(Parramatta. 2.3%), 시드니 서부 외곽(Outer West. 2.5%), 남서부(South West. 2.5%)로 나타났다.

론슬리 경제학자는 “이 같은 지역별 성장 불균형은 호주 중앙은행(RBA) 입장에서 상당한 과제”라고 말했다. “RBA는 시드니와 멜번의 경제 활황 지속을 유지해 나가는 가운데 그 외 지역의 경제성장을 끌어올리지 못하는 난관에 봉착해 있다”는 게 그의 진단이다.

론슬리 경제학자는 이어 “만약 RBA가 시드니 지역만을 대상으로 기준금리를 설정한다면 현재 호주 공식 금리인 1.5%가 아니라 3.75%가 되어야 할 것”으로 추정했다.

시드니 지역의 경제 활황에는 지난 4년여 이어지고 있는, 낮은 기준금리로 부동산 가격이 크게 상승한 부분도 큰 힘이 됐다.

이번 보고서는 시드니와 멜번의 10개 통계 지역(statistical region)이 호주 전체 GDP의 절반을 차지했음을 보여주고 있다. 캔버라(Canberra)와 브리즈번 도심(inner-Brisbane)의 통계지역 또한 GDP 성장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국가 경제를 이끌었던 서부 호주(Western Australia) 통계지역별 광산업은 2015-16년 호주 전체 GDP 중 6.5%에 머물렀다. 또 호주 내륙 중앙, 북부 호주(Northern Territory) 레이크 맥케이(Lake Mackay) 인근 보웬 베이슨(Bowen Basin) 석탄광산의 GDP 비율은 2%였다.

 

■ 시드니 통계지역별 GDP 성장률

(2015-16 회계연도, %)

-Baulkham Hills & Hawkesbury : 5.9%

-Central Coast : 4.5%

-Northern Beaches : 4.7%

-North Sydney and Hornsby : 5.5%

-Ryde :6.0%

-Inner West : 4.2%

-Parramatta : 2.3%

-Blacktown : 2.8%

-Outer West and Bluemountains : 2.5%

-South West : 2.5%

-City and Inner South : 4.8%

-Inner South West : 2.9%

-South West : 2.5%

-Sutherland : 4.0%

-Outer South West : 2.6%

Source: SGS Economics and Planning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시드니 경제).jpg (File Size:46.0KB/Download:50)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197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1830년대 코티지, 잠정가서 45만 달러 넘겨 file 호주한국신문 17.02.23.
4196 호주 올해부터 뱅스타운 라인 ‘싱글덱’ 공사 시작돼 file 호주한국신문 17.02.23.
4195 호주 모스만 소재 주택, 올해 첫 ‘double-digit’ 가격 거래 file 호주한국신문 17.02.23.
4194 호주 NSW 주 정부, 부적절 직업학교에 보조금 중단 file 호주한국신문 17.02.23.
4193 호주 주택융자 ‘Deposit’ 없이 ‘내집 마련’ 가능할까 file 호주한국신문 17.02.23.
4192 호주 호주 중앙은행, ‘10달러’ 새 디자인 지폐 공개 file 호주한국신문 17.02.23.
4191 호주 NSW 정부, IT 공무원직에 457 비자 소지자 고용 file 호주한국신문 17.02.23.
4190 호주 시드니 주택 임대료, ‘전 세계 상위 10대 도시’에 file 호주한국신문 17.02.23.
4189 호주 NSW 주 정부, 파라마타 경전철 관련 16개 역 제안 file 호주한국신문 17.02.23.
4188 호주 Four things Australia could do to tackle the obesity crisis file 호주한국신문 17.02.23.
4187 호주 뉴타운, 진보적 경향 강하고 라켐바는 비관적 성향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17.02.23.
4186 호주 낙찰률 80%... 2월 경매 통한 주택거래 ‘기록’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2.
4185 호주 “여성에 대한 폭력, 시작할 때 막읍시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2.
4184 호주 호주 대도시 소재 대학 학생 증가, 시드니는 예외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2.
4183 호주 관리자급 여성 늘어날수록 남녀 임금격차 커져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2.
4182 호주 대학교 교내 성폭력 은폐, ‘솜방망이’ 처벌 논란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2.
4181 호주 NSW 교육표준청, 12학년 필수 과목서 소설 및 시 제외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2.
» 호주 시드니 3개 지역, 호주 전체 GDP 성장 24% 기여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2.
4179 호주 Top 10 best cycling trips in Australia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2.
4178 호주 서리힐 주택판매자, 부동산 시장 강세로 큰 이득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