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OECD 경고).jpg

최근 공개된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보고서는 호주의 새로운 경지침체와 부동산 가격 하락세를 예고, 주목을 끌고 있다. 특히 가계부채가 사상 최대를 기록하면서 이로 인한 여파가 다른 경제 분야에까지 뻗칠 것이라는 경고이다. 사진은 시드니 주택시장을 보여주는 표지판.

 

가계부채 사상 최대... 다른 경제 분야로 영향 확대

 

시드니를 중심으로 호주 주택 가격과 가계부채가 전례 없는 수준으로 치닫고 있는 가운데, OECD(경제협력개발기구)가 호주의 경기 침체기를 예고하고 부동산 가격의 하락세를 경고했다고 지난주 금요일(3일) 시드니 모닝 헤럴드가 보도했다.

OECD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호주 주택 가격이 1990년대 이후 250% 상승했으며, 이는 특히 시드니에 거주를 원하는 첫 주택구입자들에게 큰 부담이 되고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보고서는 “투자자와 일반 구매자의 주택 소유에 대한 수요가 결합되어 상승된 시장 가격은 이제 하락 조짐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다른 경제 분야에까지 뻗어나갈 것”이라고 우려했다.

OECD의 이번 보고서는 주택 가격을 좌우하는 주요인에 대해 “외국인 구매자가 아니라 지역 투자자들과 주택 구매자들”이라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이어 “시장은 경제 변화에 민감해 주택 가격이 불안정해지면 투자자들은 양도소득에 대한 확신을 상실하게 되어 투자를 꺼리게 된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주택 수요 및 가격 하락이 거시경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시드니 지역 주택 가격은 계속 상승하고 있다. 최근 3개월 동안에만도 4.5%가 오른 것으로 집계되었으며, 지난 한 해 동안 상승폭은 18.4%에 달했다. 멜번의 경우 최근 3개월간 5.5% 상승한 것을 포함해 지난 1년간의 상승폭은 13.1%였다. 이런 가운데 호주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 또한 123%가 높아져 전 세계 세 번째를 기록했다.

OCED는 또한 조만간 호주 경제에 영향을 미치게 될 또 다른 요인도 도사리고 있다고 언급하면서, 가장 큰 두 요소로 철광석과 석탄 가격 하락을 꼽았다. 이는 실업률을 증가시켜 급격한 소비 위축을 가져오고, 주택담보 대출 스트레스를 상승시키며 결국 주택 가격을 떨어뜨린다는 것이다.

시드니 모닝 헤럴드는 그러나 “아직 정부 예산은 우려할 만한 수준은 아니다”고 분석했다. 호주의 정부 부채(gross government debt)는 국내총생산(GDP)의 44%로,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에 머물러 국가 경제적 충격을 상당 부분 완화시킴은 물론 성장을 촉진할만한 충분한 예산을 보유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그러나 호주 신용자산관리국(Australian Prudential Regulation Authority)의 웨인 바이어스(Wayne Byers) 국장은 “은행들 사이의 경쟁으로 대출이 확대됐다”고 우려했다. 그는 “가계소득 성장이 둔화되고 있는 상태에서, 이는 이미 높은 가계부채 수준을 더욱 높이고 있다”며 “주택금융 비용 또한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 현 상태에 안주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이런 가운데 OECD 보고서는 법인세를 인하하고 부동산 인지세를 대신해 토지세를 활용할 것을 제안했다.

한편 보고서는 탄소 배출권 거래제도(an emissions intensity trading scheme)에 대한 지지를 표명하고, 토니 애보트(Tony Abbott) 전 수상의 기후변화 정책인 ‘직접행동 계획’(Direct Action Plan)에서 목표로 하는 탄소 배출량 이상을 제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OECD는 이번 보고서를 위해 관련국 정부 관료들과 대대적인 논의 및 호주 재무부 고위 관계자들과의 협상을 거쳐 조사를 준비하고, 파리 소재 OECD 본사에 설문조사를 배치했다. 2017년 최종 보고서는 지난 1월3일 완료됐지만 평소보다 늦은 시기에 공개됐다. OECD 보고서는 과거 네 번에 걸쳐 호주의 경기침체를 예고한 바 있으며, 이는 모두 적중했다.

 

김진연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OECD 경고).jpg (File Size:56.3KB/Download:27)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117 호주 만약 빠른 항원검사에서 COVID-19 양성 반응이 나타났다면... file 호주한국신문 22.01.20.
1116 호주 브리즈번 주택 임대료, 지난해 연간 성장률에서 모든 도시 ‘압도’ file 호주한국신문 22.01.27.
1115 호주 호주의 평균 소득자들, 어느 지역에서 주택구입 가능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2.01.27.
1114 호주 COVID-19 감염 차단의 필수품, 가장 좋은 안면 마스크는? file 호주한국신문 22.01.27.
1113 호주 팬데믹 상황 속에서도 ‘2020년 호주인 기대수명’ 0.7년 늘어나 file 호주한국신문 22.01.27.
1112 호주 ‘델타’ 변이 이후 호주 경제 회복세...일자리 붐으로 실업률 급락 file 호주한국신문 22.01.27.
1111 호주 세계보건기구, “COVID-19 극단적 단계는 올해 끝날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22.01.27.
1110 호주 COVID-19와 함께 한 호주의 2년... 감염자 1명에서 188만 9757명으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1.27.
1109 호주 COVID-19 감염 관리... 증상은 무엇이고 언제 진료를 받아야 하나 file 호주한국신문 22.01.27.
1108 호주 지난해 광역시드니 대부분 지역 주택가격, 최대 50%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22.02.03.
1107 호주 2021년 주택 구매자들의 수요가 가장 많았던 지역은 멜번 남동부 file 호주한국신문 22.02.03.
1106 호주 2021년도 호주 주택가격, 1980년대 이후 가장 큰 22% 상승률 기록 file 호주한국신문 22.02.03.
1105 호주 중국의 높은 관세 부과로 호주 와인산업, 10억 달러 규모의 시장 상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2.03.
1104 호주 호주 소비자들, 신용카드 지불 증가 속 현금 사용도 여전히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22.02.03.
1103 호주 COVID-19 관리... 감염 후 한 달 이내 재감염 가능성 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2.03.
1102 호주 NSW 주 정부, ‘오미크론’ 변이 확산 속 ‘방역지침’ 연장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2.03.
1101 호주 NSW 주 정부, ‘오미크론 영향 받은 기업 회생 패키지’ 10억 달러 준비 file 호주한국신문 22.02.03.
1100 호주 호주 중년 여성 21%, '폭음' 수준의 음주... 2001년 대비 거의 두 배 file 호주한국신문 22.02.03.
1099 호주 서부호주 ‘미저리 비치’, 호주정부관광청 선정 ‘2022 최고의 해변’에 file 호주한국신문 22.02.03.
1098 호주 코로나 바이러스... ‘오미크론’에서 파생된 새 변이 바이러스 출현 file 호주한국신문 22.0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