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은퇴비용 1).jpg

은퇴 이후 시드니에서 여생을 보내려 하는 이들에게 필요한 노후자금은 얼마일까. 퇴직연금 관련 기관이 분석한 바에 따르면 임대 주택에서 거주해야 하는 싱글 은퇴자는 최소 100만 달러를 저축해 두어야 한다.

 

‘Retirement Standard’ 보고서, ‘임대주택’ 은퇴자 비용 크게 높아

 

은퇴 후 시드니에서 안정적으로 노후생활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얼마가 필요할까?

최근 수년 사이 엄청나게 치솟은 주택 가격에 힘입어 임대료 또한 크게 높아진 상황에서, 시드니사이더(SYdneysider)가 은퇴 이후 자기 소유가 아닌 임대주택에서 노후를 보낼 경우 100만 달러 이상이 필요할 것이라는 새 연구 보고서가 나왔다.

금주 화요일(14일), 시드니 모닝 헤럴드 부동산 섹션인 ‘도메인’(Domain)이 ‘Association of Superannuation Funds of Australia’(ASFA)의 ‘Retirement Standard’ 보고서를 인용해 보도한 바에 따르면, 지난 12월 기준으로 은퇴자 1명이 시드니 소재 1개 침실 유닛을 임대해 거주하는 비용은 연간 6만2,434달러였다.

또 은퇴한 커플이 2개 침실 유닛에서 거주할 경우, 연간 비용은 7만9,801달러로 분석됐다.

임대 주택에 거주하는 은퇴자의 연간 비용은, 자기 소유 주택에 사는 싱글 은퇴자 4만3,300달러, 커플의 경우 5만9,600달러가 소요되는 것과 크게 비교된다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종합(은퇴비용 2).jpg

임대주택에서 거주해야 하는 퇴직자의 노후비용이 자기 소유 주택을 가진 이들에 비해 상당히 높은 것은, 시드니의 치솟은 주택 가격과 이에 병행해 진행된 임대료 상승에서 기인한다. 사진은 해변을 산책하는 한 은퇴자 부부.

 

‘ASFA’의 대표직을 맡고 있는 마틴 파이(Martin Fahy) 박사는 이 같은 분석을 기반으로 “시드니에서 여생을 보낼 계획인 싱글 은퇴자는 노후자금으로 104만 달러에서 116만 달러의 퇴직연금을 비축해 놓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자기 소유 주택을 갖고 있는 싱글 은퇴자의 필요 노후 자금이 54만5천 달러, 커플의 경우 64만 달러인 점과 비교하면 상당히 많은 퇴직연금이 필요한 셈이다.

파이 박사는 “많은 호주인들에게 있어 저렴한 주택과 가용성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면서 우려도 커지고 있다”며 “민간 임대주택을 구해야 하는 노년층에게는 특히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라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파이 박사는 “9.5%에 이르는 현재의 의무적인 퇴직연금 적립은 은퇴 후 임대주택에서 노후를 보내야 하는 이들의 안락한 생활기준을 충족시키기에는 상당히 부족한 실정”이라고 말했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은퇴비용 1).jpg (File Size:62.1KB/Download:35)
  2. 종합(은퇴비용 2).jpg (File Size:47.9KB/Download:44)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137 호주 문 대통령의 호주 방문을 보는 호주 전문가들의 시각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1136 호주 빅토리아 주 St Andrews Beach, 올해 주택가격 상승폭 가장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21.12.23.
1135 호주 시드니 지역 경매 낙찰률 다소 하락, 주택가격도 떨어질까... file 호주한국신문 21.12.23.
1134 호주 NSW-Victoria, ‘오미크론’으로 일시 중단됐던 입국자 규제 철회 file 호주한국신문 21.12.23.
1133 호주 매일 일정량의 요구르트 복용, 고혈압 관리 필수 식품 될 수 있을 듯 file 호주한국신문 21.12.23.
1132 호주 “우리 모두 일상으로 돌아가고 2022년에도 안전을 유지할 수 있을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1.12.23.
1131 호주 지난 10년 사이 NSW 공공 부문 성별 임금격차 크게 벌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21.12.23.
1130 호주 아만다 로리, ‘마일즈 프랭클린’이어 ‘Prime Minister's Literary Award’까지 file 호주한국신문 21.12.23.
1129 호주 COVID-19 백신접종... 바이러스 장기 질환 위험, 과연 줄여줄까 file 호주한국신문 21.12.23.
1128 호주 ‘Australia's Welfare 2021’… 전염병 사태에서의 호주 복지 수준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12.23.
1127 호주 NSW 주 모바일 과속 단속 카메라 벌금, 지난 12개월 동안 4천만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21.12.23.
1126 호주 취임 두 달 맞는 NSW 주 페로테트 주 총리, 주요 내각 개편 단행 file 호주한국신문 21.12.23.
1125 호주 오미크론 변이 중증은 백신으로 보호, 확산은 계속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21.12.23.
1124 호주 팬데믹 상황에서도 호황 이어갔던 호주 부동산 시장, 올해 전망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1.20.
1123 호주 연방 내각, 감염자 밀접 접촉자 격리면제 범위 확대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1.20.
1122 호주 ‘Services Australia’의 ‘팬데믹 병가 지원금’, 수혜 대상은 누구? file 호주한국신문 22.01.20.
1121 호주 기록적인 COVID-19 환자 입원 수치 불구, 감염자의 심각한 위험성은 감소 file 호주한국신문 22.01.20.
1120 호주 연방정부, 호주입국 국제학생-백패커에게 비자 수수료 환불 제안 file 호주한국신문 22.01.20.
1119 호주 기후변화 지속... 호주인들, 영상 50도의 위험한 폭염에 익숙해져야 file 호주한국신문 22.01.20.
1118 호주 감추어져 있던 호주의 흑역사... “호주 역사서를 업데이트할 시간” file 호주한국신문 22.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