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감정집계 도구 1).jpg

호주 과학연구기관인 CSIRO(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가 개발한 ‘We Feel’은 트위터에 게시된 단어를 통해 현 상태의 사람들 감정을 실시간 분석하는 세계 최초의 도구로, 특정 지역 사람들의 우울증 위험 등을 파악하는 데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We Feel’은 세계 여성의 날(3월8일. 사진), 호주 여성들의 크게 기뻐하는 감정을 잡아냈다.

 

세계 최초 감정상태 모니터링 도구, CSIRO의 ‘We Feel’ 기능은...

 

‘3월의 후줄근한 비는 정말 괴로워. 그렇지? 하지만 지난 2월의 무더위보다는 낫지, 안 그래?’

특정 주어진 시간에 사람들이 느끼는 감정 상태가 어떠한지 즉각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 설문조사는 사람들이 과거의 어느 한 시점에서 어떤 기분을 느꼈는지, 각각의 기억에 의존하게 마련이다.

금주 월요일(20일) 시드니 모닝 헤럴드는 어떤 상황에 대해 동의하거나 그렇지 않거나, 또는 어떤 기분을 느끼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감정 상태 모니터링 도구를 소개, 눈길을 끌었다.

연방정부의 과학연구 기구인 CSIRO(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가 개발한 ‘We Feel’은 트위터에 게시된 단어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사람들의 감정을 모니터링 하는 도구로, 어떤 특정 상황에 대해 사람들이 느끼는 감정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CSIRO의 ‘We Feel’은 지난 주 3일 연속 비가 내리는 것에 대해 시드니 사람들이 지난 2월의 혹독한 열풍에 비해 더 낫다는 감정을 표출했음을 확인했다.

‘We Feel’의 분석을 보면, 지난 주 수요일부터 금요일(8-10일)까지 3일간 연속 비가 내린 것에 대해 시드니사이더들이 영문으로 트위트한 ‘기쁨’의 감정은 15.42%로, 지난 2월9일부터 11일까지 3일 연속 엄청난 열풍이 발생했던 당시(섭씨 41도까지 오름)의 11.47%보다 높았다.

‘We Feel’이 분석한 내용을 보면, 시드니사이더들은 비가 내리는 것보다 열풍으로 인한 더위에 더 괴로운 감정을 드러냈다. 지독한 열풍에 짜증스러움을 표출한 트위터 비율은 1.15%인 반면, 계속 비가 내리는 것에 괴로움을 나타낸 1.07%로 분석된 것이다.

신문은 “지난 2월과 3월 사이, 기후로 인한 사람들의 감정 차이는 ‘We Feel’이라는 감정 파악 도구 시스템의 관리상 과장된 부분이 있을 수도 있지만 전반적인 패턴은 분명해 보인다”고 전했다.

CSIRO의 디지털 및 데이터 혁신 연구그룹인 ‘Data61’의 세실 패리스(Cecile Paris) 수석 연구원은 “할 수만 있다는 우리는 전국의 사람들이 현 상황에서 느끼는 감정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싶었다”면서 ‘We Feel’ 개발 배경을 설명했다.

 

종합(감정집계 도구 2).jpg

‘We Feel’을 통해 올 들어 호주인들이 트위터를 통해 ‘슬픔’을 표현하는 단어를 가장 많이 사용한 날은 도널드 트럼프(사진) 취임 날(1월20일)이었다.

 

패리스 연구원은 이어 “우리는 ‘We Feel’을 통해 우울증을 겪을 위험이 높은 지역, 그리고 그 지역의 분위기나 감정이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파악할 수 있기를 바란다”면서 “또한 사람들의 감정이 매일, 또는 한 주간의 날씨, 심각한 재앙이나 경기침체 뉴스와 같은 사회-경제적, 환경적 요인에 따라 얼마나 자극을 받는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시드니 소재 정신질환 연구-예방 연구기관으로 이번 프로젝트를 공동 진행한 ‘The Black Dog Institute’는 감정의 파급과 동기를 더욱 잘 파악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 이 도구를 활용하고 있다. ‘We Feel’은 분당 트위터에 게시되는 4만5천개의 단어를 처리할 수 있다. 그 결과는 실시간으로 시각화되어 자유롭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We Feel’이 선보인 후 올 들어 시드니사이더들이 가장 큰 ‘기쁨’를 표현한 날은 신년 첫 날인 ‘New Year's Day’ 그리고 3월8일 세계 여성의 날(International Women's Day)이었다. 이날 호주와 뉴질랜드 여성들은 남성에 비해 ‘happy’, ‘great’, ‘good’, ‘proud’, ‘strong’, ‘smart’, ‘successful’이라는 단어를 더욱 많이 사용했다. 특히 호주 여성들은 전 세계 여성들이 같은 감정을 표현한 단어사용 비율 14.45%보다 높은 20.09%를 보였다.

반면 트위터를 통해 호주인들이 올해 가장 큰 슬픔을 표현한 날은 지난 1월20일로, 미국 도널드 트럼프의 대통령 취임에 서글픔을 나타냈으며, 곧이어 1월29일 트럼프가 전 세계 7개 무슬림 국가 출신들의 미국 입국을 금지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한 날, 가장 큰 분노를 드러낸 것으로 나타났다.

 

■ 트위터를 통해 드러난

시드니 사람들의 감정 상태

-Happiest tweets : 3월8일 세계 여성의 날 / 16.22%

-Saddest tweets : 1월20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 / 3.56%

-Angriest tweets : 1월29일 전 세계 7개 무슬림 국가의 입국금지 행정명령 / 1.17%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감정집계 도구 1).jpg (File Size:69.2KB/Download:25)
  2. 종합(감정집계 도구 2).jpg (File Size:32.3KB/Download:23)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137 호주 문 대통령의 호주 방문을 보는 호주 전문가들의 시각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1136 호주 빅토리아 주 St Andrews Beach, 올해 주택가격 상승폭 가장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21.12.23.
1135 호주 시드니 지역 경매 낙찰률 다소 하락, 주택가격도 떨어질까... file 호주한국신문 21.12.23.
1134 호주 NSW-Victoria, ‘오미크론’으로 일시 중단됐던 입국자 규제 철회 file 호주한국신문 21.12.23.
1133 호주 매일 일정량의 요구르트 복용, 고혈압 관리 필수 식품 될 수 있을 듯 file 호주한국신문 21.12.23.
1132 호주 “우리 모두 일상으로 돌아가고 2022년에도 안전을 유지할 수 있을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1.12.23.
1131 호주 지난 10년 사이 NSW 공공 부문 성별 임금격차 크게 벌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21.12.23.
1130 호주 아만다 로리, ‘마일즈 프랭클린’이어 ‘Prime Minister's Literary Award’까지 file 호주한국신문 21.12.23.
1129 호주 COVID-19 백신접종... 바이러스 장기 질환 위험, 과연 줄여줄까 file 호주한국신문 21.12.23.
1128 호주 ‘Australia's Welfare 2021’… 전염병 사태에서의 호주 복지 수준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12.23.
1127 호주 NSW 주 모바일 과속 단속 카메라 벌금, 지난 12개월 동안 4천만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21.12.23.
1126 호주 취임 두 달 맞는 NSW 주 페로테트 주 총리, 주요 내각 개편 단행 file 호주한국신문 21.12.23.
1125 호주 오미크론 변이 중증은 백신으로 보호, 확산은 계속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21.12.23.
1124 호주 팬데믹 상황에서도 호황 이어갔던 호주 부동산 시장, 올해 전망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1.20.
1123 호주 연방 내각, 감염자 밀접 접촉자 격리면제 범위 확대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1.20.
1122 호주 ‘Services Australia’의 ‘팬데믹 병가 지원금’, 수혜 대상은 누구? file 호주한국신문 22.01.20.
1121 호주 기록적인 COVID-19 환자 입원 수치 불구, 감염자의 심각한 위험성은 감소 file 호주한국신문 22.01.20.
1120 호주 연방정부, 호주입국 국제학생-백패커에게 비자 수수료 환불 제안 file 호주한국신문 22.01.20.
1119 호주 기후변화 지속... 호주인들, 영상 50도의 위험한 폭염에 익숙해져야 file 호주한국신문 22.01.20.
1118 호주 감추어져 있던 호주의 흑역사... “호주 역사서를 업데이트할 시간” file 호주한국신문 22.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