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여권파워).jpg

글로벌 이민 법무법인인 영국 기반의 ‘Henley & Partners’가 집계한 ‘Powerfull passport’ 순위(무비자 입국 가능 국가 수 기준)에서 독일이 176개국으로 1위에, 호주와 한국은 170개국으로 23번째를 차지했다.

 

독일, 176개국으로 가장 많아... 국가별 여행자유 수준 큰 차이

 

전 세계에서 가장 ‘파워풀’(powerfull)한 여권은 어느 국가일까?

사전 입국 지자 취득 없이(visa-free) 여권 하나만으로 입국이 가능한 국가 수를 기준으로 볼 때, 가장 ‘파워풀 한 여권’은 독일이었다. 아울러 호주는 무비자 입국 가능 국가가 지난해에 비해 1개국 늘어 170개 국가였으며, 한국 여권 또한 전 세계 170개 국가로 비자 없이 입국이 가능한 ‘Powerful Passport’ 국가였다.

영국 기반의 글로벌 이민 법무법인인 ‘Henley & Partners’가 지난 주 발표한 무비자 입국 가능 국가 순위에서 독일은 전 세계 218개국 가운데 비자 없이 176개 국가로 입국이 가능하며 스웨덴이 175개 국가로 뒤를 이었다.

지난 2015년에 비해 독일은 무비자 입국 가능 국가가 3개국 더 늘어난 것이며, 반면 당시 독일과 함께 가장 ‘파워풀 여권’을 자랑했던 영국은 173개국 그대로였으며, 순위에서는 8위에 랭크됐다.

지난 2년 사이 여러 국가들이 무비자 협정을 체결함으로서 비자 없이 입국 가능한 국가가 늘어난 데 다른 것으로, 덴마크 핀란드 이탈리아 스페인 미국이 174개국으로 늘어났다. 영국은 오스트리아 벨기에 프랑스 룩셈부르그 네덜란드 노르웨이 싱가포르와 같은 순위(8위)였으며, 아일랜드 뉴질랜드 일본이 172개국으로 16위, 캐나다 그리스 포르투갈 스위가 171개국(19위), 호주와 한국 170개국(23위), 그리고 아이슬랜드가 169개국으로 25번째였다.

지난해 비자 없이 입국 가능한 국가가 169개국이었던 호주는 ‘Henley & Partners’의 ‘2016 Powerfull passport’ 발표 이후 벨라루스(Belarus)와 비자면제 프로그램을 체결, 한국과 같은 무비자 입국 가능 국가 수를 갖게 됐다.

한편 이번 집계 결과 시리아 이라크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은 비자면제 협정 체결국가 수가 30개 국가에 못미쳤다.

올해 가장 큰 변동은 페루(Peru)였다. 페루 여권으로 비자 없이 입국 가능한 국가는 15개국으로 늘었으며 마셜군도(Marshall Islands), 솔로몬 아일랜드(Solomon Islands), 미크로네시아(Micronesia), 키리바티(Kiribati), 투발루(Tuvalu)도 각 9개 국가가 추가됐다. 2016년에는 통가(+16개국), 팔라우(+20), 콜롬비아(+25), 티모르 레스테(Timor-Leste. 동 티모르. +33)의 무비자 협정 국가가 크게 증가한 바 있다.

그런 반면 지난해 브라질, 중국, 인도, 남아공, 러시아, 가나는 무비자 협정 국가가 줄어들었다.

Henley & Partners’ 사의 크리스티안 칼린(Christian H. Kälin) 박사는 올해 “국가별 무비자 입국 수는 각 나라의 여행 자유 수준이 큰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각 국가간 비자면제 프로그램은 해외 입국자에게 비자를 요구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해당 국가와의 관계, 외교-안보 문제, 비자규정 위반 사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다”고 설명했다.

 

■ 전 세계 25 ‘Powerful passport’

(무비자 입국 가능 국가 기준)

1. Germany, 176개국

2. Sweden, 175개국

3. Denmark, Finland, Italy, Spain, United States, 174개국

8. Austria, Belgium, France, Luxembourg, Netherlands, Norway, Singapore, United Kingdom, 173개국

16. Ireland, Japan, New Zealand, 172개국

19. Canada, Greece, Portugal, Switzerland, 171개국

23. Australia, South Korea, 170개국

25. Iceland, 169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여권파워).jpg (File Size:62.0KB/Download:28)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157 호주 ATAGI, ‘오미크론 변이’ 긴장 속 “부스터 프로그램 변경 계획 없다”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1156 호주 의약품 규제 당국, 성인 대상 부스터샷으로 모더나 백신도 승인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1155 호주 TGA, 5-11세 어린이 대상 COVID-19 백신접종 ‘잠정 승인’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1154 호주 타스마니아 북부 도시 론세스톤, 유네스코의 ‘미식가 도시’에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1153 호주 바이러스가 돌연변이를 일으키는 이유, ‘오미크론’이 지금 나온 배경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1152 호주 5연임 이어가는 시드니 시티 클로버 무어 시장, ‘기후 문제’ 주력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1151 호주 “개발도상국의 백신접근 어려움... 오미크론으로 큰 문제 야기될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1150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알렉산드리아 테라스 주택, 어렵게 낙찰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1149 호주 지난 달 시드니-멜번 주택 경매 중간 낙찰가, 전월대비 하락했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1148 호주 팬데믹 상황에서도 주택가격 상승 지속 이유는 ‘백신에 대한 믿음’ 때문...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1147 호주 호주 각 도시 임대주택 공실률, 지난 수년 사이 가장 낮은 수준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1146 호주 ‘COVID 부스터샷’, “오미크론 변이로부터 보다 강한 보호 가능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1145 호주 베레지클리안 전 NSW 주 총리, 연방 모리슨 총리 ‘구애’ 사양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1144 호주 2차 접종 후 부스터샷 기간 5개월로 앞당겨, 오미크론 확산 대비 차원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1143 호주 연방 재무장관, “호주경제 회복 중... 오미크론에 과민반응 자제” 촉구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1142 호주 5-11세 어린이 COVID-19 백신, 내년 1월 초부터 접종 시작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1141 호주 NSW 주, ‘Small Business Fees and Charge Rebate’ 2천 달러까지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1140 호주 NSW 주 ‘COVID-19’ 제한 규정, 15일부터 3단계 완화로 전환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1139 호주 상위 ‘금수저’들이 재학 중인 NSW 주의 사립학교는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1138 호주 ‘알파’에서 ‘오미크론’까지... COVID-19 변이 바이러스 명칭과 특성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