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카운슬합병 1).jpg

쿠링가이(Ku-ring-gai) 카운슬이 혼스비 카운슬(Hornsby Council)과의 강제 통합에 문제가 있다고 제기한 항소심에서 NSW 고등법원이 ‘절차상의 공정성 위반’을 이유로 쿠링가이 카운슬 손을 들어 줌으로써 주 정부의 다른 카운슬 합병에도 차질이 예상된다. 사진은 합병 반대를 제기하는 또 다른 카운슬인 헌터스 힐(Hunters Hill)의 리차드 퀸(Richard Quinn) 시장(맨 앞).

 

‘합병 절차 공정성 위반’ 이유로, 타 지방의회 합병에 제동 걸릴 듯

 

쿠링가이(Ku-ring-gai) 카운슬이 혼스비(Hornsby) 카운슬과의 통합과 관련한 항소심에서 승소했다.

금주 월요일(27일) ABC 방송에 따르면, NSW 주 고등법원은 쿠링가이 카운슬과 혼스비 카운슬의 통합 과정에 강제성이 있었다고 인정, ‘절차상 공정성 위반’으로 원고인 쿠링가이 카운슬의 손을 들어주었다. 이번 고등법원 판결로 NSW 주 정부의 지방의회 개혁에도 제동이 걸릴 전망이다.

법원은 이번 판결에서 “NSW 주 지방정부부(Department of Local Government)는 혼스비 카운슬이 통합될 경우 발생할 사태와 이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쿠링가이 카운슬의 제니퍼 앤더슨(Jennifer Anderson) 시장은 “쿠링가이 주민들의 세금이 두 카운슬의 통합 과정에서 도둑맞게 될 위기에 있다”며 주 정부의 강제 합병에 분명한 반대의사를 표명해 왔으며, 이번 법원 결정에 안도와 기쁨을 드러냈다.

앤더슨 시장 및 카운슬 직원들은 “이번 판결에 따른 NSW 주 정부의 추후 행보를 지켜볼 것”이라며 “글래디스 베레지클리안(Gladys Berejiklian) 주 수상, 가브리엘 업튼(Gabrielle Upton) 지자체 장관과 함께 회의를 열어 강제 합병에 대한 반대의견을 다시 한 번 피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시드니 지역 카운슬

합병 계획도 차질 전망

 

베레지클리안 주 수상 취임 이후 NSW 주 정부는 마이크 베어드(Mike Baird) 전 주 수상의 카운슬 합병안을 거부했다. 다만 강제 합병 소송 전쟁이 진행 중인 시드니 지역 5건의 합병안에 한해 재판에서 패소하지 않는 한 계획대로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지난해 9월 토지환경법원(NSW Land and Environment Court)에는 윌로비(Willoughby) 시티 카운슬로의 강제 합병에 반대하는 모스만(Mosman)과 노스 시드니(North Sydney) 카운슬의 항소심, 버우드(Burwood)와 캐나다 베이(Canada Bay)의 합병에 반대하는 스트라스 필드(Strathfield) 카운슬의 항소심이 제출된 바 있다.

티모시 무어(Timothy Moore) 재판장은 “합병을 진행할 법적인 근거가 없다”고 판결했다. 베어드 주 수상 당시 지방자치부를 맡았던 폴 툴(Paul Toole) 전 장관도 이 합병들은 지방정부법(Local Government Act)에 명시된 11개의 조항 중 2개 부분을 위반한다며, 법원의 판결에 지지의사를 밝혔다. 이에 따라 카운슬 통폐합 공방은 지역대표들의 검토와 추가 조사를 거치게 될 것으로 보인다.

 

김진연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카운슬합병 1).jpg (File Size:99.3KB/Download:27)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157 호주 ATAGI, ‘오미크론 변이’ 긴장 속 “부스터 프로그램 변경 계획 없다”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1156 호주 의약품 규제 당국, 성인 대상 부스터샷으로 모더나 백신도 승인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1155 호주 TGA, 5-11세 어린이 대상 COVID-19 백신접종 ‘잠정 승인’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1154 호주 타스마니아 북부 도시 론세스톤, 유네스코의 ‘미식가 도시’에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1153 호주 바이러스가 돌연변이를 일으키는 이유, ‘오미크론’이 지금 나온 배경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1152 호주 5연임 이어가는 시드니 시티 클로버 무어 시장, ‘기후 문제’ 주력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1151 호주 “개발도상국의 백신접근 어려움... 오미크론으로 큰 문제 야기될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1150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알렉산드리아 테라스 주택, 어렵게 낙찰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1149 호주 지난 달 시드니-멜번 주택 경매 중간 낙찰가, 전월대비 하락했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1148 호주 팬데믹 상황에서도 주택가격 상승 지속 이유는 ‘백신에 대한 믿음’ 때문...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1147 호주 호주 각 도시 임대주택 공실률, 지난 수년 사이 가장 낮은 수준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1146 호주 ‘COVID 부스터샷’, “오미크론 변이로부터 보다 강한 보호 가능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1145 호주 베레지클리안 전 NSW 주 총리, 연방 모리슨 총리 ‘구애’ 사양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1144 호주 2차 접종 후 부스터샷 기간 5개월로 앞당겨, 오미크론 확산 대비 차원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1143 호주 연방 재무장관, “호주경제 회복 중... 오미크론에 과민반응 자제” 촉구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1142 호주 5-11세 어린이 COVID-19 백신, 내년 1월 초부터 접종 시작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1141 호주 NSW 주, ‘Small Business Fees and Charge Rebate’ 2천 달러까지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1140 호주 NSW 주 ‘COVID-19’ 제한 규정, 15일부터 3단계 완화로 전환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1139 호주 상위 ‘금수저’들이 재학 중인 NSW 주의 사립학교는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1138 호주 ‘알파’에서 ‘오미크론’까지... COVID-19 변이 바이러스 명칭과 특성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