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경매 1).jpg

4월 첫주 주말경매(1일)에서 화제가 된 주택 중 하나인 라이카트(Leichhardt) 소재 엘스윅 스트리트(Elswick Street) 상의 코너블록 주택. 246.6스퀘어미터의 작은 부지임에도 이 주택은 161만 달러라는 높은 가격에 낙찰됐다.

 

경매시장의 투자자 매입 ‘활발’, 4월 첫주 경매낙찰률 81.3%

 

시드니 도심 인근 지역 주택의 투자자 매입이 여전히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4월 첫주 경매가 진행된 지난 토요일(1일), 라이카트(Leichhardt) 소재의, 개조하지 않은 채 매물로 나온 오래된 주택이 161만 달러에 낙찰돼 화제를 모았다.

이는 잠정가격에서 21만 달러가 오른 금액이었다.

이날 저녁, 부동산 분석회사 ‘도메인 그룹’(Domain Group)에 따르면 매물로 등록된 800채의 주택 가운데 562채의 거래가 성사돼 경매 낙찰률은 81.3%로 집계됐다.

이 회사 수석 경제학자 앤드류 윌슨(Andrew Wilson) 박사는 “4월이 시작되는 첫날 시작된 경매이지만 거래 성사를 보여주는 낙찰률은 여전히 80% 이상을 이어갔다”면서 “다만 이전 주에 비해 매물로 등록된 주택 수는 다소 감소했다”고 말했다.

라이카트 소재 엘스윅 스트리트(Elswick Street) 상의 이 주택은 전체 246.6스퀘어미터의 작은 부지에 있는 3개 침실(1개 욕실) 주택이었지만 잠정가격은 140만 달러로 책정됐다.

10명이 입찰한 가운데 시작된 경매는 이들 중 5명이 적극적으로 가격제시를 이어가 5만 달러씩 높아지기 시작했으며, 잠정가격인 140만 달러를 금세 넘긴 후 크로눌라(Cronulla)에 거주하는 한 투자자에게 낙찰됐다.

이 주택을 낙찰받은 해니 이브라힘(Hany Ibrahim)씨는 “라이카트 중심가인 노턴 스트리트(Norton Street) 상의 상가와 레스토랑 등에 가깝고 코너 블록에 위치하며 라이카트 주택 가운데 더블 가라지가 있어 이 주택에 투자하기로 결정했다”며 기쁨을 드러냈다.

이브라힘씨는 “만약 이 주택이 조금 더 먼 거리에 있었다면 크게 흥미를 느끼지 못했을 것”이라며 “지난 20여년 동안 주택투자를 하면서 어떤 주택에 투자하면 수익을 얻을 수 있을런지 훤히 알게 됐다”고 덧붙였다.

이브라힘씨는 현재 글리브(Glebe)를 비롯해 힐스 지역(Hills District)에 9개의 투자용 주택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 주택들을 새로 개조하거나 2층 구조로 재건축함으로써 더욱 큰 투자가치를 만들어낼 수 있다는 점에서 이날 라이카트 소재 주택을 10번째 투자 매물로 선택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 주택은 손 볼 곳이 많다”면서 “깨끗이 청소하고 새로 개조하여 매각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현재 라이카트 지역의 중간 주택 가격은 141만5천 달러에 달한다. 4개월 전인 지난해 12월, 같은 거리(Elswick Street) 상에 위치한 세미하우스로, 3개 침실+2개 욕실 주택이 비교적 높은 가격인 140만 달러에 낙찰된 바 있다. 이런 점은 비교하면 지난 주말 이브라힘씨에게 낙찰된 허름한 단독주택의 낙찰가격(161만 달러)는 상당히 높은 금액에 매매된 것이다.

이 주택 매매를 진행한 ‘Century 21 Mirabella Property’ 사의 대이빗 미라벨라(David Mirabella) 판매 에이전트는 “지난 수십 년간 한 노인이 거주해 오던 주택이었다”면서 “마치 시간을 거슬러 과거로 가는 것같은 인상을 주는 주택”이라고 말했다. 그만큼 오래 되고 개조하지 않은 허름한 주택이라는 얘기다.

하지만 그는 “이런 주택은 라이카트 지역에서 나오는 매물 중 아주 드문 경우”라며 “작은 부지의 주택이지만 더블 록업 가라지가 있고 또 코너 블록에 자리해 투자 잠재력은 아주 좋은 편”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경매에서 또 하나의 화제는 노스라이드(North Ryde) 소재 주택으로 한 가족이 49년간 거주해 오던 주택으로, 낙찰가격은 190만 달러였다. 이는 잠정가격에서 30만 달러가 오른 금액이었다.

로나 애비뉴(Lorna Ave) 상의 이 주택 경매에는 약 100여명이 매매 과정을 지켜보았다. 16명의 입찰자 가운데 8명이 4개 침실의 이 주택을 낙찰받기 위해 경쟁을 이어갔으며, 마지막으로 라이드에 거주하는 한 젊은 부부가 차지했다. 이들은 주택을 허물고 다시 건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경매 1).jpg (File Size:78.9KB/Download:23)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157 호주 ATAGI, ‘오미크론 변이’ 긴장 속 “부스터 프로그램 변경 계획 없다”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1156 호주 의약품 규제 당국, 성인 대상 부스터샷으로 모더나 백신도 승인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1155 호주 TGA, 5-11세 어린이 대상 COVID-19 백신접종 ‘잠정 승인’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1154 호주 타스마니아 북부 도시 론세스톤, 유네스코의 ‘미식가 도시’에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1153 호주 바이러스가 돌연변이를 일으키는 이유, ‘오미크론’이 지금 나온 배경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1152 호주 5연임 이어가는 시드니 시티 클로버 무어 시장, ‘기후 문제’ 주력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1151 호주 “개발도상국의 백신접근 어려움... 오미크론으로 큰 문제 야기될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1150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알렉산드리아 테라스 주택, 어렵게 낙찰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1149 호주 지난 달 시드니-멜번 주택 경매 중간 낙찰가, 전월대비 하락했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1148 호주 팬데믹 상황에서도 주택가격 상승 지속 이유는 ‘백신에 대한 믿음’ 때문...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1147 호주 호주 각 도시 임대주택 공실률, 지난 수년 사이 가장 낮은 수준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1146 호주 ‘COVID 부스터샷’, “오미크론 변이로부터 보다 강한 보호 가능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1145 호주 베레지클리안 전 NSW 주 총리, 연방 모리슨 총리 ‘구애’ 사양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1144 호주 2차 접종 후 부스터샷 기간 5개월로 앞당겨, 오미크론 확산 대비 차원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1143 호주 연방 재무장관, “호주경제 회복 중... 오미크론에 과민반응 자제” 촉구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1142 호주 5-11세 어린이 COVID-19 백신, 내년 1월 초부터 접종 시작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1141 호주 NSW 주, ‘Small Business Fees and Charge Rebate’ 2천 달러까지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1140 호주 NSW 주 ‘COVID-19’ 제한 규정, 15일부터 3단계 완화로 전환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1139 호주 상위 ‘금수저’들이 재학 중인 NSW 주의 사립학교는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1138 호주 ‘알파’에서 ‘오미크론’까지... COVID-19 변이 바이러스 명칭과 특성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