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시드니 인구 1).jpg

2016년 6월 말, 시드니 인구가 500만 명을 돌파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1971년 300만이었던 인구에서 100만 명이 늘어나기까지 30년이 소요된 것에 비해, 이후 100만 명 증가까지 16년이 소요된 것으로 매우 빠른 인구증가 속도이다.

 

호주 통계청 자료... 2016년 6월30일 기준 500만5,400명 집계

 

광역시드니 인구가 16년 만에 100만 명 증가를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전, 시드니 인구가 100만 명을 돌파(300만 명에서 400만 명에 이른 시점)한 것은 지난 1971년(당시 300만 명)에서 2000년(400만 명)으로 30년이 소요되었지만 다시 100만 명을 넘어서기까지는 이전의 절반인 16년 만으로 상당히 빠른 속도이다. 다만 시드니에 머물고 있는 장단기 체류비자 소지자는 이 수치에서 제외된 것이다.

지난 3월30일(목) 호주 통계청(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ABS)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블루마운틴(Blue Mountains)과 센트럴 코스트(Central Coast)를 포함한 광역 시드니(Greater Sydney) 인구는 2016년 6월30일 기준 500만5,400명이었다.

ABS의 인구시계는 현 시각의 호주 전체 인구를 보여주지만 특정 도시 인구는 즉각적으로 집계되지 않는다.

ABS 자료에 따르면, 지난 한해에만 시드니(광역 시드니) 인구는 8만3천 명이 늘어났다. 이는 호주 연방이 결성된 1901년 이후 시드니 인구 증가 면에서 다섯 번째 높은 증가 수치이다.

NSW 주의 주도인 시드니 인구는 2015-16 회계연도, NSW 주 전체 인구의 78%를 차지하고 있으며, 주 전역에서 인구 증가가 가장 많았던 10개 구역(district) 또한 시드니에 집증됐다.

시드니 남서부(south-west)의 코비티(Cobbitty)와 레핑턴(Leppington) 지역은 지난 회계연도(2015-16년) 인구 증가가 가장 많은 곳으로 꼽혔다. 그해 이 지역의 증가 인구는 3,338명이었으며 증가율은 27%였다.

시드니 이너 사우스(inner-south) 지역 또한 높은 인구증가율을 보였다. 워털루(Waterloo)와 비콘스필드(Beaconsfield)는 한 해 동안 2,358명이 증가했으며, 마스코트(Mascot)와 이스트레이크(Eastlakes) 지역 또한 2천명 가까운 인구 증가가 이루어졌다.

지난 회계연도 광역 시드니의 인구 증가는 전체적으로 1.7%로 나타났으며, 이는 시드니 외 NSW 주 전역의 증가율 0.8%와 크게 비교되는 수치이다.

경제 컨설팅 사인 ‘SGS Economics and Planning’ 사의 테리 론슬리(Terry Rawnsley) 수석 경제학자는 시드니의 빠른 인구 증가에 대해 “시드니 지역의 경제적 성장에 기인한다”고 진단했다.

‘SGS’가 최근 발표한 시드니 지역 경제성장률 자료에 따르면 지난 회계연도(2015-16년) 시드니는 4.5%의 성장률을 보였다. 이는 시드니 사상 세 번째 높은 성장수치이다.

론슬리 경제학자는 “활기를 이어가는 시드니 경제는 늘어난 일자리를 채우기 위해 보다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하고, 이것이 사람들을 시드니로 끌어들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높은 경제성장은 또한 베이비붐을 동반한다”고 말했다. 그에 따르면 시드니 인구가 다시 100만 명을 추가로 돌파하는 시점은 2028년이다. 직전, 100만 명 돌파가 16년만이었지만 이제 8년 만에 인구가 600만 명을 넘어설 것이라는 추측이다.

 

종합(시드니 인구 2).jpg

시드니와 멜번 등 대도시에 집중된 경제 호황은 베이비붐을 동반하여 2028년경 시드니 인구가 다시금 100만 명을 추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사진은 공중에서 본 시드니 도심과 시드니 하버 일대의 주택 지역.

 

시드니 인구 성장 못지않게 멜번(Melbourne) 또한 빠른 인구증가로 시드니와의 격차를 줄이고 있다.

지난 한해 멜번 인구는 10만8천 명이 늘어나 호주 전역에서 가장 많은 인구 증가를 보여 지난해 6월30일 현재 464만 명을 넘어섰다.

이 같은 추세가 이어진다면, 멜번은 전체 인구 측면에서 2050년 중반 경 시드니를 추월하여 호주 최대 도시가 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이즈음 두 도시 인구는 각 800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관측된다.

시드니와 멜번을 비롯해 브리즈번(Brisbane), 퍼스(Perth) 등 호주 각 주도의 인구 증가는 호주 전체에 비해 매우 빠른 성장을 보여, 각 주도의 인구증가 비율은 호주 전체의 82%에 달했다. 이 가운데 시드니와 멜번이 차지한 증가비율은 56%이다.

호주 전역을 보면, 지난 회계연도 인구 성장이 가장 높았던 10개 지역(local) 가운데 5개 지역이 멜번, 3개 지역이 퍼스에, 시드니는 2개 지역이었다.

인구 증가와 달리 지난 한해 NSW 주에서 인구 손실이 가장 컸던 지역은 내륙 광산도시인 브로큰 힐(Broken Hill)로, 310명이 줄었다. 전 세계 원자재 수요 감소로 인한 영향은 호주 광산 지역의 인구 감소로 나타났다. 지난 회계연도, 호주 전역에서 인구 손실이 가장 컸던 10개 지역 중 8개는 광산도시였다.

호주 전역에서 인구 손실이 가장 많았던 지역은 510명이 줄어든 퀸즐랜드(Queensland) 주 마운트 아이사(Mount Isa)였으며 두 번째가 서부 호주(Western Australia) 주 레인스터-레오노라(Leinster-Leonora)로 인구 손실은 330명이었다.

 

■ 광역시드니 각 지역별 인구 증가

(지역 : 2015년 인구 / 2016년 인구 / 증가율)

-Baulkham Hills & Hawkesbury : 233,208명 / 238,240명 / 2.2%

-Central Coast : 333,296명 / 334,857명 / 0.5%

-North Sydney and Horsby : 266,414명 / 268,849명 / 0.9%

-Blacktown : 342,451명 / 350,849명 / 2.5%

-Ryde : 225,788명 / 226,709명 / 0.4%

-Parramatta : 183,207명 / 186,642명 / 1.9%

-Inner West : 421,723명 / 428,903명 / 1.7%

-City and Inner South : 313,739명 / 322,556명 / 2.8%

-Inner South West : 582,517명 / 589,058명 / 1.1%

-South West : 405,620명 / 416,589명 / 2.7%

-Sutherland : 225,788명 / 226,709명 / 0.4%

-Outer South West : 313,892명 / 318,255명 / 1.4%

-Outer West and Blue Mountauns : 456,452명 / 466,447명 / 2.2%

Source : ABS

 

■ 각 주 대도시 인구

(2016년 6월30일 기준. 광역도시 : 증가 인구 / 2015년 대비 인구 증가율)

-Greater Melbourne : 107,770명 / 2.4%

-Greater Sydney : 82,797명 / 1.7%

-Greater Brisbane : 41,135명 / 1.8%

-Greater Perth : 27,428명 / 1.3%

-Greater Adelaide : 9,371명 / 0.8%

-Greater Hobart : 1,786명 / 0.8%

-Greater Darwin : 1,147명 / 0.7%

 

■ 인구 증가 가장 빠른 시드니 10개 지역

(지역 : 2015-16년 증가 인구 수 / 전체 인구 / 2015년 대비 인구 증가율)

-Cobbit-Leppington : 3,338명 / 15,450명 / 27.6%

-Riverstone-Marsden Park : 3,146명 / 16,492명 / 23.6%

-Homebush Bay-Silverwater : 2,062명 / 19,965명 / 11.5%

-Waterloo-Beaconsfield : 2,358명 / 32,165명 / 7.9%

-Mascot-Eastlakes : 1,904명 / 26,099명 / 7.9%

-Elderslie-Harrington Park : 1,403명 / 21,279명 / 7.1%

-Rouse Hill-Beaumont Hills : 1,429명 / 22,479명 / 6.8%

-Arncliffe-Bardwell Valley 1,180명 / 19,913명 / 6.3%

-Botany : 633명 / 11,196명 / 6%

-Kingscliff-Fingal Head : 678명 / 13,282명 / 5.4%

Source : ABS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시드니 인구 1).jpg (File Size:83.4KB/Download:26)
  2. 종합(시드니 인구 2).jpg (File Size:81.4KB/Download:25)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157 호주 ATAGI, ‘오미크론 변이’ 긴장 속 “부스터 프로그램 변경 계획 없다”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1156 호주 의약품 규제 당국, 성인 대상 부스터샷으로 모더나 백신도 승인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1155 호주 TGA, 5-11세 어린이 대상 COVID-19 백신접종 ‘잠정 승인’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1154 호주 타스마니아 북부 도시 론세스톤, 유네스코의 ‘미식가 도시’에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1153 호주 바이러스가 돌연변이를 일으키는 이유, ‘오미크론’이 지금 나온 배경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1152 호주 5연임 이어가는 시드니 시티 클로버 무어 시장, ‘기후 문제’ 주력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1151 호주 “개발도상국의 백신접근 어려움... 오미크론으로 큰 문제 야기될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1150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알렉산드리아 테라스 주택, 어렵게 낙찰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1149 호주 지난 달 시드니-멜번 주택 경매 중간 낙찰가, 전월대비 하락했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1148 호주 팬데믹 상황에서도 주택가격 상승 지속 이유는 ‘백신에 대한 믿음’ 때문...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1147 호주 호주 각 도시 임대주택 공실률, 지난 수년 사이 가장 낮은 수준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1146 호주 ‘COVID 부스터샷’, “오미크론 변이로부터 보다 강한 보호 가능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1145 호주 베레지클리안 전 NSW 주 총리, 연방 모리슨 총리 ‘구애’ 사양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1144 호주 2차 접종 후 부스터샷 기간 5개월로 앞당겨, 오미크론 확산 대비 차원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1143 호주 연방 재무장관, “호주경제 회복 중... 오미크론에 과민반응 자제” 촉구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1142 호주 5-11세 어린이 COVID-19 백신, 내년 1월 초부터 접종 시작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1141 호주 NSW 주, ‘Small Business Fees and Charge Rebate’ 2천 달러까지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1140 호주 NSW 주 ‘COVID-19’ 제한 규정, 15일부터 3단계 완화로 전환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1139 호주 상위 ‘금수저’들이 재학 중인 NSW 주의 사립학교는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1138 호주 ‘알파’에서 ‘오미크론’까지... COVID-19 변이 바이러스 명칭과 특성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