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췌장암 2).jpg

호주 연구팀이 췌장암 환자의 생존기간을 두 배 늘릴 수 있는 방법을 알아냈다. 사진은 달링허스트(Darlinghurst)에 있는 시드니 의학 연구팀 ‘Garvan Institute of Medical Research' 췌장암 연구원.

 

‘Garvan Institute’ 의료연구팀... 진단 후 수년까지 생존 가능

 

호주 연구팀이 췌장암 환자의 생존기간을 늘릴 수 있는 치료법을 발견했다.

지난 5일(수) 데일리 텔레그래프(The Daily Telegraph) 보도에 따르면, 시드니 의학 연구팀 ‘Garvan Institute of Medical Research’의 주도로 진행된 연구에서 췌장암 환자의 생존기간을 두 배 늘릴 수 있는 방법을 알아냈다.

조기진단이 어려운 질환으로 알려진 췌장암은 진단 후 5년 이상 생존률이 평균 7% 안팎에 불과해 가장 치명적인 암 가운데 하나로 알려져 있다. 한국 여배우 김영애씨가 지난 9일(일요일) 췌장암으로 사망해 한국에서도 췌장암에 대한 관심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이번 연구로 40년 간 제자리 걸음에 머물렀던 췌장암 치료법 연구에도 큰 박차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연구팀이 발견한 방법은 ‘파수딜’(Fasudil)이라는 약물로 3일 동안 암세포 주변 조직을 부드럽게 만든 뒤 2차 화학요법을 통한 항암요법을 통해 암세포를 취약하게 만드는 ‘순차적 치료방법’(one-two punch)이다.

이번 연구결과를 게재한 학술지 ‘사이언스 중개의학(Science Translational Medicine)’에 따르면, 쥐를 대상으로 한 생체실험에서 생존시간이 25일 늘어나 기존 치료방법보다 생존률이 50% 증가했다.

연구팀은 앞으로 진행할 인체 임상시험에서도 성공할 경우 췌장암 진단 후 생존률이 몇 달에서 몇 년 더 연장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또한 연구팀은 ‘파수딜’에 대해 현재 일본에서 뇌졸중 치료 등에 사용되는 특허가 만료된 약으로, 가격이 싸기 때문에 임상에서도 사용하는 데 큰 무리가 없다고 강조했다.

 

김진연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췌장암 2).jpg (File Size:52.6KB/Download:23)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137 호주 NSW 주, ‘Small Business Fees and Charge Rebate’ 2천 달러까지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4136 호주 5-11세 어린이 COVID-19 백신, 내년 1월 초부터 접종 시작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4135 호주 연방 재무장관, “호주경제 회복 중... 오미크론에 과민반응 자제” 촉구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4134 호주 2차 접종 후 부스터샷 기간 5개월로 앞당겨, 오미크론 확산 대비 차원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4133 호주 베레지클리안 전 NSW 주 총리, 연방 모리슨 총리 ‘구애’ 사양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4132 호주 ‘COVID 부스터샷’, “오미크론 변이로부터 보다 강한 보호 가능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4131 호주 호주 각 도시 임대주택 공실률, 지난 수년 사이 가장 낮은 수준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4130 호주 팬데믹 상황에서도 주택가격 상승 지속 이유는 ‘백신에 대한 믿음’ 때문...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4129 호주 지난 달 시드니-멜번 주택 경매 중간 낙찰가, 전월대비 하락했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4128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알렉산드리아 테라스 주택, 어렵게 낙찰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4127 호주 “개발도상국의 백신접근 어려움... 오미크론으로 큰 문제 야기될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4126 호주 5연임 이어가는 시드니 시티 클로버 무어 시장, ‘기후 문제’ 주력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4125 호주 바이러스가 돌연변이를 일으키는 이유, ‘오미크론’이 지금 나온 배경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4124 호주 타스마니아 북부 도시 론세스톤, 유네스코의 ‘미식가 도시’에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4123 호주 TGA, 5-11세 어린이 대상 COVID-19 백신접종 ‘잠정 승인’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4122 호주 의약품 규제 당국, 성인 대상 부스터샷으로 모더나 백신도 승인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4121 호주 ATAGI, ‘오미크론 변이’ 긴장 속 “부스터 프로그램 변경 계획 없다”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4120 호주 주거용 부동산 투자를 고려할 만한 호주 상위 20개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4119 호주 11월 호주 주택가격, 상승세 이어져... 성장 속도는 다소 둔화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4118 호주 ‘Housing Affordability’ 문제, “사회주택기금으로 해결 가능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