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비만 1).jpg

보건연구기관 ‘Health Tracker Atlas’(HTA)가 광역시드니 ‘주요 보건지역’(Primary Health Area. PHA)에서 업데이트한 최근 비만율 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소득 수준이 낮은 지역의 비만율이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드니 서부 외곽지 아동 비만율 최고, 어른 신체활동 최저

 

돈 없으면 뚱뚱하다? 최근 과체중 또는 비만이 소득수준과 상당한 연관성을 지닌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시드니 모닝 헤럴드는 금주 화요일(2일) 보건연구기관 ‘Health Tracker Atlas’(HTA)가 광역시드니 ‘주요 보건지역’(Primary Health Area. PHA)에서 업데이트한 최근 비만율 조사 자료를 인용, 경제적 수준이 높은 시드니 해안가 및 하버 인근 지역 거주민의 경우 서부 외곽지역 주민들보다 마르고 보다 건강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HTA는 비만 어린이 및 운동량이 적은 성인 대부분이 시드니 서부 외곽지역에 몰려있다는 보고서의 결과에 대해 “사회경제적 수준별에 따라 건강불평등의 격차가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홈부시베이(Homebush Bay)와 실버워터(Silverwater)에서 비만 및 과체중인 2~17세 어린이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이 지역 어린이들의 40% 이상이 건강 수준을 넘는 체질량지수(BMI)를 가지고 있으며, 절반은 비만이다.

이어 마운트 드루이트(Mount Druitt)와 왈란(Whalan) 지역을 아우르는 ‘주요 보건지역’ 어린이 3명 중 한 명이 비만이거나 과체중이다. 캔리 베일(Canley Vale), 애쉬크로프트(Ashcroft), 라켐바 (Lakemba), 펀치볼(Punchbowl), 리버풀(Liverpool)이 그 뒤를 이어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반면 시드니의 부유층 지역 중 하나인 모스만(Mosman)은 어린이 과체중 및 비만율에 있어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17%).

광역시드니의 다른 소득순위 상위 지역도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킬라라(Killara), 크레몬(Cremorne), 키리빌리(Kirribilli), 더블베이(Double Bay), 노스 시드니(North Sydney), 발메인(Balmain), 아발론(Avalon), 팜비치(Palm Beach)의 경우, 건강범위 이상의 체질량지수를 가진 어린이는 5명 중 한 명으로 진단됐다.

시드니 해안가에서 어린이 비만율이 10% 이상인 지역은 마루브라 비치(Maroubra), 라파루즈(La Perouse), 치플리(Chifley)가 전부였다.

호주 국민건강측정 보고서인 ‘Health Tracker’를 발간하는 ‘호주 보건정책협력기관’(Australian Health Policy Collaboration, AHPC) 대표 겸 공공보건 전문가인 로즈마리 캘더(Rosemary Calder) 교수는 “호주에는 과체중 인구가 상당히 많으며 어린이 그룹의 비만율이 높다는 것은 무엇인가 잘못되어가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어린이 비만은 심혈관계 질병, 당뇨, 호흡기 질환, 암, 우울증을 일으키는 가장 강력한 위험요소”라며 “이 세대들은 우리가 관리해야할 대상”이라고 덧붙였다.

 

종합(비만 2).jpg

시드니 서부 지역 아동 과체중 또는 비만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패스트푸드 광고에 대한 강력한 제한이 요구되고 있다.

 

■ 어린이 과체중 및 비만율 상위 지역

1. Homebush Bay and Silverwater

2. Mount Druitt and Whalan

3. Canley Vale, Canley Heights and Fairfield

4. Ashcroft

5. Lakemba, Wiley Park/Punchbowl

 

■ 어린이 과체중 및 비만율 하위 지역

1. Mosman

2. Gordon, Killara and Pymble

3. Double Bay Cremorne, Cammeray, Neutral Bay and Kirribilli

4. North Sydney

5. Avalon, Palm Beach, Newport and Bilgola

 

시드니 서부 지역 성인들

운동량도 적어

 

운동을 전혀 하지 않거나 적게 하는 성인의 비율도 시드니 서부지역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카브라마타(Cabramatta)는 시드니에서 신체활동이 적은 성인이 가장 많은 지역으로, 대략 80%가 운동에 전혀 시간을 할애하지 않거나 상당히 적은 시간을 할애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지역 주민들이 걷는 시간은 일주일에 3시간도 채 되지 않았다.

또 다른 시드니 ‘주요 보건지역’인 웨스턴 시드니의 14개 지역에서도 75%의 성인이 운동을 아예 하지 않거나 거의 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신체활동이 가장 활발한 곳은 시드니의 부유한 지역으로. 아예 운동을 하지 않거나 거의 하지 않는 성인 비율이 가장 낮은 지역은 더블베이(44.4%), 도버 하이츠(Dover Heights), 로스베이(Rose Bay), 보클루즈(Vaucluse. 이상 50.4%), 본다이 비치(Bondi Beach. 51.6%), 이너시티(inner city)와 노스-이스트(north-east. 이상 52.1%)인 것으로 나타났다.

 

■ 성인 운동량이 가장 적은 지역

1. Cabramatta and Lansvale

2. Canley Vale, Canley Heights

3. Fairfield

4. Mount Druitt

5. Blacktown

 

■ 성인 운동량이 가장 많은 지역

1. Double Bay

2. Dover Heights, Rose Bay and Vaucluse

3. Bondi Beach

4. Inner city and north-east

5. Cremorne Cammeray, Kirribilli and Neutral Bay

 

종합(비만 3).jpg

각 지역에 공원이나 산책로보다 패스트푸드점 또는 술을 파는 상점이 많으면 일상 활동의 선택이 주변 환경에 따라갈 수밖에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건강증진을 돕는 시설이나 환경이 많은 지역에 건강한 신체활동과 식습관이 많이 나타난다는 것이다. 사진은 시드니의 한 피트니스 센터.

 

암, 심혈관계 질병, 호흡기 질환, 당뇨에 의한 사망률과 성인 비만율은 시드니의 지역 간 건강격차와 같은 패턴을 보이는 것으로 진단됐다.

캘더 교수는 “지역 간 소득수준에 따라 건강불평등이 발생되고 있다”고 언급한 뒤 “건강한 삶이 본인의 선택에 달려있다는 것은 잘못된 생각”이라며 “인간의 결정은 주변 환경에 영향을 받는다”고 주장했다.

그는 “각 지역에 공원이나 산책로보다 패스트푸드점 또는 술을 파는 상점이 많으면 일상 활동의 선택이 주변 환경에 따라갈 수밖에 없다”며 “건강증진을 돕는 시설이나 환경이 많은 지역에 건강한 신체활동과 식습관이 많이 나타난다는 것은 그리 놀라울 일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주민들의 활동력을 높이는, 즐거운 야외활동이 많은 지역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제안했다.

시드니 외곽지 중에서도 CBD와 더 가까운 지역의 거주민들은 대중교통이 보다 잘 연결되어 있어 적절한 운동과 건강한 식생활을 즐기는 반면, 웨스턴 시드니 지역 주민들의 경우 긴 출퇴근 거리로 장시간 차 안에 앉아 있는 경우가 많다.

캘더 교수는 “웨스턴 시드니의 경우 학교와 집 사이의 거리가 너무 멀거나 도로에 차가 많고 공장지대가 많아 아이들이 등교시 자전거를 이용하기에 어려운 곳도 많다”고 덧붙였다.

2016년 호주 보건정책협력기관의 ‘Health on Track’ 보고서는 호주인의 만성질병을 예방하고 줄이기 위한 10가지 정책과제를 제시했다. 이 중에는 설탕세, 어린이대상 패스트푸드 광고 제한, 걷거나 자전거를 이용한 등교 및 출퇴근 장려와 같은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캘더 교수는 “건강은 국가자산”이라며 “잘못되면 엄청난 국가적 부담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 과체중 또는 비만 어린이 비율

(고위험 상위 5개 지역)

-Homebush Bay - Silverwater : 40.8

-Mount Druitt - Whalan : 34.4

-Mount Druitt - North West : 33.9

-Canley Vale - Canley Heights/ Fairfield : 33.9

-Lakemba - Wiley Park/ Punchbowl : 32.3

-시드니 평균 : 24.5

 

■ 운동량이 적거나 전혀 하지 않는 성인 비율

(고위험 상위 5개 지역)

Canley Vale - Canley Heights/ Fairfield : 79.1

Cabramatta - Lansvale : 79.5

Fairfield East : 77.2

Fairfield West area : 77.4

Blacktown(East) - Kings Park/ Blacktown (South) : 76.4

시드니 평균: 65.9

 

■ 암- 인구 10만 명당 사망자 수

(30-69세 연령대, 고위험 상위 5개 지역)

Mount Druitt-North West : 235.0

Mount Druitt-Whalan : 185.6

Campbelltown-Woodbine/ Rosemeadow - Glen Alpine : 181.4

Kingswood-Werrington/ Penrith : 178.1

Fairfield-East : 165.7

시드니 평균 : 125.1

 

김진연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비만 1).jpg (File Size:52.5KB/Download:26)
  2. 종합(비만 2).jpg (File Size:65.9KB/Download:27)
  3. 종합(비만 3).jpg (File Size:59.4KB/Download:26)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197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맨리의 휴가용 유닛, 735만 달러 낙찰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1.
1196 호주 시드니 각 학교 주변 주택가격, 1년 사이 두 자릿수 상승률 기록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1.
1195 호주 각 주 도시의 부동산 가격 급등, 임대주택 수익률은 하락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1.
1194 호주 시드니 공항, 국제 컨소시엄과의 236억 달러 바이아웃 제안 동의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1.
1193 호주 NSW 아웃백의 한 목장, 동식물 보호 위한 국립공원으로 전환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1.
1192 호주 공정근로위원회, “모든 농장 근로자에 최저임금 보장해야” 규정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1.
1191 호주 코로나19 검역 절차 없이 호주인이 입국할 수 있는 해외 국가는?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1.
1190 호주 연방정부, ‘호주 입국’ 조건에 인도-중국의 또 다른 COVID-19 백신도 인정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1.
1189 호주 호주 코로나19 백신 부스터샷 프로그램, 11월 8일부터 시작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1.
1188 호주 연방정부 코로나19 백신 추가접종 시작... 접종 대상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1.
1187 호주 호주 코로나19 예방접종 80%... 제한 완화 설정 목표 도달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1.
1186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파이브덕 소재 주택, 3년 만에 180만 달러 수익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8.
1185 호주 퍼스 여성 에리카 로리, 1천 km ‘비불먼 트랙 달리기’ 새 기록 수립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8.
1184 호주 “11세 이하 어린이 COVID-19 예방접종, 내년 1월 전에는 힘들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8.
1183 호주 블루마운틴 서쪽 끝 부분, 새로운 생태관광-어드벤처 목적지로 개발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8.
1182 호주 “2030년까지 NSW에서 판매되는 모든 신차의 50%, 전기차가 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8.
1181 호주 봉쇄 조치 완화 불구 호주 실업률 6개월 만에 최고치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8.
1180 호주 호주인들, 코로나19 제한 조치 완화 후 관련 질문 달라져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8.
1179 호주 봅 카 전 NSW 주 총리, “안티 백서들의 메디케어 박탈해야”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8.
1178 호주 코로나 팬데믹 20여 개월 500만 명 사망... 실제 사망자는?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