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셀피 1).jpg

멜번 소재 RMIT와 모나시대학교 연구팀의 조사 결과 스마트폰이 일상화되면서 ‘Sexual selfie’로 인한 학대가 다른 일반적 학대보다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RMIT-모나시대학 조사... ‘revenge porn’의 희생자 늘어

 

스마트폰이 일상화되면서 등장한 새 단어 중 하나로 ‘셀피’(sefie)라는 말이 있다. 지난 2013년 옥스퍼드 대학 출판사가 ‘올해의 단어’로 선정한 이 말은 자신의 모습을 직접 찍은 사진을 의미하며 한국 네티즌들이 표현하는 ‘셀카’(자기 모습을 직접 찍는다는 의미)와 같은 뜻이다. 전 세계적으로 보편화된 스마트폰을 통해 자기 자신을 찍는 일이 일상화되면서 필연적으로 생겨난 새로운 단어인 셈이다.

그런데, 이런 ‘셀피’, 특히 자신의 성적인 모습을 담은 사진으로 호주 여성들이 그야말로 ‘포르노 복수극’ 즉 ‘revenge porn. 상대방의 동의 없이 복수를 하거나 괴롭히기 위해서 인터넷상에 올린 성적인 비디오)의 희생자가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금주 월요일(8일) 시드니 모닝 헤럴드가 한 조사 자료를 인용, 보도했다.

멜번(Melbourne) 소재 RMIT대학교(Royal Melbourne Institute of Technology)와 모나시대학교가 4천200명 넘는 이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결과, 소위 ‘Sexual selfie’라는 노출 사진을 통한 학대가 더 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더 광범위한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여성들 또한 남성과 마찬가지로 노출사진으로 인한 피해자이며 특히 호주 원주민 및 장애 여성의 경우 2명에 1명꼴로 심각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젊은 계층, 레즈비언, 게이, 양성애자 또한 학대 위험이 높다는 진단이다.

조사 결과 성적인 이미지나 누드 사진으로 상대방을 학대하는 케이스가 20%에 달했으며 사진 속 주인공의 동의 없이 이를 유포(11%)하거나 유포하겠다고 협박(9%)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노출사진(sexual selfie)을 공유한 사람들 중 주인공들은, 이를 전손한 사람과는 달리 학대 피해 가능성이 훨씬 높았다.

RMIT 조사팀을 이끈 니콜라 헨리(Nicola Henry) 박사는 “정부 정책이나 법 규정이 이 같은 문제를 차단하고자 적극 움직이는 것 이상으로 노출사진을 이용한 인한 학대는 두드러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헨리 박사는 이번 조사 자료를 발표하면서 “이는 단지 ‘revenge porn’에 대한 것만이 아니라 관계가 잘못된 경우 상대방에게 굴욕감을 주거나 통제하는 데 이용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조사를 실시한 연구원들은 한결 같이 노출사진으로 학대의 대상이 된 이들에 대한 보다 수준 높은 지원 서비스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아울러 소셜 미디어와 웹사이트에 대한 보다 강력한 조치가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셀피 1).jpg (File Size:21.2KB/Download:2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097 호주 ANZAC Day 2017- 원주민 호주 참전요사들의 사연들 file 호주한국신문 17.04.27.
4096 호주 이민자 유입 제한, 상당한 파장 불러올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17.04.27.
4095 호주 랜드윅 소재 ‘캘리포니아 방갈로’, 301만 달러 낙찰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4094 호주 호주 중앙은행, 현 기준금리 유지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4093 호주 노동당, ‘NSW 주 공립학교 시설 수리 예산 부족’ 비난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4092 호주 2016 센서스... 호주사회 다양성화, 더욱 늘어나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4091 호주 예전 방식의 학생 ‘숙제’ 형태에 새로운 변화 바람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4090 호주 ‘아틀라시안’ 창업자, 7천만 달러로 저택 ‘일레인’ 구입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4089 호주 호주인 임대료 부담 가중, 소득의 30-50% 지출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4088 호주 연방 정부 대학 지원 삭감... 학비 인상 불가피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4087 호주 ‘모기지’ 규제 강화로 주택 가격 상승세 ‘주춤’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4086 호주 대학졸업 학위 없어도 ‘PwC’ 입사 가능해질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4085 호주 지구상에서 커피를 가장 많이 소비하는 나라는?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4084 호주 광역시드니 지역 간 소득수준 따라 건강불평등 격차 커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4083 호주 노스 라이드, 광역 시드니 최고 ‘혁신’ 수준 갖춰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4082 호주 5월 첫주 경매 낙찰률, 올 들어 가장 낮은 수치 file 호주한국신문 17.05.11.
4081 호주 ‘크라운그룹’, 그린스퀘어 지역 ‘워터폴’ 론칭 file 호주한국신문 17.05.11.
4080 호주 턴불, 해외 테러리스트 자녀 귀국시 ‘철저한 감시’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17.05.11.
4079 호주 노동당 정책 광고, ‘백인 호주인 고용 우선’? file 호주한국신문 17.05.11.
» 호주 호주 여성 5명 중 1명, ‘Sexual selfie’로 피해 file 호주한국신문 17.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