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탄산음료).png

포도당 함량이 많은 호주의 일부 청량음료가 2형 당뇨 및 심장질환 위험을 높이고 있다는 연구가 나왔다. 최근 설탕 함유 음료에 대해 별도의 세금을 부과해야 한다는 지적이 확산되는 상황에서 이번 연구는 세금 도입을 강조하는 보건단체에 힘이 되고 있다.

 

Medical Journal of Australia... 미국 소프트 드링크와 비교

 

호주 청량음료의 경우 포도당 수치가 높아 심장병 및 2형 당뇨 발병 위험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금주 월요일(5일) ABC 방송이 호주 의학저널(Medical Journal of Australia)을 인용, 보도한 바에 따르면 호주에서 소비자들로부터 선호되는 일부 청량음료의 포도당 수치는 미국 제품에 비해 22%나 높았다.

이번 연구는 멜번 기반의 독립 의료연구소인 ‘Baker Heart and Diabetes Institute’의 브론윈 킹웰(Bronwyn Kingwell)이 호주 의학저널에 게재한 것으로, 킹웰 교수는 청량음료를 많이 마시는 호주인들에게서 당뇨 및 심장병 발병 위험이 높게 나타났다고 말했다.

그녀는 “과당(fructose)이 아닌 포도당(glucose)은 혈장 포도당과 인슐린을 급격히 증가시킨다는 점을 감안할 때 호주인들이 지속적으로 소비하는 청량음료는 2형 당뇨는 물론 그로 인한 합병증 등 잠재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호주의사협회’(Australian Medical Association)를 비롯해 ‘Royal Australian College of General Practitioners’, ‘Consumers Health Forum’ 등 주요 보건 관련 단체는 호주인의 증가하는 당뇨 발병에 대처하기 위한 한 방안으로 연방정부가 설탕 함유 음료에 대해 설탕세를 부과해야 한다고 촉구해 왔다.

미국의 경우 청량음료에는 고과당의 옥수수 시럽으로 달콤한 맛을 내는 반면 호주의 청량음료는 자당(sucrose)이 주요 감미료이다.

킹웰 교수는 호주 보건조사(Australian Health Survey) 자료를 인용, “호주 남성 39%, 여성 29%가 과당 함유 청량음료를 정기적으로 마시는 등 호주인들의 설탕 섭취는 매우 높은 편”이라며 “설탕이 함유된 청량음료와 2형 당뇨 및 심혈관 질환 사이의 관련성이 높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번 연구 결과에 대한 바른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보건 관련 기구인 ‘비만대책연대’(Obesity Policy Coalition)의 연구에 따르면 설탕 함유 음료에 20%의 세금을 부과할 경우 연간 1천600명의 생명을 구할 수 있으며 매년 비만 예방을 위해 사용되는 보건비용 중 4억 달러를 절감할 수 있다.

반면 청량음료 제조사들은 소프트 트링크와 비만 사이의 연관성에 의문을 제시하면서 설탕세 도입을 반대하고 있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탄산음료).png (File Size:295.3KB/Download:27)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257 호주 팬데믹으로 호주 고용시장 크게 변화… 7명 중 1명, 보건 분야 종사 file 호주한국신문 21.09.30.
1256 호주 연방정부 백신자문그룹 ATAGI, ‘부스터샷’ 배제 안 해 file 호주한국신문 21.09.30.
1255 호주 COVID-19 예방접종, 감염위험 차단 정도와 그 지속성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09.30.
1254 호주 호주 대학졸업자들, 전공 분야 직업 얻기까지 시간 길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21.09.30.
1253 호주 NSW 주 정부, 공공보건 명령 완화 ‘3단계 로드맵’ 제시 file 호주한국신문 21.09.30.
1252 호주 NSW 주의 제한 완화 로드맵… 꼭 알아야 할 것들(This is what you need to know) file 호주한국신문 21.09.30.
1251 호주 코로나 바이러스 대유행 이후 근로 패턴, 어떻게 바뀔까 file 호주한국신문 21.09.30.
1250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1960년대 지어진 주택, 잠정가격에서 50만 달러 ↑ file 호주한국신문 21.10.07.
1249 호주 호주 인구성장률 감소 불구, 지속적인 주택가격 상승 이유는… file 호주한국신문 21.10.07.
1248 호주 연방정부, 전 세계 일부 국가 시행 중인 ‘빠른 항원검사’ 승인 file 호주한국신문 21.10.07.
1247 호주 NSW 주, ‘제한 완화’ 대비… COVID-19 격리 규정 변경 file 호주한국신문 21.10.07.
1246 호주 디지털 ‘COVID-19 백신접종 증명서 활용’ 계획 속, ‘위조 가능성’ 제기 file 호주한국신문 21.10.07.
1245 호주 모리슨 총리, 국경 제한 변경… 11월부터 해외여행 재개 전망 file 호주한국신문 21.10.07.
1244 호주 연방정부의 국경 재개 계획...국제 여행은 어떻게? file 호주한국신문 21.10.07.
1243 호주 NSW 주 총리 이어 부총리까지… 집권 여당 의원들, 사임 발표 file 호주한국신문 21.10.07.
1242 호주 NSW 주 도미닉 페로테트 재무장관, 제46대 주 총리에 file 호주한국신문 21.10.07.
1241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뱅시아 주택, 잠정가격에서 50만 달러 높아져 file 호주한국신문 21.10.14.
1240 호주 6월 분기 부동산 판매 수익성, 10년 만에 최고 수준 기록 file 호주한국신문 21.10.14.
1239 호주 NSW 주 도미닉 페로테트 정부의 새 내각, ‘안전과 회복’에 초점 file 호주한국신문 21.10.14.
1238 호주 ‘바이러스’ 록다운 상황 속, 소규모 ‘북클럽’ 활동 크게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21.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