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경매 1).png

울 시즌 들어 시드니 경매 낙찰률이 2주 연속 70% 이하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새 회계연도부터 시행되는 주택구입자 세제 혜택으로 구매자들이 주택 구입을 미루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사진은 지난 주말 최고 낙찰가를 기록한 사우스 쿠지(South Coogee) 주택, 거래 가격은 600만 달러였다.

 

총 매물 787채 중 69.1% 낙찰... 중간 낙찰가도 다소 떨어져

 

겨울로 접어들면서 시드니 주말 경매가 2주 연속 70% 이하의 낙찰 결과를 보였다. 시드니 주말 경매에서 낙찰 결과가 2주 연속 70%에 미치지 못했던 것은 지난 2015년 12월, 주택담보대출(mortgage) 금리 인상으로 주택 시장이 영향을 받았던 이래 처음이다.

지난 주말(17일) 시드니 경매는 이전 주(10일)의 67.1%보다는 다소 높은 69.6%로 집계됐다. 하지만 지난해 같은 기간의 경매 낙찰률 78.3%와 비교하면 크게 낮아진 수치이다.

지난해 겨울 시드니 경매시장은 5월 결정된 기준금리 인하로 강세를 유지했으며 근래 수개월 동안 낙찰 결과가 낮아지는 현상을 보였지만 부동산 관계자들은 연방 정부가 새 회계연도부터 첫 주택 구입자에 대한 혜택을 확대하면서 주말 경매시장도 다시 살아날 것으로 보고 있다.

경매 결과는 다소 낮아진 반면, 시장에 나오는 매물 수는 올해 초와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지난 주 시드니 경매에 등록된 주택은 787채로 ‘Queen's Birthday’ 연휴가 들어 있던 지난 주말 406채와 비교해 예년 수준을 보인 것이며, 지난해 같은 기간의 650건과도 크게 비교된다.

지난 주 시드니 경매의 중간 낙찰 가격은 126만5천 달러로 나타났다. 이전 주(116만 달러)와 비교해면 13.2% 높아진 금액이며 지난해 같은 기간의 중간 낙찰가 111만7,500달러보다 높은 수준이다. 시드니 지역에서 이루어진 경매 총 거래액은 4억5,500만 달러로 기록됐다.

시드니 경매에 나오는 매물은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가운데 만성적 주택 부족은 임대료를 지속적으로 상승시키고 있어 임차인들에게는 여전히 악몽이 되고 있다.

가장 최근의 ‘도메인 그룹’(Domain Group) 집계에 따르면 지난 5월까지 3개월 동안 시드니 지역 임대료는 4.8%가 올라 중간 임대료는 550달러에 달했다. 유닛 임대료 또한 지난 1년 사이 3.8% 인상, 중간 임대료는 540달러였다.

시드니 지역의 지속적인 임대료 상승은 직접적으로 임대주택 부족을 의미한다. 지난 5월 시드니 지역 주택 공실률은 단독주택과 유닛 모두 2.0%의 낮은 수준을 이어오고 있다.

매년 줄어들지 않는 이민자 유입, 시드니 지역의 만성적인 주택 부족은 앞으로도 임대료 상승을 지속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주택 가격을 안정화하기 위한 정부 정책, 주택 가격을 부추기는 투자자의 시장 진입을 제한하기 위한 방안은 임대료 상승을 부채질할 수 있다는 진단도 강하게 제기된다.

지난 주 각 지역별 경매 결과는 주택거래가 다소 줄어드는 겨울 시즌을 반영한 것이라는 분석이지만 이너 시티의 경우에는 여전히 강세를 이어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낙찰률이 저조했던 시드니 외곽의 경우에는 오는 7월1일부터 시행되는 부동산 관련 세제 혜택 변화에 따른 영향이 반영됐다는 진단이다.

지난 주 각 지역별 경매 진행 상황을 보면, 시드니 도심 및 동부(city and east)의 경우 78.1%로 가장 높은 낙찰 결과를 보였으며 이너웨스트(inner west) 76.3%, 노스웨스트(north west) 74.1%, 로워노스(lower north) 73%, 노던비치(northern beaches) 70.7%, 사우스웨스트(south west)가 69.2%로 평균 이상의 낙찰 결과를 보였다. 이어 어퍼노스쇼어(upper north shore) 68.8%, 사우스(south) 66.3%, 웨스트(west) 62.2%, 센트럴코스트(Central Coast) 57.9%, 캔터베리 뱅스타운(Canterbury Bankstown) 54.5%로 집계됐다.

지난 주말 경매에서 높은 낙찰가로 화제가 됐던 주택은 마로브라(Maroubra) 소재 루어라인 스트리트(Lurline Street) 상의 5개 침실 주택(낙찰가 527만5천 달러), 스트라스필드(Strathfield) 민타로 애비뉴(Mintaro Ave)에 있는 5개 침실 주택(480만 달러), 발골라 헤이츠(Balgowlah Heights)의 루이스 스트리트(Lewis Street) 상의 5개 침실 주택(446만 달러), 스트라스필드 코츠월드 로드(Cotswold Road)에 있는 4개 침실 주택(435만 달러) 등이었으며, 버우드(Burwood) 와이야트 애비뉴(Wyatt Avenue) 상의 6개 침실 주택도 361만 달러에 낙찰, 주목을 받았다.

지난 주말 가장 높은 낙찰가를 기록한 주택은 동부(east Sydney) 사우스 쿠지South Coogee)의 데닝 스트리트(Denning Street)에 자리한 4개 침실 주택으로, 낙찰 가격은 600만 달러에 달했다. 반면 가장 낮은 거래 가격의 주택은 레이크 헤이븐(Lake Haven)의 코비 클로즈(Koby Close)에 있는 3개 침실 주택으로 낙찰가는 42만 달러였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경매 1).png (File Size:323.8KB/Download:19)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277 호주 호주 사회상식- 고립된 이들에 대한 관심, ‘R U OK Day’ file 호주한국신문 21.09.16.
1276 호주 NSW 주 공공보건 명령의 제한 규정 완화 로드맵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09.16.
1275 호주 NSW 주, 백신접종 받은 이들 제한 완화… 증명은 어떻게? file 호주한국신문 21.09.16.
1274 호주 9.11 테러 공격 20년… 2001년 9월 11일 사건이 세상을 바꾼 세 가지 file 호주한국신문 21.09.16.
1273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하버필드 주택, 잠정가격에서 무려 202만 달러 ↑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1272 호주 로즈의 새 주거 프로젝트, ‘햇볕 나눔’ 위한 ‘힐리어스탯’ 주목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1271 호주 호주 주택시장 붐… 가격 상승 속도, 전 세계에서 일곱 번째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1270 호주 8월 호주 실업률, 4.5%로 다시 하락하기는 했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1269 호주 백신접종 마친 호주인, 프랑스 ‘COVID-19 health pass’ 신청 가능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1268 호주 “추석은 다문화 국가인 우리가 가진 다채로움의 일부…”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1267 호주 경제 전문가들, 부동산 부문에 치중된 지나친 자금 투입 ‘우려’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1266 호주 코로나 바이러스의 영향… 향후 수년간 우리의 삶은 어떻게 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1265 호주 캔버라-시드니-멜번, 세 도시 록다운 조치의 차이점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1264 호주 NSW 주 총리, “COVID 핫스폿 대상 더 엄격한 제한은 최악의 옵션”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1263 호주 호주 12~15세 아동-청소년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 배포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1262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어스킨빌의 4개 침실 테라스 주택, 324만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21.09.30.
1261 호주 시드니 지역 해변 5km 이내 주택가격, 도시 평균의 최대 4배 file 호주한국신문 21.09.30.
1260 호주 호주 주거용 부동산 총 가치, 올해 말 9조 달러 이를 듯 file 호주한국신문 21.09.30.
1259 호주 NSW 주 정부, ‘Service NSW 앱 활용한 ‘백신 여권’ 시범 실시 예정 file 호주한국신문 21.09.30.
1258 호주 팬데믹 상황 길어지자 가정폭력 사례도 크게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21.0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