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데이팅 이론).jpg

미국 UC 버클리(Berkeley) 대학 인지심리과학대(Psychology and Cognitive Science)의 톰 그리피스(Tom Griffiths) 교수. 그는 컴퓨터의 논리와 수학적 계산을 통해 연애를 끝내고 결혼을 결정할 최적의 황금시기를 알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인지과학자, “모든 결정 내리기 전 37%만 조사하라” 조언

 

결혼 전 몇 번의 연애가 가장 적당할까? 지난해 인도네시아 백만장자 사업가와 미녀 연예인이 소개팅 어플 ‘틴더’(Tinder)를 통해 만나 단 7일 만에 결혼에 골인, 비난과 부러움이 뒤섞인 논란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연애의 쳇바퀴에서 벗어나고 싶지만 아직 상대방이 평생 함께 할 만한 최고의 사람인지에 대한 확신이 없어 결혼을 망설이는 커플들에게 일생일대 결정의 시기를 알려주는 ‘컴퓨터 알고리즘 이론’이 화제라고 지난 주 금요일(16일) 시드니 모닝 헤럴드가 전했다.

이제까지 컴퓨터 알고리즘을 사람들의 일상에 접목시키는 방법을 연구해온 미국 UC 버클리(Berkeley) 대학 인지심리과학대(Psychology and Cognitive Science) 톰 그리피스(Tom Griffiths) 교수는 “컴퓨터의 논리와 수학적 계산을 통해 결혼의 황금시기를 알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가 말하는 ‘최적 정지 문제’(the optimal stopping problem) 이론에 따르면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모든 의사결정은 37%의 사전조사를 거친 후가 가장 적당하다. 예를 들어 집을 구매할 경우 주택시장을 37% 조사했다면, 이제 거주할 집에 대한 최종 결정을 내릴 시기다.

‘최적 정지 문제’는 응용 확률론, 통계학, 의사결정이론 분야에서 ‘어느 시점에 어떤 결정을 해야 하는지’에 관해 연구하는 이론으로, 그리피스 교수는 결혼 문제(marriage problem)도 이를 적용해 공식화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는 연애를 “결혼이라는 의사결정을 내리는 시기를 찾아가는 일련의 과정”라고 정의하고, 연애를 통해 37%의 이성 경험을 했다면 다음으로 만나는 사람 중에서 그간 만나온 이성과 비교해 가장 괜찮다고 생각되는 사람에게 집중할 시기라고 설명한다.

그리피스 교수는 동료 인지과학자 브라이언 크리스찬(Brian Christian) 교수와 함께 지난해 이 이론을 바탕으로 한 공동 저서 ‘ALGORITHMS TO LIVE BY’를 출간했다.

지난주 금요일(16일) 시드니에서 열린 ‘테드엑스’(TEDx) 강연회에 참석한 그리피스 교수는 ‘Everyday algorithms’라는 제목으로 이 이론에 관해 설명하면서, 일상생활에서 컴퓨터 알고리즘을 활용해 효율적인 삶을 누릴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인간은 컴퓨터와 달리 적은 양의 데이터만을 가지고 일반화하는 경향이 있다”며 “사람이 할 수 있는 것을 컴퓨터에 입력해 인간의 이성적인 논리를 보다 잘 이해하고, 컴퓨터가 더 잘 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하면 인간의 일에 대한 통찰력을 얻을 수 있다”고 말했다.

따라서 사람의 일이 위협받는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에 대해 우려하기보다 “컴퓨터와 더 함께 일하고 컴퓨터의 시각을 이해하려는 노력이 중요하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그는 이어 인간의 감정과 즉흥성 또한 컴퓨터 이론에 접목시킬 수 있다고 주장했다. 타인의 생각에 대해 알지 못하는 상황을 기반으로 한 무작위성(randomness)과 게임이론(game theory, 자신의 의사결정으로 인한 성공이 다른 사람의 선택에 의존적인 상황을 수학적으로 설명한 이론)을 통해서 이를 수학적으로 알고리즘화 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김진연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데이팅 이론).jpg (File Size:77.0KB/Download:27)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277 호주 호주 사회상식- 고립된 이들에 대한 관심, ‘R U OK Day’ file 호주한국신문 21.09.16.
1276 호주 NSW 주 공공보건 명령의 제한 규정 완화 로드맵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09.16.
1275 호주 NSW 주, 백신접종 받은 이들 제한 완화… 증명은 어떻게? file 호주한국신문 21.09.16.
1274 호주 9.11 테러 공격 20년… 2001년 9월 11일 사건이 세상을 바꾼 세 가지 file 호주한국신문 21.09.16.
1273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하버필드 주택, 잠정가격에서 무려 202만 달러 ↑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1272 호주 로즈의 새 주거 프로젝트, ‘햇볕 나눔’ 위한 ‘힐리어스탯’ 주목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1271 호주 호주 주택시장 붐… 가격 상승 속도, 전 세계에서 일곱 번째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1270 호주 8월 호주 실업률, 4.5%로 다시 하락하기는 했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1269 호주 백신접종 마친 호주인, 프랑스 ‘COVID-19 health pass’ 신청 가능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1268 호주 “추석은 다문화 국가인 우리가 가진 다채로움의 일부…”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1267 호주 경제 전문가들, 부동산 부문에 치중된 지나친 자금 투입 ‘우려’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1266 호주 코로나 바이러스의 영향… 향후 수년간 우리의 삶은 어떻게 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1265 호주 캔버라-시드니-멜번, 세 도시 록다운 조치의 차이점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1264 호주 NSW 주 총리, “COVID 핫스폿 대상 더 엄격한 제한은 최악의 옵션”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1263 호주 호주 12~15세 아동-청소년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 배포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1262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어스킨빌의 4개 침실 테라스 주택, 324만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21.09.30.
1261 호주 시드니 지역 해변 5km 이내 주택가격, 도시 평균의 최대 4배 file 호주한국신문 21.09.30.
1260 호주 호주 주거용 부동산 총 가치, 올해 말 9조 달러 이를 듯 file 호주한국신문 21.09.30.
1259 호주 NSW 주 정부, ‘Service NSW 앱 활용한 ‘백신 여권’ 시범 실시 예정 file 호주한국신문 21.09.30.
1258 호주 팬데믹 상황 길어지자 가정폭력 사례도 크게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21.0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