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광역시드니).jpg

센서스 2016 집계가 공개된 가운데 광역시드니 지역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너시드니와 광역 서부 시드니 간 라이프스타일 격차가 두드러진 것으로 진단됐다. 사진은 시드니 도심의 행인들.

 

시드니 ‘이너-광역 서부’ 지역 가구 연평균 소득 차이, 3만8천 달러

 

시드니 도심 및 이너서버브(inner suburb)와 먼 외곽 지역 간 소득 수준에 따른 라이프스타일 격차도 상당히 심화된 것으로 분석됐다.

금주 화요일(27일) 호주 통계청(ABS)의 센서스 2016 결과가 공개된 가운데 시드니 모닝 헤럴드는 시드니 지역별 소득을 분석, 그 격차로 인해 라이프스타일도 크게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고 진단했다.

동 신문의 분석에 따르면 시드니 도심에서 남쪽으로 시드니 공항 지역, 북서쪽으로 홈부시(Homebush), 북동쪽으로는 팜비치(Palm Beach)에 이르는 이너시드니(inner Sydney) 지역 가구 연평균 소득은 13만1,248달러였다. 이는 그 외 광역시드니 외곽 지역민들의 연평균 소득보다 3만8천 달러, 광역시드니 외 NSW 주 지역 평균에 비해서는 5만6천 달러가 높은 수입이다.

인구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한 광역시드니 자료 분석은 또한 이너시드니(inner Sydney)가 고밀도 주거지로 변모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센서스 2016 조사에서 시드니 이너 지역 아파트 또는 유닛 거주 비율은 49.2%로 시드니 외곽 아파트 거주 비율 16.4%, 광역시드니를 벗어난 지역 6.44%와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호주 전체적으로 아파트 또는 유닛 거주 비율은 13%이다.

현재 이너 시드니의 경우 3명 중 1명은 단독주택에 거주하며 7명 중 1명은 세미 / 타운하우스 또는 테라스 하우스에 거주하고 있다.

시드니사이더들의 주택 소유 비율(완전 소유 또는 주택담보대출 상태 포함)은 62.3%였으며, 이는 호주 전체 주택소유 비율에 비해 3%포인트 낮은 수치이다.

아울러 이번 인구조사 자료 분석은 광역 서부시드니(greater western Sydney) 및 센트럴코스트 지역 가구들이 시드니의 치솟은 주택 가격으로 다른 지역에 비해 더욱 큰 압박을 받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 지역 가구의 경우 임대비용으로 주(week) 소득의 62.4%를 지출하고 있다. 이는 이너시드니 지역 가구의 주거비 평균 지출인 소득의 53%를 크게 상화하는 것이다.

이 지역 가구의 소득별 주택담보대출 상환 비율도 평균 27%로, 이너시드니에 비해 3%포인트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현재 이너시드니 평균 임대료는 주(week) 550달러이며, 이는 광역시드니 외 NSW 주 평균 임대료의 두 배에 달하는 비용이다.

광역 서부시드니의 경우 종교에서도 두드러진 차이를 보였다. 이 지역 거주민 가운데 비종교인 비율은 20%로, 이는 이너시드니 34%, 호주 전체 평균 30%의 비종교인 비율과 크게 비교되는 수치이다.

호주가 아닌 해외 지역 출생 비율도 뚜렷하게 나타났다. 광역시드니의 해외출생자 비율은 53%였으며 광역 서부시드니만을 보면 이 수치는 59%에 달했다. 광역시드니 지역 중간 연령은 36세(호주 전체 중간연령은 38세)로 나타났으며, 이는 시드니 외 NSW 주의 중간연령에 비해 7세 낮은 것이다.

시드니 모닝 헤럴드가 분석을 위해 구분한 이너시드니 지역에는 160만 인구가 거주하고 있다. 이와 비교를 위해 구분한 광역 서부시드니 및 센트럴코스트 지역 거주 인구는 320만 명, 광역시드니를 벗어난 NSW 주 인구는 260만 명이다.

센서스 2016 집계 결과는 또한 광역시드니 거주민들이 보다 부유해졌음을 보여준다. 이 지역 가구당 연평균 소득은 처음으로 10만 달러를 넘어섰다. 이는 5년 전인 2011년 인구조사 결과에 비해 1만6천 달러 높은 연소득이다.

 

■ 가구당 주(week) 평균 소득

-Inner Sydney : $2094

-Outer Sydney : $1585

-Rest of NSW : $1168

-Total NSW : $1486

Source : ABS

 

■ NSW 주 거주민 출생 국가

-Australia : 4,899,090명

-Not stated : 508,571명

-China : 234,508명

-Born elsewhere : 231,096명

-England : 226,564명

-India : 143,459명

-New Zealand : 117,136명

Source : ABS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광역시드니).jpg (File Size:90.4KB/Download:21)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297 호주 부에 대한 적절한 세금 부과, 고령자 의료 서비스 향상 기대 file 호주한국신문 21.09.02.
1296 호주 호주인의 자부심 와틀, ‘Acacia’ 학명을 갖기까지의 식물 논쟁 file 호주한국신문 21.09.02.
1295 호주 광역시드니 봉쇄 조치 10주, 높은 감염자수 계속되는 이유는? file 호주한국신문 21.09.02.
1294 호주 NSW 주 총리, “백신접종 마친 이들에게 제한 규정 더 완화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1.09.02.
1293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허물어져가는 주택, 가격은 140만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21.09.09.
1292 호주 ‘그랜드 이스트레이크 쇼핑센터’ 내 ‘울워스 기차역’ 개통 file 호주한국신문 21.09.09.
1291 호주 멜번 단독주택 가격 상승에 유닛 시장도 가파른 성장 예상 file 호주한국신문 21.09.09.
1290 호주 호주 통계청, 2021 인구주택총조사 마지막 참여 촉구 file 호주한국신문 21.09.09.
1289 호주 자녀 학업 성취도 높이려면 ‘칭찬’ 아끼지 말아야... file 호주한국신문 21.09.09.
1288 호주 ‘COVID-19 록다운’ 속에서 번창하는 사업은 무엇? file 호주한국신문 21.09.09.
1287 호주 바이러스 대유행, 호주의 심각한 ‘보건 불평등 고착화’ 우려 file 호주한국신문 21.09.09.
1286 호주 세계보건기구, 또 하나의 변이 ‘Mu’ 바이러스 모니터링 중 file 호주한국신문 21.09.09.
1285 호주 ‘COVID zero’ 불가능... 바이러스와 함께 사는 단계 진입? file 호주한국신문 21.09.09.
1284 호주 집단면역 가능한 COVID-19 백신접종률, 달성 시기는 언제? file 호주한국신문 21.09.09.
1283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아발론비치 주택, 잠정가격에서 72만 달러 ↑ file 호주한국신문 21.09.16.
1282 호주 전염병 사태 따른 ‘록다운’, 도시 거주자들의 지방 이주 촉구 file 호주한국신문 21.09.16.
1281 호주 ANZ 은행, “올해 호주 주택가격 20% 이상 상승할 것” 전망 file 호주한국신문 21.09.16.
1280 호주 광역 멜번 3분의 1 지역, 주택가격 상승이 가계소득 앞질러 file 호주한국신문 21.09.16.
1279 호주 NSW-Queensland 주 정부, 필부 업무 대상 ‘Border Bubble’ 합의 file 호주한국신문 21.09.16.
1278 호주 호주의 ‘mRNA’ 백신 생산 계획, 무리 없이 진행할 수 있을까... file 호주한국신문 21.0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