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경매 1).png

겨울 시즌, 6주 연속 70% 이하의 낙찰률을 기록했던 시드니 주말 경매가 다시 회복세로 돌아서고 있다. 사진은 지난 주말(15일) 경매에서 가장 높은 낙찰가를 기록한 발골라 헤이츠(Balgowlah Heights) 소재 주택.

 

2주 연속 70% 이상 낙찰률... ‘투자자’ 구매, 여전히 강세

 

시드니 경매 시장에 등록되는 매물 수가 다소 감소하기는 했지만 거래 규모에서는 겨울 시즌 중반의 ‘슬럼프’는 없다는 진단이다.

지난 주말(15일) 시드니 경매는 71.5%의 낙찰률을 기록해 지난해 같은 기간의 75.5%보다는 다소 낮은 수준이었다.

하지만 겨울 시즌이 시작된 이후인 지난 6주 사이 가장 높은 수치로, 2주 연속 70% 이상을 기록하고 있다.

한 동안 주춤하던 경매 낙찰률이 다시 상승한 것은 7월1일부터 적용되는 첫 주택 구입자에 대한 세제 혜택 확대가 한 요인으로 분석된다.

지난 주말 경매에 등록된 매물은 499채로 이전 주(531채)에 비해서는 다소 줄었지만 지난해 같은 기간의 371채에 비해서는 크게 증가한 것이다. 이번 주말(22일)에도 비슷한 수준의 매물이 등록되어 있는 상태이며 8월 들어서는 판매자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경매 시장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주 경매의 중간 낙찰가는 122만6,500달러로 집계, 이전 주(116만 달러)보다 다소 오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난해 같은 기간(118만5,500달러)과 비교하면 3.5% 높은 가격이다. 지난 주말 시드니 지역 전체 거래 가격은 2억9,430만 달러였다.

호주 통계청(ABS)의 최근 자료에 따르면 지난 5월 NSW 주의 총 주택대출은 71억 달러로, 이전 달에 비해 30.8% 증가했다.

이는 올 들어 가장 높은 수치이며 지난 5월까지 5개월간 NSW 주의 모기지(mortgage) 총 거래금액은 226억 달러에 달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4.3%가 증가했다.

지난 5월까지 12개월간의 수치 또한 이전 해에 비해 15.8%가 높아진 것으로 주택시장은 지속적으로 강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다만 이 가운데 50.5%가 투자자 대출로 나타났다.

호주 신용자산국(Australian Prudential Regulation Authority. APRA)은 치솟는 주택가격 안정화 방안으로 투자자에 대한 모기지 금리 인상을 결정했다. 하지만 최근의 ABS 자료에 따르면 투자자들의 주택 구입은 위축되지 않았음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시드니 지역의 주택 공실률은 상당히 낮은 수준으로, 주택 가격 상승에 비례해 임대료 또한 높아지고 있다.

지난 주말 경매에서 시드니 서부는 이전과 달리 다소 오른 결과를 보였으며 이너 서버브(inner suburbs) 또한 강세를 이어간 것으로 나타났다.

광역시드니 각 지역별 낙찰률을 보면 북서부(north west)가 90%를 기록했으며, 노던 비치(northern beaches) 78.6%, 도심 및 동부(city and east) 76.7%, 로워노스(lower north) 76.5%, 시드니 서부 75%, 어퍼노스쇼어(upper north shore) 74%로 집계됐다. 이어 사우스(south) 70%, 캔터베리 뱅스타운(Canterbury Bankstown) 68.8%, 이너웨스트(inner west) 63.3%, 센트럴코스트(central coast) 52.2%로였다.

지난 주말 채스우드(Chatswood) 소재 존슨 스트리트(Johnson Street) 상의 4개 침실 주택은 310만 달러의 높은 낙찰가로 화제가 됐으며, 프레시워터(Freshwater_ 로버트 스트리트(Robert Street)의 6개 침실 주택이 263만 달러에, 맨리 빅토리아 퍼레이드(Victoria Parade)의 3개 침실 유닛 260만 달러, 랜드윅(Randwick) 고베트 스트리트(Govett Street) 상의 4개 침실 주택 257만 달러, 글레이즈빌(Gladesville) 브레레튼 스트리트(Brereton Street)에 있는 4개 침실 주택이 254만 달러에 낙찰돼 주목을 끌었다.

지난 주 경매에서 가장 고가에 낙찰된 주택은 발골라 헤이츠(Balgowlah Heights) 피셔 스트리트(Fisher Street) 상의 5개 침실 주택으로 거래 가격은 355만 달러였으며 워이워이(Woy Woy)에 있는 3개 침실 주택은 35만5천 달러로, 가장 저렴한 가격에 낙찰된 주택이었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경매 1).png (File Size:321.7KB/Download:24)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337 호주 Waterfall by Crown Group, 도시설계 우수성 인정받아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2.
1336 호주 주택가격, 가장 크게 치솟은 시드니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2.
1335 호주 ‘모더나’ 사, 6개월-12세 아동 백신시험으로 호주 포함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2.
1334 호주 RBA 총재, “경제적 피해 줄이려면 백신접종 서둘러야...”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2.
1333 호주 “COVID-19 백신접종, 바이러스 감염 위험 낮추는 유일한 방법...”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2.
1332 호주 광역시드니의 장기화되는 봉쇄 조치, 여성-젊은 근로자에 타격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2.
1331 호주 바이러스 백신접종 비율 높은 국가들의 입국자 관리는...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2.
1330 호주 호주 TGA, mRNA 유형의 모더나 백신 ‘조만간 승인’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2.
1329 호주 전염병 사태 이후 50명 이상 호주 시민, 해외에서 사망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2.
1328 호주 모리슨 총리, “모든 직장의 ‘no-jab no-job’ 허용하지 않을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2.
1327 호주 크라운 그룹, ‘HIA Australian Apartment Complex’ 수상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9.
1326 호주 NSW 노스 코스트 지역 중간 임대료, 각 주 도시 능가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9.
1325 호주 선샤인코스트 주택가격 상승, 퀸즐랜드 주요 도시 능가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9.
1324 호주 호주통계청, 올해 ‘인구주택총조사’ 참여 독려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9.
1323 호주 바이러스 대유행 이후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크게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9.
1322 호주 “감정 장애를 가진 이들, COVID-19로 인한 위험 더 높다...”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9.
1321 호주 호주인 질병 부담의 3분의 1은 예방 가능한 위험 요인...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9.
1320 호주 호주 소비자 심리 최저 수준으로 하락... “백신이 희망이다”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9.
1319 호주 델타 변이, 젊은층에 심각한 심장 합병증 유발할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9.
1318 호주 연방 의회위원회, “숙련기술자 영주권 취득 절차 완화해야”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