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드니의 중국 및 한국계 업소에 취업하는 해외 근로자들에 대한 임금 착취 실태가 관례화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또한 이들 업소들은 주로 중국어 및 한국어로 운용되는 온라인 구인 사이트를 통해 법정 최저 임금 규정을 무시하는 구인광고를 버젓이 게재하고 있다는 점도 부각됐다. 

이같은 사실은 NSW 노조연합(Unions NSW)이 지난해와 올해에 걸쳐 한국과 중국, 스페인어로 각각 운영되는 생활 정보 사이트와 소셜미디어 등에 게재된 구인광고를 분석한 보고서를 통해 폭로됐다.

이번 조사를 이끈 NSW 노조연합의 마크 모리 사무총장은 “이들 이민자 사회에서는 당국이 제시하는 법정 최저임금보다 자체적인 임금 기준을 제시해도 된다는 구조적 통념이 형성돼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이같은 해외 근로자들에 대한 저임금 실태는 요식업계에서 가장 보편화되고 있으며 상황은 지난해보다 올해 더 악화된 것으로 지적됐다.

모리 사무총장은 “이같은 관행은 법정 최저임금을 준수하는 기업에 불이익을 안겨줌과 동시에 불공정한 경쟁 환경을 조성한다”고 경고했다.

‘블랙 마켓의 조명: 최저임금 준수’(Lighting up the black market: Enforcing minimum wages)라는 제하의 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어나 한국어 생활정보 사이트에 구인광고를 하는 업주 10명 가운데 8명 이상이 호주의 법정 최저 임금을 무시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인 사이트의 구인광고 72개 중 84%가 법정임금 미만을 지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고에 제시된 시간당 평균 임금은 15달러 75 센트였으며 법정 최저임금에 못미친 경우의 평균 시급은 14달러 61센트였다.

호주 공정근로위원회(FWC)는 최저 임금을 지난해 대비 3.3% 인상한 18달러 29센트로 책정해 7월 1일부터 시행에 돌입한 바 있다.

한인 온라인 구인 광고의 약 절반은 요식업 분야의 광고로 파악됐다.

한편 중국어 사이트의 경우 87개 구인광고 중 89%가, 스페인어 사용자 대상 페이스북에 오른 41개 광고 중 44%가 각각 법정 최저임금에 못미치는 시급을 제시했다.

(호주의 법정 최저임금에 못미치는 시급을 제시한 온라인 구인광고 사례)

이번 조사는 지난해 3월과 올해 4월 두 차례에 걸쳐 실시됐으며 법정 최저임금 이하를 지급하는 사례는 지난해 74%, 올해는 83%로 상승했다.

한편 이번 조사에서 최악의 임금착취 사례는 시급 4달러가 제시된 유모 일자리였으며, 무직에 대해서도 시급 9달러가 제시되는 사례가 적발됐다.

이들 모두 중국어 사이트를 통해 게재된 구인광고로 알려졌다.

아울러 소매업체 종업원의 경우 법정 최저임금에 7달러 36센트 부족한 12달러 9센트의 시급이 제시됐다.

지난 2015년 8월 시드니 모닝 헤럴드가 국내의 대표적 편의점 체인 세븐일레븐에서 만연된 임금착취 실태를 폭로하면서 촉발된 해외 근로자 저임금 문제는 공정근로옴부즈맨실의 전방위 단속 사태로 이어진 바 있다.  

실제로 최근 2년여 동안 공정근로옴부즈맨실은 시드니, 멜버른, 브리즈번 등 대도시에서 한국계 및 중국계 사업자들이 운영하는 카페, 스시체인, 식당 등에 대해 집중적인 단속을 벌여 벌금을 부과하거나 기소해왔다.

 

<사진=Getty Image.  카페에서 바리스타로 근무하는 한 아시아 계 여성>

©TOP Digital

http://topdigital.com.au/node/4269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337 호주 Waterfall by Crown Group, 도시설계 우수성 인정받아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2.
1336 호주 주택가격, 가장 크게 치솟은 시드니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2.
1335 호주 ‘모더나’ 사, 6개월-12세 아동 백신시험으로 호주 포함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2.
1334 호주 RBA 총재, “경제적 피해 줄이려면 백신접종 서둘러야...”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2.
1333 호주 “COVID-19 백신접종, 바이러스 감염 위험 낮추는 유일한 방법...”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2.
1332 호주 광역시드니의 장기화되는 봉쇄 조치, 여성-젊은 근로자에 타격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2.
1331 호주 바이러스 백신접종 비율 높은 국가들의 입국자 관리는...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2.
1330 호주 호주 TGA, mRNA 유형의 모더나 백신 ‘조만간 승인’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2.
1329 호주 전염병 사태 이후 50명 이상 호주 시민, 해외에서 사망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2.
1328 호주 모리슨 총리, “모든 직장의 ‘no-jab no-job’ 허용하지 않을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2.
1327 호주 크라운 그룹, ‘HIA Australian Apartment Complex’ 수상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9.
1326 호주 NSW 노스 코스트 지역 중간 임대료, 각 주 도시 능가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9.
1325 호주 선샤인코스트 주택가격 상승, 퀸즐랜드 주요 도시 능가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9.
1324 호주 호주통계청, 올해 ‘인구주택총조사’ 참여 독려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9.
1323 호주 바이러스 대유행 이후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크게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9.
1322 호주 “감정 장애를 가진 이들, COVID-19로 인한 위험 더 높다...”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9.
1321 호주 호주인 질병 부담의 3분의 1은 예방 가능한 위험 요인...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9.
1320 호주 호주 소비자 심리 최저 수준으로 하락... “백신이 희망이다”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9.
1319 호주 델타 변이, 젊은층에 심각한 심장 합병증 유발할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9.
1318 호주 연방 의회위원회, “숙련기술자 영주권 취득 절차 완화해야”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