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산불 1).jpg

지난 겨울 시즌의 적은 강수량에 건조한 날씨가 이어지면서 올 여름 산불 발생 위험이 그 어느 때보다 높으며 또한 산불이 일찍 시작될 것이라는 경고가 나왔다.

 

‘적은 강수량-건조한 겨울 기후’로... CRC, 사전대비 강조

 

예년과 달리 올해 산불 발생 위험이 크게 높아졌으며, 산불발생 또한 일찍 시작될 것이라는 경고가 나왔다.

호주 산불 및 국가재난 연구센터(Bushfire and Natural Hazards Cooperative Research Centre. CRC)는 최근의 계절별 기후상황 분석을 기반으로 특히 호주의 다수 인구가 집중된 동부와 남부 호주 지역에서의 산불발생 위험이 높다고 경고하면서 각 주택 소유자들에게 “지금부터 대비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CRC 분석에 따르면 올해 겨울은 공식 기록 이래 9번째로 건조한 날씨가 이어졌으며, 호주 전역 대부분 지역에서 산불 위험도 높아졌다.

또한 올 봄, 남동부 지역의 경우 평균보다 높은 고온이 예상되면서 자연발화로 발생되는 산불이 일찍 시작될 것이라는 예측이다.

금주 화요일(5일) CRC가 공개한 산불위험 지도는 인구밀도가 높은 호주 동부 및 남부지역의 위험도를 보여주고 있다.

이날 호주 전역의 지방소방당국 책임자들은 시드니에서 열린 비상사태 대책 회의를 갖고 예년에 비해 일찍 시작된 산불 시즌에 대해 논의하면서 또한 주택 소유자들에게 이에 대한 대비를 철저히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빅토리아 주 소방청의 크레이그 랩슬리(Craig Lapsley) 청장은 “올해의 경우 빅토리아 주 전역은 호주에서 가장 산불 위험이 높다”고 경고했다.

 

종합(산불 2).png

호주 전역의 산불 발생 위험이 높은 지역을 표시한 지도. 호주 산불 및 국가재난 연구센터(Bushfire and Natural Hazards Cooperative Research Centre. CRC)가 최근의 계절별 기후 상황을 분석, 작성한 것이다.

 

NSW 주의 셰인 피츠사이먼 청장 또한 “현 상태를 감안할 때 NSW 주 일부 지역은 최악의 재앙이 될 위험이 있다”며 “전 지역의 수분이 마른 상태로, 더 많은 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CRC가 분석한 각 지역별 상황을 보면 퀸즐랜드 남동부(South-east Queensland)는 올 겨울 높은 평균기온으로 화재발생 위험이 증가했으며, 빅토리아 주는 산불 발생이 이른 시기에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또 NSW 주 동부의 경우 적은 강수량으로 건조지역이 확대되면서 예년보다 극심한 산불이 예상된다.

타스마니아(Tasmania) 및 ACT 또한 건조한 날씨가 이어지면서 산불 발생 가능성이 크게 높아졌으며 남부 호주(SA)의 경우 북부 및 내륙 중앙 지역이 특히 건조한 상태이다. 서부 호주(WA)는 남서부 지역이 지난 5년 이래 가장 건조한 기후가 이어짐으로써 산불 위험도 크게 증가했다.

앞서 CRC는 지난 7월, 서부 호주와 퀸즐랜드 북부, 북부 호주(NT) 내륙 지역에 대한 산불 위험을 경고한 바 있다. 지난 겨울의 강수량은 평균치에 크게 못 미치는 수준이었으며, 건조한 기후는 기후 집계 이래 9번째였던 것으로 기록됐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산불 1).jpg (File Size:54.2KB/Download:25)
  2. 종합(산불 2).png (File Size:153.3KB/Download:23)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557 호주 ‘센서스 2016’- 시드니 외곽, 해외 출생 거주민 없는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17.09.07.
1556 호주 취업시장의 ‘호주인 우선’? 일부 기업 ‘400 비자’ 악용 file 호주한국신문 17.09.07.
1555 호주 호주 ‘동성결혼 합법화’... 지지-반대 계층은 누구? file 호주한국신문 17.09.07.
1554 호주 시드니의 높은 주택 가격... ‘모기지’에 필요한 수입은? file 호주한국신문 17.09.07.
» 호주 동부 및 남부 지역, 올 여름 산불 위험성 크게 높아져 file 호주한국신문 17.09.07.
1552 호주 호주 부동산 시장... 시드니 둔화 속 호바트 ‘부상’ file 호주한국신문 17.09.07.
1551 호주 RBA, 경기 회복세 불구하고 기준금리 동결 file 호주한국신문 17.09.07.
1550 호주 노스 시드니 해군 잠수함 기지, 150년 만에 개방 file 호주한국신문 17.09.07.
1549 호주 스트라스필드 공원, ‘Adventure Playground’ 개장 file 호주한국신문 17.09.07.
1548 호주 주택시장, 2012년 이래 가장 저조한 봄 시즌 시작 file 호주한국신문 17.09.07.
1547 호주 호주 2분기 경상적자 95.6억 달러 기록…예상 앞질러 톱뉴스 17.09.05.
1546 호주 RBA 기준금리 1.5% 13개월째 동결…달러화도 하락세 톱뉴스 17.09.05.
1545 호주 쇼튼, 영국 국적 취소 문건 공개… 조이스 부총리 이중국적 파상공세 가중 톱뉴스 17.09.05.
1544 호주 이중국적 파상공세 노동당에 토니 애벗 일격 톱뉴스 17.09.05.
1543 호주 호주, ‘살인 감기’에 깊은 시름…감기 환자 급증 톱뉴스 17.09.05.
1542 호주 “동성결혼이 세계적 대세…?” 톱뉴스 17.09.04.
1541 호주 사커루즈, 일본에 0-2 완패...러시아 행 ‘불투명’, 일본은 ‘확정’ 톱뉴스 17.09.04.
1540 호주 북한 수소탄 실험 성공 주장 톱뉴스 17.09.04.
1539 호주 호주, “북한의 무모한 도발행위, 강력 규탄”…가능한 모든 조치 촉구 톱뉴스 17.09.04.
1538 호주 “주택난, 최소 40년 지속된다” 톱뉴스 17.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