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국 공용어 커피’…향과 종류는 각양각색

호주의 ‘커피’는 미국, 유럽과도 다르다.  수많은 카페와 커피 전문점이 즐비한 한국과는 더욱 다르다.  

이탈리아에서 이민자들이 대거 유입되면서 자기들의 커피를 가지고 왔고, 호주에 정착하면서 ‘호주만’의 스타일로 자리를 잡았기 때문이다.

심지어 호주 내의 카페마다 커피를 만드는 법이 달라 ‘맛’과 ‘향’은 그야말로 천차만별이다.

커피 종류에 따라, 사용하는 우유에 따라 ‘맛’이 달라지지만 우선 커피 종류에서부터 오는 차이를 알면 맛을 가늠하기 쉬워진다.

보통 호주에선 단골 카페가 있다.

워낙 카페마다 커피의 맛이 다르기 때문에 자신의 입맛에 딱 맞는 커피를 찾아 늘 그곳에서 아침을 시작한다.

바리스타 또한 손님마다의 취향(?)을 알아 맞춤용 커피를 만들어 주곤한다.

호주 카페에 익숙해지면 어느 덧 자신의 커피에도 요구 사항이 하나 둘 늘게 된다.

더블 샷으로 해 달라거나 우유는 스킴 밀크(Skim milk, 무지방)로 혹은 좀 더 뜨겁게(extra hot) 등, 마시는 즐거움은 배가 된다.  

 

에스프레소 vs 롱블랙

블랙커피를 즐길 수 있는 방법은 ‘에스프레소’나 ‘롱 블랙’이다. ‘에스프레소’는 말 그대로 작은 커피잔에 에스프레소만 투하하면 된다.

이 때 중요한 건 에스프레소의 온도에 따라 맛이 달라진다는 것.

실내 온도 또는 컵의 모양에 따라 식는 속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미묘한 ‘맛’의 차이가 생긴다.

‘롱 블랙’은 ‘아메리카노’처럼 에스프레소에 뜨거운 물을 섞어 만든다. ‘롱 블랙’과 ‘아메리카노’의 차이는 뜨거운 물에 에스프레소를 추가하느냐, 에스프레소에 뜨거운 물을 붓느냐이다.

호주에서 선호하는 방식은 뜨거운 물에 바로 에스프레소를 뽑는 ‘롱 블랙’이다.

이럴 경우 커피의 갈색 빛을 띠는 크림인 크레마를 더 온전하게 유지할 수 있어 진한 커피 맛을 그대로 느낄 수 있다.

여기서 중요한 건 물의 온도. 과하게 뜨거운 경우가 종종 있어 ‘롱 블랙’을 마실 경우, 데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카푸치노라떼플랫 화이트

우유를 섞는 커피 중 가장 헷갈리는 것은 카푸치노, 라떼, 플랫 화이트.

비슷한 듯 하면서도 전혀 다른 맛을 지닌 이 커피들의 가장 큰 공통점은 모두 에스프레스에 우유를 데워 섞는다는 것.

하지만 카푸치노인 경우 에스프레소에 보통 같은 양의 데운 우유와 우유 거품을 그리고 마지막에 초콜릿 파우더를 뿌리지만 라떼인 경우에는 에스프레소에 데운 우유와 약간의 우유 거품을, 플랫 화이트는 에스프레소에 데운 우유를 넣는다. 보통 우유 거품이 많이 들어간다는 의미는 우유 양이 데운 우유를 넣는 것보다 적게 들어가기 때문에 커피의 맛은 강해진다.

 

마끼아토 vs 피콜로 라떼

마끼아또와 피콜로 라떼 또한 차이가 금방 떠오르지 않는 커피들 중 하나다. 마끼아또는 이탈리아어로 ‘Stained(얼룩이 묻은)’이라는 뜻으로 에스프레소 위에 소량의 우유와 우유 거품을 얹는다.

보통 숏 마키아또는 싱글 샷에 우유 거품을, 롱 마끼아또는 더블 샷에 우유 거품을 얹는다.

피콜로 라떼는 일반적인 라떼보다 우유를 덜 첨가해 만드는, 작은 라떼로 보면 된다.

보통 피콜로 라떼의 양은 에스프레스 컵보다는 많게, 하지만 일반 라떼 컵보다는 작은 양이다.

 

어린이를 위한 호주판 곶감’, 베이비치노

베이비치노는 어린 아이를 둔 엄마 입장에선 곧잘 시키게 되는 메뉴 중 하나다.

한국에선 보기 어렵지만, 호주에선 어린 아이를 위해 대부분 메뉴에서 베이비치노를 쉽게 찾을 수 있다.

우유 거품으로 만드는 베이비치노에서 가장 중요한 건 ‘거품(foam)’과 온도다. 이미 우유를 마시고 있는 아이에게 색다른 우유의 맛을 전하는 게 포인트.

거품은 높은 밀도로, 마지막에 초콜릿 가루를 살짝 뿌리면 더할 나위 없는 어린이용 전용 ‘베이비치노’가 탄생한다.

이 외에도 호주 메뉴에선 커피를 다양하게 즐길 수 있는 방법이 많다. 라떼의 경우는 시럽을 첨가하는 것에 따라 커피의 맛과 향이 달라진다.

 

우유 vs 시럽

라떼를 주문할 때 헤이즐넛, 카라멜, 바닐라&아이리쉬 크림 등을 추가하면 더 달달한 맛을 즐길 수 있다.

차의 맛을 더불어 느끼고 싶다면 차이 시럽을 넣어 만든 차이라떼(Chai Latte)를 시키면 된다.

초콜릿의 맛을 함께 맛보고 싶다면 에스프레소에 데운 우유, 약간의 우유 거품, 그리고 초콜릿을 함께 넣어 만든 모카를 주문하면 된다.

아포가토는 에스프레소에 바닐라 아이스크림을 넣어 커피를 색다르게 즐길 수 있다.

카페마다 다르지만 아이스 커피를 주문할 경우 얼음을 넣어 만들어 주는 곳도 있지만 호주에선 보통 얼음 대신 바닐라 아이스크림을 넣어주는 경우도 많다.

미리 확인(?)을 해야 원하는 아이스 커피를 마실 수 있다.

특히 커피의 맛을 결정짓는 것 중 하나는 우유. 여기서도 선택권이 있다. 일반적으로 풀 크림 밀크(Full cream milk)를 사용하지만 스킴 밀크(Skim milk, 무지방), 소이 밀크(Soy milk, 두유) 등 자신의 선호도에 맞게 커피를 주문 할 때 넣을 우유도 함께 고르면 된다.   

 

©TOP Digital

http://topdigital.com.au/node/4576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617 호주 시드니 경매서 가장 많이 거래된 매물은 2개 침실 주택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2.
1616 호주 호주 관광산업, 해외여행자 감소로 월 30억 달러 손실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2.
1615 호주 “강한 메시지가 필요하다”... 각 주 정부, ‘pupil-free’ 선언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2.
1614 호주 모리슨 정부, ‘코로나 바이러스 지원금’ 수혜대상 범위 확대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2.
1613 호주 각 주 주요 도시들, 주차위반 범칙금 부과 ‘완화’하기로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2.
1612 호주 NSW 주 COVID-19 감염자 3분의 1이 20-30대 계층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2.
1611 호주 호주 전역의 캐러밴 여행자들, 현지 투어리스트 파크에 발 묶여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2.
1610 호주 ‘사회적 거리 두기’ 강화... 모든 모임 2명으로 제한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2.
1609 호주 연방 정부의 ‘Two-person rule’, 각 주-테러토리 제재는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2.
1608 호주 호주 음악치료사의 ‘Every Little Cell’, 지구촌으로 퍼져나가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2.
1607 호주 ‘공황’ 상태서 마구잡이 사들인 음식물... 결국 쓰레기통으로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2.
1606 호주 해외에서 도착시 2주간 호텔-캐러밴 파크서 ‘격리 강제화’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2.
1605 호주 정부, 기업의 고용자 임금 지원 위해 1천300억 달러 책정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2.
1604 호주 NSW 주, ‘목적 없는 외출’ 금지... 강력한 통제 규정 발표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2.
1603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온라인 경매 지속... 대다수 매물, 직접 매매로 전환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8.
1602 호주 3월 주택가격 상승... 성장폭은 지난해 7월 이후 가장 낮아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8.
1601 호주 호주 NBN, “인터넷 접속 증가했지만 문제는 없다”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8.
1600 호주 광역시드니 인구 증가율, 7년 만에 최저 수준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8.
1599 호주 ‘Working Parents’ 자녀에게 무료 차일드 케어 제공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8.
1598 호주 애니메이션 ‘블루이’, ‘International Emmy Kids Award’ 수상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