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트램 1).jpg

60년 전, 마지막으로 운행됐던 트램의 나머지 흔적을 철거하는 작업이 지난 달 28일(목) 시작됐다. 1957년 10월1일, 피트 스트리트(Pitt Street)의 트램 선로를 허물고 도로포장 작업이 진행 중인 공사 구간을 지나가는 ‘A339 클로벨리’(Clovelly) 버스(사진).

 

Pitt-Castlereagh Street 구간 마지막 선로 철거 시작

1957년 9월28일, 시드니에 첫 버스운행이 시작되면서 새로운 교통수단의 시대가 열렸다. 보다 빠른 버스의 등장으로 반세기를 이어온 트램 시설은 서서히 역사속으로 사라져갔다.

그로부터 정확히 60년이 흐른 지난 9월28일(목) 새벽 1시, 보타니(Botany)로 향하는 운행을 마지막으로 시드니 도심 피트-캐슬리 스트리트(Pitt-Castlereagh Street) 구간의 나머지 트램 선로를 철거하는 공사가 시작됐다.

이 시간, 시드니 시티 카운슬(City of Sydney)의 의뢰로 공사 현장에 나온 40여 작업자들은 공중에 늘어선 트램의 전선을 끊고 배전선(feeder cables)과 접지선(earth wires) 제거 작업을 진행했다. 바닥의 선로 또한 아스팔트로 덮는 작업에 착수했다.

이번 공사는 NSW 주 교통부 데이빗 쇼브리지(David Shoebridge) 장관이 발표한 새 버스 운행 프로그램에 따라 진행됐다. 주 교통부에 따르면 해당 구간의 운송 서비스는 버스로 대체된다.

 

종합(트램 2).jpg

1957년 10월29일, 시드니 도심 브로드웨이(Broadway) 코너에 서 있던 트램 신호소 철거 진행 장면.

 

종합(트램 3).jpg

1957년 10월29일, 트램 신호소 철거 작업이 진행되는 가운데 지역 주민들이 트램과의 고별 행사를 벌이고 있다.

 

종합(트램 4).jpg

1957년 9월28일 덜위치(Dulwich)로 향하는 마지막 트램 운행을 막아선 대학생들.

 

종합(트램 5).jpg

1957년 패팅턴(Paddington) 지역 옥스퍼드 스트리트(Oxford Street)를 운행하는 트램.

 

종합(트램 6).jpg

시드니 트램에서 일했던 여성 안내원 달라 도일(Darla Doyle)씨. 1957년 3월15일 촬영된 사진이다.

 

시티 카운슬의 스티브슨(Steveson) 수석 엔지니어에 따르면, 피트 스트리트 상에서 가장 교통량이 많은 헌터-굴번 스트리트(Hunter-Goulburn Street) 사이 구간에서 가장 먼저 작업이 시작됐다.

그는 “캐슬리 스트리트 구간은 바닥 트램 선로가 나무벽돌과 쇄석 도로로 되어 있어 공사가 보다 어려운 관계로 추후 진행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공사와 함께 트램을 옮기는 작업도 진행됐다. 트램 열차를 운전했던 운전기사들이 밤새 뉴타운(Newtown) 차고에서 71개의 트램을 다른 차고로 옮겼다.

이날(28일) 저녁 서큘라키(Circular Quay)에는 트램을 사랑하는 사람들이 모여 보타니(Botany)로 향하는 마지막 열차를 향해 작별행사를 진행하기도 했다.

고령의 한 은퇴 트램 운전기사는 시드니 모닝 헤럴드와의 인터뷰에서 “트램 대학살”이라며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된 트램의 흔적을 못내 아쉬워 했다.

 

김진연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트램 1).jpg (File Size:60.8KB/Download:27)
  2. 종합(트램 2).jpg (File Size:66.8KB/Download:30)
  3. 종합(트램 3).jpg (File Size:42.3KB/Download:25)
  4. 종합(트램 4).jpg (File Size:55.7KB/Download:33)
  5. 종합(트램 5).jpg (File Size:47.5KB/Download:26)
  6. 종합(트램 6).jpg (File Size:31.3KB/Download:3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617 호주 미화 대비 호주 달러 하락세 예고 톱뉴스 17.09.29.
3616 호주 38년 빈 서리힐즈 흉가 테라스하우스 ‘160만 달러’ 매각 톱뉴스 17.09.29.
3615 호주 초보자에게 유용한 셀프 인테리어 팁 톱뉴스 17.09.29.
3614 호주 “현실성 결여된 재생 에너지 정책…?” 톱뉴스 17.09.29.
3613 호주 [인터뷰] ‘임정연 한복’ 시드니 지점을 운영하고 있는 정소윤씨 톱뉴스 17.09.29.
3612 호주 애보리진 문화 속으로! ‘샌드 송’ 톱뉴스 17.09.29.
3611 호주 휘영청 밝은 달, 4일은 추석 톱뉴스 17.09.29.
3610 호주 세계적 가스 생산국의 가스 수급난 톱뉴스 17.09.29.
3609 호주 씨티그룹, 호주 성장세 상향 전망 속 금리동결 예측 톱뉴스 17.09.29.
3608 호주 2016-17 연방예산 적자 규모, 4년 최저치 톱뉴스 17.09.29.
3607 호주 브랙퍼스트 포인트 3베드룸 하우스, 3년만에 114만 달러 시세 차익 톱뉴스 17.09.29.
3606 호주 호주서 탄생된 김정은 햄버거: ‘김정얌냠 버거(Kim Jong Yum burger) 톱뉴스 17.10.03.
3605 호주 ‘동성애 상징곡’ Same Love의 맥콜리모어 호주 공연료 전액 기부 톱뉴스 17.10.03.
3604 호주 [AFL 최종결승] 리치먼드, 애들레이드 격파…37년만의 우승 감격 톱뉴스 17.10.04.
3603 호주 “동성결혼, 세계적 대세일까…?” 톱뉴스 17.10.04.
3602 호주 호주 기준금리 1.5% 14개월째 동결 톱뉴스 17.10.04.
3601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노동절 연휴로 낙찰률 다소 하락 file 호주한국신문 17.10.05.
3600 호주 RBA, 기준금리 동결... 14개월째 1.5% file 호주한국신문 17.10.05.
3599 호주 퀸즐랜드 내륙의 한 목장, ‘노익장’ 과시하는 101세 목축업자 화제 file 호주한국신문 17.10.05.
» 호주 60년 전의 시드니 트램 흔적, 완전히 사라진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1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