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해변 1).jpg

NSW 주 당국이 최근 주 전역의 해변 수질을 모니터한 결과 해변 가운데는 92%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유명 해변 중 일부는 강수량 등의 요인으로 수질 상태가 ‘악화’됐다는 평이다. 사진은 북부 시드니 지역민들에게 사랑받는 해변 중 하나인 로즈베이 비치(Rose Bay Beach). 이 해변의 수질도 ‘영호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해변 중 92%는 ‘수질 양호’... 호수의 경우 절반 이상 ‘수질 불량’

 

여름 시즌을 앞두고 나온 NSW 주의 각 해변에 대한 연례조사 보고서가 발표됐다.

주 전역 해변을 모니터한 이번 보고서는 조사 대상 비치 중 84%의 해변이 ‘양호’하거나 ‘매우 양호’한 수질 상태를 보인 것으로 확인했지만 시드니사이더들이 많이 이용하는 일부 해변의 경우 건강상 유해한 것으로 지적됐다.

지난 일요일(2일) ABC 방송에 따르면 최근 발표된 ‘State of the Beaches’ 보고서는 NSW 주 전역 250개의 비치, 강 어귀(estuarine), 호수와 인근의 늪(lagoon), 해변의 고립된 웅덩이(ocean baths)의 수질 상태를 조사한 것이다.

이 결과, 수영을 즐길 만한 사이트는 전체의 84%로 지난해(83)보다 약간 나아진 것으로 집계된 반면 일부 유명 해변은 ‘악화’된 것으로 지적됐다.

시드니 북부 도심 인근에 자리하며 지역민들의 애완동물 산책코스로도 사랑 받는 로즈베이 비치(Rose Bay Beach)는 수질이 상당히 악화된 것으로 조사됐다.

이곳 해변의 ‘수질 악화’는 1975년 이래 가장 습한 지난 3월의 기후 상태를 포함해 지난 한해 전반적으로 많은 비가 내린 영향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센트럴코스트(Central Coast)에 자리한 유명 해변 가운데 테리갈 비치(Terrigal Beach)와 아보카 비치(Avoca Beach)의 수질 또한 3년 연속 낮은 점수를 받았다.

이번 보고서는 이들 비치의 경우 건기 상황에서 수영을 즐기는 데에는 문제가 없으나 적은 강수량으로 오염이 된 상태라고 지적했다.

시드니 남부의 말라바 비치(Malabar Beach) 또한 올 들어 이 지역에 집중된 폭우의 영향으로 수질이 악화된 것으로 조사됐다.

 

종합(해변 2).jpg

시드니 인근의 대표적 여름 휴양지인 센트럴코스트(Central Coast) 소재 유명 해변 중 테리갈 비치(Beach at Terrigal. 사진)와 아보카 비치(Avoca Beach)의 수질 또한 3년 연속 낮은 점수를 받았다.

 

종합(해변 3).jpg

지난 수년간 ‘양호’도 아니고 그렇다고 ‘불량’ 상태의 수질도 아닌 것으로 평가된 시드니 동부 쿠지 비치(Coogee Beach)는 이번 조사에서 ‘양호’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시드니사이더들로부터 가장 사랑받는 해변 중 하나로, 지난 3년 연속 ‘양호’와 ‘불량’의 경계 정도로 평가받았던 쿠지 비치(Coogee Beach)는 최근 조사에서 ‘양호한 상태’라는 평가를 나타났다.

쿠지 해변의 경우 다른 비치에 비해 강수량이 해변 수질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올해의 경우 적은 비로 인해 박테리아가 생겨날 위험을 안고 있다.

이와 달리 북부 시드니(northern Sydney)의 ‘Bayview Baths’는 ‘양호’ 판정이었으며 남부 지역의 가장 대중적 해변 중 하나인 사우스 크로눌라 비치(South Cronulla Beach)도 지난해에 비해 ‘더욱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NSW 주 해변 가운데는 98%가 ‘아주 우수한 수질’로 평가됐다. 해변과 달리 이번 조사에서 수영을 즐길 수 있는 28개의 호수와 늪(lake and lagoon) 가운데는 16개의 호수가 ‘양호하지 않음’ 또는 ‘매우 불량’ 상태로 조사됐다.

NSW 주 환경부의 가브리엘르 업튼(Gabrielle Upton) 장관은 “이번 조사 결과 전반적으로 수질이 크게 개선됐다”고 평가했다.

업튼 장관은 “예전에 비해 비치와 호수 등의 수질 상태가 크게 나아졌다”면서 “이는 기존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부와 각 지역 공동체가 이를 해결하고자 노력한 결과”라고 덧붙였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해변 1).jpg (File Size:66.2KB/Download:25)
  2. 종합(해변 2).jpg (File Size:45.6KB/Download:23)
  3. 종합(해변 3).jpg (File Size:80.7KB/Download:21)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697 호주 토요타 VIC 공장 3일부로 폐쇄…90년 역사 대단원 톱뉴스 17.10.06.
1696 호주 특정 도시에 편중된 주택 시장 열기…그 이유는? 톱뉴스 17.10.06.
1695 호주 [2017 세계 주거의 날] 지구촌 16억, “판자촌” 거주 톱뉴스 17.10.06.
1694 호주 ‘북유럽 st’이라면 뭐든지 좋아 톱뉴스 17.10.06.
1693 호주 내 자녀도 호주와 한국 이중국적? 톱뉴스 17.10.06.
1692 호주 이민부 호주 내 난민희망자 추방 조치 가속화 톱뉴스 17.10.06.
1691 호주 호주, 北 위협 맞서 새 프리깃함 9척에 요격체제 갖추기로 톱뉴스 17.10.06.
1690 호주 반환점 지난 동성결혼 우편투표, 찬반 논쟁 “과열” 톱뉴스 17.10.06.
1689 호주 마누스섬 수감 타밀 난민 자살…4년 동안 6번째 사망자 발생 톱뉴스 17.10.06.
1688 호주 부동산 가격 상승으로 세대간 자산 격차 더욱 벌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17.10.05.
1687 호주 “영국은 제한된 이민비자 고삐 풀어야 한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10.05.
1686 호주 ‘투자용 아파트 구입’ 권유되는 호주 내 5개 도시는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17.10.05.
1685 호주 ‘동성결혼 합법화’ 우편조사, 유권자 4분의 3 참여 file 호주한국신문 17.10.05.
1684 호주 운송 서비스의 새 패러다임 ‘TAAS’, “향후 6년 이내 삶 전체를 바꿔놓는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10.05.
1683 호주 오는 2035년, 호주 내 단일성별 학교 사라질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7.10.05.
» 호주 NSW 주 일부 유명 해변, 건강상 ‘유해’ 드러나 file 호주한국신문 17.10.05.
1681 호주 200만 달러로 제작된 ‘웨스트커넥스’ 광고, 효용성 논란 file 호주한국신문 17.10.05.
1680 호주 60년 전의 시드니 트램 흔적, 완전히 사라진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10.05.
1679 호주 퀸즐랜드 내륙의 한 목장, ‘노익장’ 과시하는 101세 목축업자 화제 file 호주한국신문 17.10.05.
1678 호주 RBA, 기준금리 동결... 14개월째 1.5% file 호주한국신문 17.1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