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사이버 범죄 1).jpg

온라인 상에서의 사이버 범죄 발생 건수가 매년 늘어나고 있다. 지난해의 경우 피해 신고 사례는 4만7천 건에 달하며 ‘피싱 메일’(phishing email)로 기업이 입은 피해액은 지난 12개월 동안에만 2천만 달러에 달한다.

 

피해 신고 4만7천 건... ‘피싱 메일’ 사업자 피해액 2천만 달러

 

기업을 대상으로 한 사이버 공격뿐 아니라 중년 이상의 고령층을 노린 사이버 범죄가 급증하고 있다. 온라인 사기, 전자메일 피싱(email phishing), 신원도용, 신용카드 사기 피해자가 크게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10월 둘째 주(10월9일-13일) ‘Stay Safe Online week’를 기해 보훈처 장관이자 연방 총리실 사이버 보안 담당인 댄 테한(Dan Tehan) 의원은 온라인 상에서의 보안과 관련, “사이버 공격의 81%가 취약한 패스워드에서 기인한다”면서 “패스워드 하나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테한 의원은 각 개인의 온라인 신원 보호를 위해 16자리 이상 높은 수준의 암호 설정 외에도 온라인 상에서의 사생활 보호 설정을 보다 신중하게 하고, 정기적으로 보안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 하며 데이터 백업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와 함께 테한 의원은 전자메일을 통한 사기피해 방지에 필요한 안전조치를 제시했다.

금주 화요일(10일) 테한 의원이 프레스 클럽(National Press Club)에서 발표한 ‘호주 사이버 보안센터’(Australian Cyber Security Centre. ACSC)의 ‘Threat Report’는 호주에서의 온라인 사기 범죄가 크게 늘어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2개월 사이 접수된 사이버 사건은 4만7천 건으로 이전 해에 비해 15% 증가한 수치이다. 이 사건 중 절반은 온라인 사기 범죄였으며, 이 부분 증가 비율은 22%이다.

 

종합(사이버 범죄 2).jpg

올해 ‘Stay Safe Online week’를 기해 온라인 보안을 강조한 연방 총리실 사이버 보안 담당 댄 테한(Dan Tehan) 의원(사진).

 

지난 2016-17년, ACSC가 집계한 온라인 피해 자료를 보면 전자메일 공격으로 7,283개 기업이 손실을 입었으며, 피해액은 2천만 달러에 달한다. 이는 이전 해(2015-16년)의 860만 달러에 비해 2.5배가 늘어난 것이다.

테한 의원은 “사이버 보안은 국가 정보기관이나 국방부가 나서 공격을 차단할 수 있는 영역이 아니다”면서 각 개인은 물론 기업, 지역사회에 사이버 보안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소규모 비즈니스의 경우 사기 범죄자들의 ‘피싱 메일’(phishing email) 표적이 됐다. 이들은 각 소기업에 수천 통의 전자메일을 발송하고 의심스런 사이트를 링크시켜 놓거나 첨부한 자료를 열 경우 악성코드(malware)에 감염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피싱 메일’은 일반적으로 개인이나 기업의 돈을 훔쳐내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개인이나 기업에 거짓 청구서를 보내는 수법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따라서 “전자메일을 보낸 사람이 누구인지 확인할 수 없을 경우 메일을 삭제하거나 첨부 파일을 열리 말라”는 조언이다.

아울러 테한 의원은 사이버 피해를 입었을 경우 적극적인 신고를 당부하면서 “사이버 범죄의 경우 피해자가 직접 신고를 해야 하며 이를 개선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정부 당국과 기업, 각 개인이 공동으로 대처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사이버 범죄 1).jpg (File Size:53.8KB/Download:21)
  2. 종합(사이버 범죄 2).jpg (File Size:27.6KB/Download:21)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717 호주 ‘무종교’ 시드니사이더, 10년 전 대비 1.5배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2.
1716 호주 비숍 외교부 장관, “북핵 문제는 강력한 경제 제재로...”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2.
1715 호주 호주인 거주 지역별, 심장건강 차이 두드러져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2.
1714 호주 NSW 주, 기한 넘긴 ‘기프트 카드’ 잔액 연간 6천만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2.
» 호주 스몰비즈니스-고령층 대상 사이버 범죄 크게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2.
1712 호주 여름철 해변 즐기기... NSW 정부, ‘안전 조치’ 시작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2.
1711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저조한 낙찰률, ‘포스트 붐’(post-boom) 현상?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2.
1710 호주 호주 태동 ‘핵무기 폐기국제운동(ICAN) 2017 노벨 평화상 수상 톱뉴스 17.10.10.
1709 호주 호주인 40% 수면부족...그 결과는? 톱뉴스 17.10.10.
1708 호주 비숍 외교장관, 대북 정책 설명회 - ”외교적 해법” 역설 톱뉴스 17.10.10.
1707 호주 노동당 중진 마이클 댄비, ABC와 ’휴전’..사과는 거부 톱뉴스 17.10.10.
1706 호주 최근 3년간 호주 정착 북한 국적자15명 가량 톱뉴스 17.10.10.
1705 호주 SA 주의회 출마 선언 제노폰 첫 걸음부터 ‘삐걱’ 톱뉴스 17.10.10.
1704 호주 [월드컵 플레이오프 1차전] 사커루즈, 복병 시리아와 1-1 톱뉴스 17.10.06.
1703 호주 미술 감상하러, 본다이 비치로 간다 톱뉴스 17.10.06.
1702 호주 호주에서 내 입맛에 딱 맞는 빵 찾기 톱뉴스 17.10.06.
1701 호주 옷 소매 터치로 스마트폰 조작…'스마트 재킷' 나왔다 톱뉴스 17.10.06.
1700 호주 시드니, 멜버른 CBD 교통체증 돌파구는? 톱뉴스 17.10.06.
1699 호주 대도시 부동산 가격 상승세 “여전”…상승폭은 완화 톱뉴스 17.10.06.
1698 호주 에너지 수급 대책 팔 걷고 나선 연방정부 톱뉴스 17.1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