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정부 잡 1).jpg

NSW 주 정부가 위탁업무의 70%는 내국인에, 해외 기업 위탁은 30%를 넘기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음에도 이미 해외 업무위탁 비율이 33%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금융부의 빅터 도미넬로(Victor Dominello) 장관(사진)은 서비스 부문의 국내 업체 위탁 비중을 높이고자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현지 ‘일자리 보호’ 우려... 주 정부, “목표 위해 노력 중” 밝혀

 

NSW 주 정부가 현지인 일자리 보호를 위해 정부 업무의 해외 위탁 비중을 확대하지 않기로 한 약속이 위협을 받고 있다. 주 정부의 해외 업무위탁 비중이 이미 자체 기준치를 초과했으며, 베레지클리안(Gladys Berejiklian) 총리의 노력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NSW 주 정부는 지난해 정부 IT 업무의 70%를 ‘인포시스’(Infosys) 및 ‘유니시스’(Unisys)와 계약했으며 30%는 해외로 위탁할 계획임을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주 정부는 이미 67%가 NSW 소재 기업과 계약한 상태이며 33%를 해외로 이전했음을 인정했다고 금주 월요일(9일) 시드니 모닝 헤럴드가 전했다.

야당(노동당) 내각의 금융부 담당인 클레이튼 바(Clayton Barr) 의원은 이와 관련, “베레지클리안 주 총리는 정부 업무의 해외 또는 다른 주 기업 위탁을 자제할 필요가 있으며, 이들 정부 업무를 NSW 소재 기업이 맡을 수 있도록 보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바 의원은 “NSW 주의 대중 버스는 퀸즐랜드(Queensland)에서, 기차는 한국에서 제조되고 있으며 또 콜센터(call centre)는 인도로 이전하고 있다”며 “이는 NSW 주 총리의 과격한 조치”라고 비난했다.

그는 이어 “130개에 달하는 정부 콜센터가 NSW 주 내에, 또는 인도에 만들어지는 것에 대해 동의하든 안 하든 보다 중요한 것은 주 정부가 약속한 국내외 업무 위탁 비율 70:30을 맞추지 못했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지난 8월 말, 주 정부 업무와 관련한 야당의 질문에 정부는 269개의 상근직 일자리는 NSW 주에, 130개는 해외로 이전했다고 설명했다.

NSW 금융부의 빅터 도미넬로(Victor Dominello) 장관은 “애초 설정한 목표 달성을 위해 정부도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종합(정부 잡 2).jpg

야당 내각의 금융부 담당인 클레이튼 바(Clayton Barr) 의원(노동당, 사진). 그는 “주 정부 업무를 NSW 소재 기업이 맡을 수 있도록 보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도메넬로 장관은 이어 “70%를 NSW 주 내에서 처리하도록 하는 정부 목표가 충족되지 않았음은 인정한다"면서 ”NSW 주의 서비스 제공 업체와의 계약을 통해 현지인 고용 비율을 높이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해 ‘공공서비스 협회’(Public Service Association)는 NSW 주의 정부 업무 아웃소싱에 대한 조사를 요청한 바 있다.

시드니 모닝 헤럴드 등을 발행하는 페어팩스 미디어(Fairfax Media)는 지난 2월, 주 정부가 2016년 12월에 정부의 소프트웨어 32개 풀타임 직에 내국인 대신 457비자를 소지한 외국인을 충원한 것과 관련해 당시 풀타임 고용을 담당했던 위탁업체가 호주 내국인의 해당 업무 적합성 여부를 확인했는지 조차 주 정부가 조사하지 않았던 사실을 보도한 바 있다(본지 1131호 보도)

당시 ‘공무원협의회’(PSA, Public Service Association)는 외부업체와 공공서비스 위탁계약을 맺었으며 정부는 IT, HR, 급여, 재무 및 회계 분야를 관장하는 ‘서비스퍼스트’(ServiceFirst, 현재는 ‘GovConnectNSW’ 서비스 센터로 명칭 변경) 업무를 해외 기업에 위탁하기로 결정했던 것이다.

이에 따라 호주의 부족한 기술을 보완하는 데 있어 해외 인력들의 필요성을 정부가 아닌 해당 해외기업들이 직접 검토하게 했다는 지적이 제기된 바 있다. 당시 정부 업무를 위탁 받은 해외 기업은 200명의 457 비자 소지자를 고용했다. 이들 기업이 바로 ‘인포시스’와 ‘유니시스’이다.

이에 대해 당시 정부 대변인은 457 비자 소지자 고용 부문에 대해서는 계약서 상 언급된 것이 없어 이들을 고용하는 것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정부 잡 1).jpg (File Size:37.2KB/Download:18)
  2. 종합(정부 잡 2).jpg (File Size:40.7KB/Download:2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557 호주 시드니의 높은 ‘주택 가격’, 수혜 지역은 퀸즐랜드?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2.
» 호주 베레지클리안 NSW 주 정부, 업무 해외위탁 비중 ‘초과’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2.
3555 호주 ‘이중국적 의원’ 대법원 심리, ‘헌법 44항’ 해석 이견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2.
3554 호주 채스우드 아파트 아래 도로에서 한인 여성 사망한 채 발견 ‘충격’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2.
3553 호주 호주 정규직 여성 평균 임금, 남성 대비 87% 수준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2.
3552 호주 채스우드 고층 아파트 ‘데이트 폭력’ 투신 소동 및 여성 사망 사건의 진상은? 톱뉴스 17.10.14.
3551 호주 “일요일 근무수당 삭감 조치 존속” 톱뉴스 17.10.14.
3550 호주 “북한 도발 둘러싼 살벌한 설전에 떨고 있는 호주인들” 톱뉴스 17.10.14.
3549 호주 파이필드 통신장관, “공영방송사도 공정한 경쟁해야”…미디어 개혁법 당위성 재역설 톱뉴스 17.10.14.
3548 호주 SA 주의회 출마 선언 제노폰 연방상원의원 첫 걸음부터 ‘삐걱’. 톱뉴스 17.10.14.
3547 호주 호주-한국, 외교 국방 2+2 개최…”강한 제재로 배핵화 견인” 톱뉴스 17.10.14.
3546 호주 <한글날 특집> 뜨거워지는 한글 열기...휘청거리는 한글 표기 톱뉴스 17.10.14.
3545 호주 호주 소득수준 10년전 대비 평준화…소득 격차는 더 커져 톱뉴스 17.10.14.
3544 호주 사용하고 난 전자 제품 어떻게 처리해야할까? 톱뉴스 17.10.14.
3543 호주 연방 및 주정부, 여름철 절전 대책 마련에 ‘전전긍긍’ 톱뉴스 17.10.14.
3542 호주 브리즈번 주민, 휘발유 값으로 연 5천만 달러 추가 지출 톱뉴스 17.10.14.
3541 호주 토니 애벗 전총리 독설 이번에는 기후변화정책 “정조준” 톱뉴스 17.10.14.
3540 호주 “시드니 단독 주택이 사라지고 있다” 톱뉴스 17.10.14.
3539 호주 테이블 매너는 확실히 지킨다! 톱뉴스 17.10.14.
3538 호주 “한국의 목소리” 매력 만발 톱뉴스 17.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