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드니 채스우드 고층 아파트 아래 골목길에서 유혈이 낭자한 채 시신으로 발견된 한국여성 최 모씨(34)씨는 사망 2시간 전 한국인 남성 서 모 씨(37)에게 폭행을 당했던 것으로 추정된다고 경찰이 밝혔다.

숨진 최 씨에게 폭행을 가한 혐의를 받고 있는 서 모씨는 최 씨의 시신이 발견된 직후 같은 아파트 27층 발코니 차광목에 매달려 12시간 동안 투신 소동을 벌인 장본인이다.

이 아파트에는 숨진 최 씨가 거주하고 있었고, 투신 소동의 장본인 서 씨는 이스트우드 주민으로 알려졌다.

숨진 최씨는 금융업에 종사했던 것으로 전해졌으며 9일 오전 6시 30분 경 채스우드 역 인근의 브라운 스트리트에 연결된 골목길에서 시신으로 발견됐으며, 그 직후 서 씨의 27층 투신 소동은 시작됐다.

경찰은 최 씨가 아파트에서 추락사한 것으로 믿고 있다.

서 씨는 이미 폭력 및 신체 상해 죄 등의 죄로 기소됐고 10일 오후 혼스비 치안법원에 소환됐다.

경찰에 따르면 서 씨는 투신 소동을 벌이는 가운데도 최 씨의 시신을 가린 경찰 텐트를 계속 내려봤다.

경찰은 현재 숨진 최씨의 정확한 사인을 밝히기 위한 검시 결과를 기다리고 있으며, 서 씨를 상대로 수사를 계속하고 있다.

경찰은 “두 사람이  얼마전 만나 연인관계가 됐으며 얼마후 함께 아시아 지역으로 여행을 떠나기로 계획했다”고 덧붙였다.

이번 사건의 가해자로 지목된 서 씨가 가정폭력으로 인해 이혼한 전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한인사회에 큰 충격을 주고 있다. 당시 부인에게 폭력을 써서 접근금지 처분을 받은 바 있다. 

한편 현지 언론들 또한 연일 보도를 이어가며 이번 사건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시드니모닝헤럴드, 뉴스닷컴 등 주요 언론들은 온라인 메인 화면에 이번 사건을 크게 싣고 업데이트된 기사를 내보내고 있다. 최 모씨의 시신이 발견된 곳엔 그녀의 안타까운 죽음을 애도하며 지인들이 놓아둔 꽃과 엽서들이 그 자리를 채웠다. 이번 사건은 한국에서도 크게 보도되며 네티즌들의 공분을 샀다. 

<사진: AAP Image/Mick Tsikas. 9일 한국계 남성이 채스우드의 한 고층 아파트 발코니에 설치된 차양막 위에서 경찰과 대치를 벌이고 있다.>

 

©TOP Digital/11October 2017

http://topdigital.com.au/node/4727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737 호주 토니 애벗 전총리 독설 이번에는 기후변화정책 “정조준” 톱뉴스 17.10.14.
1736 호주 브리즈번 주민, 휘발유 값으로 연 5천만 달러 추가 지출 톱뉴스 17.10.14.
1735 호주 연방 및 주정부, 여름철 절전 대책 마련에 ‘전전긍긍’ 톱뉴스 17.10.14.
1734 호주 사용하고 난 전자 제품 어떻게 처리해야할까? 톱뉴스 17.10.14.
1733 호주 호주 소득수준 10년전 대비 평준화…소득 격차는 더 커져 톱뉴스 17.10.14.
1732 호주 <한글날 특집> 뜨거워지는 한글 열기...휘청거리는 한글 표기 톱뉴스 17.10.14.
1731 호주 호주-한국, 외교 국방 2+2 개최…”강한 제재로 배핵화 견인” 톱뉴스 17.10.14.
1730 호주 SA 주의회 출마 선언 제노폰 연방상원의원 첫 걸음부터 ‘삐걱’. 톱뉴스 17.10.14.
1729 호주 파이필드 통신장관, “공영방송사도 공정한 경쟁해야”…미디어 개혁법 당위성 재역설 톱뉴스 17.10.14.
1728 호주 “북한 도발 둘러싼 살벌한 설전에 떨고 있는 호주인들” 톱뉴스 17.10.14.
1727 호주 “일요일 근무수당 삭감 조치 존속” 톱뉴스 17.10.14.
» 호주 채스우드 고층 아파트 ‘데이트 폭력’ 투신 소동 및 여성 사망 사건의 진상은? 톱뉴스 17.10.14.
1725 호주 호주 정규직 여성 평균 임금, 남성 대비 87% 수준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2.
1724 호주 채스우드 아파트 아래 도로에서 한인 여성 사망한 채 발견 ‘충격’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2.
1723 호주 ‘이중국적 의원’ 대법원 심리, ‘헌법 44항’ 해석 이견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2.
1722 호주 베레지클리안 NSW 주 정부, 업무 해외위탁 비중 ‘초과’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2.
1721 호주 시드니의 높은 ‘주택 가격’, 수혜 지역은 퀸즐랜드?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2.
1720 호주 Top 10 drives around the Northern Territory(1)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2.
1719 호주 광역시드니 거주민 66%, “주거지 개발은 이제 그만!”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2.
1718 호주 시드니 카운슬, 도심 ‘나이트 라이프’ 살리기 나서...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