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닐리.jpg

 

“최소한 10년 정도는 (최근에 맡은) 호주농구협회장에 전념하겠다.”

6년 전인 지난 2011년 4월24일 NSW주 선거에서 단기 필마로 자유당에 맞섰다가 패배한 당시 노동당 대표이자 주수상이던 크리스티나 케닐리(Kristina Keneally)가 의원직을 사퇴하면서 했던 말이다.

케닐리는 당시 자신은 당선됐으나, 선거 패배 책임을 지고 의원직을 던졌었다. 그리곤 곧바로 호주 농구협회 회장직을 맡았으며, 페이지우드의 자택에서 농구공을 들고 환한 모습으로 포즈까지 취했었다.

뿐만 아니라 그는 “정치에서 내 시대는 끝났다는 생각이 들었다. 나는 그동안 내가 공헌해 온 NSW주 노동당이 다음에 집권한다고 해도 아무 역할을 맞지 않을 것이다”며, NSW주에서의 정치 복귀는 없을 것임을 분명히 했다.

그랬던 그가 6년 만에 컴백했다. 그것도 존 하워드 전 연방총리(자유당)의 아성이었고 전통적으로 자유당 텃밭으로 분류된 베네롱(Bennelong) 선거구 보선에 출사표를 던진 것이다.

지난 주에 이어 이번 주에도 호주 정치 뉴스에 케닐리가 등장할 정도로 그의 바람의 강도가 예사롭지 않다.

케닐리는 지난 주 화요일(14일) 빌 쇼튼(Bill Shorten) 노동당 대표와 함께 이스트우드 지역에서 출정식을 가진 뒤, 일요일(19일)엔 라이드 시빅홀(Civic Hall)에서 붉은색으로 이 지역 중국 커뮤니티의 후원을 받았으며, 다음 날 월요일(20일) 다시 이스트우드 한인상가를 돌면서 표심 잡기에 나섰다.

연방노동당은 이번 보선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현 집권당인 자유국민연립이 과반보다 1석 많은 76석을 차지하고 있는데, 만약 베네롱을 빼앗아 올 경우 여당의 집권 기반을 흔들 수 있기 때문이다.

또 하나 베네롱은 연방 선거구 중 중국인들이 두 번째로 많은 곳이다. 물론 한인들의 밀집 지역이기도 하다.

호주 언론에 따르면, 최근 센서스에서 중국 출신이라고 응답한 사람들이 3.9%에 달했으나, 베네롱의 경우 20% 이상인 것으로 집계돼, 중국계가 가장 많은 왓슨(Watson)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그러니 중국계를 붙잡지 못하면 케닐리의 화려한 정계 복귀도 빌 쇼튼의 야심도 모두 물거품이 되는 것이다.

그러나 현실은 그리 만만치 않을 듯 싶다.

우선 케닐리의 이번 출마 결심이 갑작스레 이뤄졌다는 점에서 준비가 충분치 않았을 수 있다. 케닐리와 빌 쇼튼 모두 이를 극복하기 위해 연일 이스트우드와 라이드 지역의 거리를 발로 뛰고 있다.

복수 국적 문제로 사퇴한 존 알렉산더 직전 의원(자유당)이 다시 도전한다는 점도 케닐리에겐 불리하다. 알렉산더 의원은 불과 1년3개월 전인 지난 2016년 7월 연방총선에서 당선됐다. 정책 실패 등 민심이 돌아설 만한 결정적 이유로 사퇴를 한 것도 아니다. 지지 정당을 바꾸는데 다소 오랜 시간과 상황 등이 필요한 호주 민심의 특성도 알렉산더에게 더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케닐리가 이런 부담을 이기고 NSW주를 넘어 캔버라로 복귀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김인구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케닐리.jpg (File Size:37.6KB/Download:18)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857 호주 NSW 주 정부, 시드니 공항으로 가는 새 도로 2020년 착공 예정 file 호주한국신문 20.01.16.
1856 호주 “전 세계는 지금 호주의 커피 문화에 매료되고 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0.01.16.
1855 호주 올 1월 1일부터 변경된 정책과 규정들, 어떤 것이 있나... file 호주한국신문 20.01.16.
1854 호주 “수개월 이어진 최악의 산불, 지울 수 없는 상처 남겼다” file 호주한국신문 20.01.16.
1853 호주 <산불피해 호주동남부> 집중 폭우에 돌풍…캔버라 ‘골프공 우박’ 강타 톱뉴스 20.01.21.
1852 호주 산불피해 호주동남부, 집중 호우 ‘강타’ 톱뉴스 20.01.21.
1851 호주 호주 사상 최악 산불 피해 성금 2억 달러 돌파 톱뉴스 20.01.21.
1850 호주 올해부터 적용되는 새 규정들 톱뉴스 20.01.21.
1849 호주 호주 산불 사태, ‘기후 난민’ 국가 될 수도… 기상악화에 집 포기 톱뉴스 20.01.21.
1848 호주 호주 산불 피해 직접 도울 수 있는 방법은? 톱뉴스 20.01.21.
1847 호주 호주오픈 테니스, 산불 때문에 이틀 연속 예선 진행 차질 톱뉴스 20.01.21.
1846 호주 역대 최악의 산불, 호주 통화정책 ·경제 지표에도 직격탄 톱뉴스 20.01.21.
1845 호주 부모로부터의 독립... 대학 새내기들 위한 주거지 마련 조언 file 호주한국신문 20.01.23.
1844 호주 2019 부동산 시장- 주택거래 활발했던 상위 지역(suburb) file 호주한국신문 20.01.23.
1843 호주 시드니 지역 아파트 임대료, 공급 부족으로 상승 전망 file 호주한국신문 20.01.23.
1842 호주 On the move... 국내이주로 인구 성장 혜택 받는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0.01.23.
1841 호주 생존율 10% 미만의 췌장암, ‘호주인의 치명적 질병’ 중 하나로 file 호주한국신문 20.01.23.
1840 호주 63개 국가 대상 ‘디지털 경쟁력’... 호주 14위로 순위 하락 file 호주한국신문 20.01.23.
1839 호주 전 세계 여행자들, ‘방문할 만한’ 가장 아름다운 도시로 파리 꼽아 file 호주한국신문 20.01.23.
1838 호주 소셜 미디어의 힘... WA의 핑크빛 호수, 중국 관광객 넘쳐나 file 호주한국신문 20.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