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루마운틴 노선 레드펀역 정차 안해…

열차 증편되지만 갈아타는 구간 많아져 불편

 

열차하나.jpg

 

앞으로 시드니 대학 학생들은 블루마운틴을 가려면 스트라스필드(Strathfield)역에서 기차를 갈아타야 한다. 오는 일요일(26일)부터 센트럴(Central)에서 카툼바(Katoomna)까지 가는 블루마운틴 노선의 기차가 더 이상 시드니 대학 인근의 레드펀(Redfern)역에 정차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 이들이 시드니 서부지역에서 학교로 돌아오기 위해선 똑같이 스트라스필드역에서 기차를 갈아타거나, 센트럴역까지 갔다가 한 역을 되돌아와야 한다..

금주 호주 언론 보도에 따르면, NSW주 정부가 지난 4년간 시드니 기차운행 스케줄을 대대적으로 점검해 변경한 결과. 열차 운행 횟수는 늘어났으나, 기차를 갈아타야 하는 경우가 많아져, 승객들은 출근 거리가 늘어나는 불편함을 감수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열차둘.jpg

 

오는 일요일(26일)부터 시행되는 새 운행 스케줄에 따르면, 캠벨타운(Cambelltown)에서 파라마타(Parramatta), 그랜빌(Granvile), 스트라스필드와 웨스턴 라인의 다른 역까지 갈 경우 글렌필드(Glenfield)에서 갈아타야 한다. 이는 T2(이너웨스트 라인)의 출발역이 캠벨타운이 아니라 레핑톤(Leppington)으로 바뀌었기 때문이다.

또한 뱅스타운(Bankstown) 라인의 운항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출퇴근 피크 타임에 많은 역을 정차하지 않고 지나치게 된다. 이너웨스트의 세인트 피터스(St Peters)는 정차하는 기차가 더 적어질 것으로 보인다.

뱅스타운 라인을 이용해 세인트 피터스를 가려면 시든햄(Sydenham)에서 기차를 갈아타야 한다. 또한 세인트 피터스에서 출퇴근 피크 타임에 시드니 도심을 가려면 T8 노선에서 기차를 타야 한다.

버우드(Burwood)역의 경우 T2 라인을 경유해 보다 많은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반면, 해리스 파크(Harris Park, 그랜빌(Granvile), 클라이드(Clyde), 어번(Auburn), 리드콤(Lidcombe)의 승객들은 주간에는 파라마타에서 시드니 도심(CBD)까지의 T1 웨스턴 노선 대신에 T2 노선을 이용해야 한다. T1 노선이 피크 타임 때 급행 열차가 증편됨에 따라 정차하지 않고 통과하는 역이 늘어나기 때문이다.

이번 운행 스케줄의 변경으로 시드니 도심에서 T1 라인을 이용해 리치몬드(Richmond)를 갈 경우 오후 10시 이후에는 파라마타, 세븐힐(Seven Hills) 혹은 블랙타운(Blacktown) 등에서 갈아타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더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조디 맥케이(Jodi McKay)노동당의 교통부 대변인은 이번 기차 운행 스케줄 변경으로 서비스가 향상돼야 하며, 기차 이용시간이 길어지거나 기차가 서지 않는 일이 있어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출퇴근자들은 이번 스케줄 변경으로 인해 자신들에게 닥칠 어떠한 불리한 점에 대해선 듣지 못했다. 우리 모두가 정부 광고를 통해 들은 이야기라고는 ‘향상된 서비스’란 말 밖에 없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에겐 향상된 서비스가 아닐 것이다”라고 지적했다.

그러나 NSW주 교통 당국은 이번 스케줄 변경으로 주중에 1500편이 증편되고 주말에도 750편이 늘어남에 따라 동시에 수많은 사람들이 기차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NSW주 교통 당국자는 지난 10월 중순부터 운행 스케줄 변경에 대한 캠페인 기간 중 230여건의 의견을 접수했다고 말했다. 또 열차운행 스케줄이 바뀜에 따라, 시드니 철도 노선표도 출퇴근자와 여행객들이 이해하기 쉽게 새롭게 만들어질 것이라고 그는 설명했다.

대중교통을 지지하는 그룹인 에코트랜짓(EcoTransit)의 콜린 쉬뢰더(Colin Schroeder)는 기차 운행 스케줄의 변경하게 된 것에는 승객들이 보다 갈아타는 서비스에 익숙해지면 그들의 목적지에 더 자주 갈 수 있게 하기 위함이라고 말했다.

그는 “피크타임 때 T3 라인의 세인트 피터스에 기차가 정차하지 않기 때문에 승객들은 시든햄에서 뱅스타운 노선이 메트로로 바뀌는 것을 기다려서 기차를 갈아타게 된다”고 설명했다.

시든햄~뱅스타운 구간은 13.5km 정도 트랙을 연장하는 공사를 위해 2019년부터 5년간 매년 2개월 정도 열차 운행이 중단될 것이다. 연장공사가 완공되면, 기관사 없는 메트로 기차 가 운행될 것으로 전해졌다.

새로운 운항 스케줄은 시드니 기차의 주중 피크 타임인 오전 7시부터 9시까지와 오후 4시부터 6시30분까지에 변화를 주진 않을 것이다. 승객들은 피크 타임 이외 시간에 기차를 이용할 경우 정상 운임 가격의 30% 할인받게 된다.

 

김인구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열차둘.jpg (File Size:36.8KB/Download:27)
  2. 열차하나.jpg (File Size:47.3KB/Download:27)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097 호주 비만, 폭음 등으로 젊은 층 심장질환자 늘어 호주한국신문 14.06.20.
5096 호주 “길거리 스마트폰 문자 사용, 사고위험 높다” 경고 호주한국신문 14.06.20.
5095 호주 도심 및 유흥지구 대상 강화된 음주법 관련 호주한국신문 14.06.20.
5094 호주 아동 및 청소년 대상 카운셀러들, ‘업무 과다’ 호주한국신문 14.06.20.
5093 호주 호주의 검은 심장 ‘The Block’ 철거 호주한국신문 14.06.20.
5092 호주 NSW 주 예산안, 취약 계층을 위해 10억 달러 사용 호주한국신문 14.06.20.
5091 호주 달링스퀘어(Darling Square) 1차 분양, 하루 만에 ‘완판’ 호주한국신문 14.06.26.
5090 호주 “세월호 참사를 잊는 순간이 바로 제2의 참사입니다” 호주한국신문 14.06.26.
5089 호주 “언어 학습은 가정에서 시작됩니다” 호주한국신문 14.06.26.
5088 호주 김봉현 주호주대사 빅토리아 주 공식 방문 호주한국신문 14.06.26.
5087 호주 조선시대 화가들의 작품, ‘현대’로 재탄생되다 호주한국신문 14.06.26.
5086 호주 “평화헌법 입법 취지와 진정성 유린 말라” 호주한국신문 14.06.26.
5085 호주 한국문화원, ‘한식요리 경연’ 시드니 예선 개최 호주한국신문 14.06.26.
5084 호주 연방 정부, 테러 방지 위해 새 여권 도입 호주한국신문 14.06.26.
5083 호주 불법 바이키 갱 ‘헬스엔젤스’ 조직원 습격당해 호주한국신문 14.06.26.
5082 호주 ‘초이스’(choice), 아이들 인기 간식 영양 평가 발표 호주한국신문 14.06.26.
5081 호주 NSW 주 정부, 시드니 새 열차라인 계획 발표 호주한국신문 14.06.26.
5080 호주 주 정부의 부동산 매입 보상금, 현실성 떨어져 호주한국신문 14.06.26.
5079 호주 법원, 론 울프 바이키 갱 살해범에 징역 20년 구형 호주한국신문 14.06.26.
5078 호주 이집트 법원, 호주인 기자 등에 징역 7년형 선고 호주한국신문 14.0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