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의원의 이중국적의 불똥이 노동당으로 급속히 옮아가고 있다.

 

ACT 수석장관 출신의 캐이티 갤라거 연방상원의원의 이중국적 보유 의혹이 불거진데 이어 노동당의 하원의원 4명이 2016년 연방총선 직전까지 타국 국적 취소 절차를 마무리 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나, 당선유효 여부에 대한 대법원의 판단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이같은 사실은 연방의회에 제출된 상원의원 76명, 하원의원 150명의 이중국적 보유 여부에 대한 자술서에서 드러났다.

 

하지만 이들 의원들 모두 연방총선에 앞서 타국 국적 취소 신청 절차를 밟은 것으로 알려져 혼란만 가중되고 있다.

 

영국과 아일랜드 등 3중 국적 의혹에 내몰린 노동당의 데이비드 피니 하원의원은 자신의 국적취소 증비 서류가 며칠 안에 송달이 안되면 스스로 자신의 당선 유효 여부를 대법원에 의뢰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지난 2007년 영국 국적 포기 신청서를 접수시켰는데 관련 서류의 사본을 찾지 못했고, 지난 2017년에는 아일랜드 국적 취소 확인 신청을 했다”고 해명했다.

 

노동당 소속의 다른 세 의원도 비슷한 상황에 처한 것으로 전해졌다.  

 

노동당의 저스틴 케이 연방하원의원의 경우 지난해 5월 영국 국적 포기 신청서를 접수했다고 주장했지만 영국 관련 당국은 연방총선 후보 등록일이 한달 가량 지난 후에도 받지 못했다는 입장이다.

 

스코틀랜드 출신의 수잔 램 연방하원의원도 영국 정부에 지난해 5월 24일 영국 국적 포기 신청서를 작성했고 후보 등록 마감을 사흘 전에 수수료도 결제됐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영국 당국은 7월 7일 “귀하의 영국 국적 보유 여부에 대한 충분한 증빙서류가 구비되지 않아 국적 취소 신청서 역시 처리할 수 없다”는 회신을 보냈다.

 

런던에서 출생한 서부호주 출신의 조쉬 일슨 연방하원의도 지난해 5월 12일 영국 국적 포기 신청서를 제출했지만 총선일까지 국적 취소 확인서를 받지 못한 것으로 확인됐다.

 

즉, 세 의원 모두 후보 등록일에 앞서 타국 국적 포기 절차를 밟기 위한 모든 법적 조치를 취했다는 점에서 논란의 헌법 44조를 위배한 것은 아니라고 적극 강변하고 있다.

 

©TOP Digital 

http://topdigital.com.au/node/5053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917 호주 폴린 핸슨, 자유당 연립에 일격…노조 정상화 법안 부결 톱뉴스 19.12.03.
1916 호주 아프간 탈레반 '3년 억류' 호주인 학자 위크스 교수 귀환 톱뉴스 19.12.03.
1915 호주 내년 1월 14일, 시드니 유흥업소 심야영업제한조치 해제…킹스 크로스 제외 톱뉴스 19.12.03.
1914 호주 말레이시아서 마약 밀반입 혐의로 사형 직면했던 호주 여성 ‘구사일생’ 톱뉴스 19.12.03.
1913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봄 시즌 마지막 경매, 올 들어 최대인 888채 매물 나와 file 호주한국신문 19.12.05.
1912 호주 ‘거주적합성’ 중간 순위 이상 중 평균 임대료 이하 지역 17개 file 호주한국신문 19.12.05.
1911 호주 지난 한해 주택 가격 25% 이상 오른 교외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19.12.05.
1910 호주 호주의 ‘무지개 수도’는 시드니 아닌 캔버라... 동성커플 ‘최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12.05.
1909 호주 Drive Car of the Year 2020- 올해의 자동차에 ‘Toyota RAV4 Hybrid’ file 호주한국신문 19.12.05.
1908 호주 럭셔리한 고급 분위기에서 즐기는 호주 자연 속 캠핑의 맛 file 호주한국신문 19.12.05.
1907 호주 정계 인사 후원금이 호주 정치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file 호주한국신문 19.12.05.
1906 호주 NSW 주, “내년 1월 14일 기해 ‘Lockout Laws’ 해제” 발표 file 호주한국신문 19.12.05.
1905 호주 광역 시드니, 10년 만에 2단계 급수 제한 조치 발령 file 호주한국신문 19.12.05.
1904 호주 시드니 일대, 10일부터 제2단계 수돗물 사용제한 조치 시행 톱뉴스 19.12.10.
1903 호주 ‘최악’의 시드니 대기 오염에 마스크 착용 시드니 주민 급증 톱뉴스 19.12.10.
1902 호주 한-호주 10일 외교·국방장관 회의…신남방·태평양전략 논의 톱뉴스 19.12.10.
1901 호주 ‘난민 환자 이송법’ 폐지…'노조 정상화법' 파동 수모 만회 톱뉴스 19.12.10.
1900 호주 호주 정치권, 황화론 재연 공방 가열 톱뉴스 19.12.10.
1899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 스탠모어 소재 주택 소유자, 7개월 만에 40만 달러 수익 올려 file 호주한국신문 19.12.12.
1898 호주 시드니-멜번, 낮은 기준금리로 ‘부동산 광풍’ 다시 올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19.1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