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대마재배 2).jpg

대마초 실내 수경재배지에서 경찰은 대마초들. 경찰은 이곳에서 653개의 대마초 식물을 압수했다. 이는 길거리 판매 금액으로 220만 달러에 달하는 규모이다.


마스코트 소재 실내 농장 급습, 훔친 전기로 대마초 재배

 


사법 당국의 지속적인 단속 강화에도 불법 마약 문제가 끊이지 않고 있다.

지난주에는 시드니 남부 마스코트(Mascot)의 대마초 실내 수경배재지가 경찰에 적발됐다. 지난 주 금요일(6일) 시드니 모닝 헤럴드 보도에 따르면 경찰이 찾아낸 이 재배지의 대마초는 200만 달러 이상 규모이다.

 

경찰이 마스코트 찰머스 크레센트(Chalmers Crescent) 상의 산업단지에 있는 이 대마초 수경재배 현장을 급습했을 당시 실내에는 전기선을 연결하는 수많은 플러그와 수십 개의 메인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었다.

 

이번 급습을 주도한 레드펀 지역 강력수사대(Redfern Region Enforcement Squad)의 스튜어트 벨(Stuart Bell) 수사국장은 “실내 현장을 덮쳤을 때 넓은 면적의 수경재배지가 마련되어 있었다”면서 “범행자들이 분명 엄청난 자금과 시간을 투자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경찰의 대마초 재배지 급습은 지난 주 목요일(5일) 오후 4시30분 이뤄졌다. 산업지대의 한 건물 내부에 마련된 재배 현장에서 경찰은 653개의 대마초를 찾아냈다. 이는 길거리 판매 가격으로 220만 달러 규모이다.

 

경찰은 이 재배지를 만들어 대마초를 재배한 베트남 출신 두 남성의 자동차를 추적, 시든햄(Sydenham) 인근에서 체포했다. 시드니 서부 얼우드(Earlwood)에 거주하는 38세의 남성과 멜번(Melbourne)에서 온 53세의 남성은 뉴타운 경찰서로 인계되었으며 금지 식물의 상업용 재배 혐의로 기소됐다.

 

벨 수사국장은 “이들은 임대한 공장 바로 앞에 있는 변전소에서 대담하게도 전기를 훔쳐 사용했다”면서 “전기에 대한 지식을 갖고 있었음이 분명하다”고 말했다.

그는 “이런 일에는 엄청난 전력이 필요하고 그만큼 전기사용료가 많기 때문에 전기를 훔쳐 사용하는 일은 늘 있다”며 “그것이 당국의 눈을 피하는 방법이기도 하다”고 덧붙였다.

 

벨 국장은 특히 “현장에는 아직 사용하지 않은 기기들이 상당수 있었다”며 이들이 마약제조 공장을 확장하려는 증거라고 말했다.

 

이번에 단속한 대마초 재배지는 레드펀 지역 강력수사대가 지속적인 마약단속 작전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확인됐다.

 

호주 범죄위원회(Australian Crime Commission)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3-14 회계연도 마약 적발은 총 9만3천 건에 달했으며, 이는 이전 해에 비해 7% 늘어난 수치이다. 이 기간 동안 경찰이 마약제조 현장이나 매매현장 단속에서 압수한 불법 마약은 27톤에 달한다.

 

경찰은 지난 9월에도 시드니 노스 웨스트 지역 리버스톤(Riverstone)에 있는 한 공장에서 재배 중인 723개의 대마초 식물을 압수한 바 있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77 호주 최고의 부유층들, 대부분 시드니 동부 지역에 거주... 억만장자들, 납세기피 file 호주한국신문 23.06.15.
376 호주 대학졸업자 취업 3년 후의 임금 상승 규모, 직종에 따라 크게 달라져 file 호주한국신문 23.06.15.
375 호주 대마초 관련 정당, NSW-빅토리아-서부호주 주에서 ‘합법화’ 추진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2.
374 호주 거의 7만6천 개 일자리 생성으로 5월 실업률 하락... 기준금리 인상 전망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2.
373 호주 전례 없는 생활비 압박... 젊은 가족-임차인들의 재정 스트레스 ‘최고 수준’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2.
372 호주 호주 경제 선도하는 NSW 주... 실업률은 지난 40여 년 이래 최저 수준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2.
371 호주 높은 금리로 인한 가계재정 압박은 언제까지?... 이를 결정하는 5가지 요인은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2.
370 호주 올 3월 분기까지, 지난 5년간 주택가격 폭등한 시드니 교외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2.
369 호주 COVID-19와 함께 독감-RSV까지... 건강 경고하는 올 겨울 ‘트리플 위협’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2.
368 호주 850년 이후 전 대륙으로 퍼진 커피의 ‘deep, rich and problematic history’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2.
367 호주 공립 5학년 학생들 사립학교 전학 ‘증가’... 시드니 동부-북부 지역 두드러져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2.
366 호주 스트라스필드 등 다수 동포거주 일부 지방의회, 카운슬 비용 인상 추진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2.
365 호주 시드니 주택 위기 ‘우려’... 신규공급 예측, 연간 2만5,000채로 감소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2.
364 호주 Like living in ‘an echo chamber’... 소음 극심한 시드니 교외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2.
363 호주 규칙적인 낮잠, 건강한 뇌의 핵심 될 수 있다?... 뇌 건강 관련 새 연구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9.
362 호주 최악의 임대위기... 낮은 공실률 불구, 일부 교외지역 단기 휴가용 주택 ‘넉넉’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9.
361 호주 생활비 압박 속, 소비자 신뢰도 최저치... 고용시장도 점차 활력 잃어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9.
360 호주 연방 노동당 정부, 야당의 강한 경고 불구하고 ‘Voice 국민투표’ 시행 방침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9.
359 호주 정치적 논쟁 속에서 임차인 어려움 ‘지속’... ACT의 관련 규정 ‘주목’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9.
358 호주 호주의 winter solstice, 한낮의 길이가 가장 짧은 날이기는 하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