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난민 수용 1).jpg

요르단 자타리(Zaatari)에 있는 시리아 난민 캠프를 방문, 현장을 들러보는 피터 더튼(Peter Dutton) 이민부 장관. 난민 캠프 현지에서 시리아 난민 4가정(12명의 아이들 포함)에 호주 입국 비자를 발급한 장관은 귀국 후 호주의 시리아 난민 수용 인원을 확대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요르단 시리아 난민 캠프 방문 호, 추가지원 가능성도 언급

 


중동지역 사태가 악화되면서 피터 터튼(Peter Dutton) 연방 이민부 장관이 호주의 시리아 탈출 난민자 수용을 더 확대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시리아 난민 문제가 국제적 이슈로 부상하자 호주는 내년까지 1만2천명의 난민자를 수용하겠다고 약속했으며, 연방 이민부는 각 주와 테러토리에 이들의 수용 인원을 조정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달 첫 주, 요르단의 난민 캠프를 방문했던 더튼 장관은 처음으로 난민 캠프에 머물고 있던 12명의 아이를 포함한 4가족에게 호주 입국 비자를 발급했다.

 

이들은 시리아 정부군과 테러 조직간 전쟁으로 폐허가 된 도시를 탈출한 수니파 무슬림, 그리고 이라크 북부, IS(Islamic State) 점령지역을 빠져나온 아시리안 기독교인 등이다.

 

더튼 장관은 지난 주 토요일(7일) ABC 방송 ‘인사이더’(Insider) 프로그램에서 “만약 우리가 보안과 건강 체크를 곧바로 할 수 있고 난민들을 데리고 올 수 있음이 입증된다면 사람들은 이 프로그램에 신뢰를 가질 수 있을 것이며, 시리아 상황에 따라 어느 시점에서는 수용인원이 확대될 수도 있다”고 밝혔다. 장관은 이어 “정부는 현재 시리아 상황이 악화될 경우 추가 지원 가능성을 고려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더튼 장관은 현재의 난민 수용 프로그램에 따라 이들이 호주에 정착할 수 있도록 각 주 및 테러토리 정부가 나서줄 것을 당부했다.

그런 한편 더튼 장관은 “시리아내 치안 상황이 더 악화되고 있음”을 경고했다. “치안 상황이 회복되거나 정치적 결과도 없는 실정”이라는 더튼 장관은 “아사드(Assad)는 여전히 정권을 쥐고 있고, IS 조직은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다”고 설명했다.

 

더튼 장관의 이 같은 발언과 관련, 녹색당의 아담 반트(Adam Bandt) 의원은 “시리아 난민 수용에 대한 정부의 입장 변화를 환영한다”면서 “더튼 장관은 현재 호주의 불법 난민자 수용센터에 있는 이들에 대해서도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반트 의원은 “만약 더튼 장관이 어려운 문제에 직면해 있는 시리아 난민 보호를 진지하게 고려한다면, 그는 호주 국내 문제(난민수용센터에 구금되어 있는 불법 난민 입국자)부터 처리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917 호주 생활비 압박 속, 소비자 신뢰도 최저치... 고용시장도 점차 활력 잃어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9.
4916 호주 최악의 임대위기... 낮은 공실률 불구, 일부 교외지역 단기 휴가용 주택 ‘넉넉’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9.
4915 호주 규칙적인 낮잠, 건강한 뇌의 핵심 될 수 있다?... 뇌 건강 관련 새 연구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9.
4914 호주 Like living in ‘an echo chamber’... 소음 극심한 시드니 교외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2.
4913 호주 시드니 주택 위기 ‘우려’... 신규공급 예측, 연간 2만5,000채로 감소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2.
4912 호주 스트라스필드 등 다수 동포거주 일부 지방의회, 카운슬 비용 인상 추진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2.
4911 호주 공립 5학년 학생들 사립학교 전학 ‘증가’... 시드니 동부-북부 지역 두드러져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2.
4910 호주 850년 이후 전 대륙으로 퍼진 커피의 ‘deep, rich and problematic history’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2.
4909 호주 COVID-19와 함께 독감-RSV까지... 건강 경고하는 올 겨울 ‘트리플 위협’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2.
4908 호주 올 3월 분기까지, 지난 5년간 주택가격 폭등한 시드니 교외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2.
4907 호주 높은 금리로 인한 가계재정 압박은 언제까지?... 이를 결정하는 5가지 요인은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2.
4906 호주 호주 경제 선도하는 NSW 주... 실업률은 지난 40여 년 이래 최저 수준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2.
4905 호주 전례 없는 생활비 압박... 젊은 가족-임차인들의 재정 스트레스 ‘최고 수준’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2.
4904 호주 거의 7만6천 개 일자리 생성으로 5월 실업률 하락... 기준금리 인상 전망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2.
4903 호주 대마초 관련 정당, NSW-빅토리아-서부호주 주에서 ‘합법화’ 추진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2.
4902 호주 대학졸업자 취업 3년 후의 임금 상승 규모, 직종에 따라 크게 달라져 file 호주한국신문 23.06.15.
4901 호주 최고의 부유층들, 대부분 시드니 동부 지역에 거주... 억만장자들, 납세기피 file 호주한국신문 23.06.15.
4900 호주 호주 국민가수 슬림 더스티의 히트곡 ‘A Pub with No Beer’의 그 펍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3.06.15.
4899 호주 연금 정보- 새 회계연도부터 고령연금 지급, 일부 변경 file 호주한국신문 23.06.15.
4898 호주 지난해 NSW 등서 매매된 부동산의 25%, 고령의 구매자가 모기지 없이 구입 file 호주한국신문 23.0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