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순국선열 기념식).JPG

일제가 찬탈한 국권 회복을 위해 활동하다 희생된 순국선열을 기리는 시드니(광복회 호주지회 주관) 기념행사에서 동포자녀 청소년들이 애국가를 제창하고 있다.


시드니 한인회관서... ‘나라사랑 민족캠프 발표회’ 겸해

 


1895년 명성황후 시해사건부터 1945년 8월15일 광복이 되기까지 일제가 강탈한 국권 회복을 위해 독립운동을 하다 전사하거나 사형, 옥사, 자결, 피살 옥병사 등으로 희생된 순국선열을 기리는 의미 있는 행사가 시드니에서 개최됐다.

 

광복회 호주지회(지회장 황명하)는 순국선열 기념일인 금주 화요일(17일), 시드니 한인회관에서 기념행사를 가졌다. 약 200명의 동포들이 함께 한 이날 행사에는 특히 동포 자녀 청소년들이 대거 참석, 눈길을 끌었다.

 

한국의 법적 기념일 식순에 맞춰 국민의례, 헌화 및 분향, 묵념, 순국선열의 날 약사 보고 등으로 진행된 이날 기념식은 선열의 어록 낭독, 국무총리 기념사 및 한인회장(백승국) 추념사가 더해졌다.

 

이날 황명하 광복회 호주지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우리는 우리 민족이 가장 어려웠던 시기에 일제에 맞서 당당하게 한민족의 기상을 떨치고 역사를 바로 세웠던 분들의 희생과 헌신을 기억해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이날 기념식에 참석한 이들에게 “선열들이 갈망하던 대로 대한민국의 위대한 역사를 알고, 위대한 한인으로 살아가기를 소원한다”고 말했다.

 

이날 민족캠프 발표회는 참가 학생들의 내용 발표, 참가학생 대표의 결의문 낭독 및 공동 주관기관인 한국교육원 강수환 원장의 종합평가로 진행됐다.

 

‘순선열의 날’은 국권회복을 위해 헌신한 순국선열의 독립정신과 희생정신을 후세에 길이 전하고, 선열의 얼과 위훈을 기리기 위해 제정한 법정기념일이다.

 

순국선열은 조국 광복이라는 동일한 활동을 하였으나, 생존했던 애국지사(서거 시기와 사인은 순국선열과 다르되 일제의 침략에 항거하여 조국 광복을 위해 투쟁한 이들)와 더불어 한국의 자주성과 독립성을 생생하게 상징하는 대표적인 인물들이다. 따라서 순국선열의 날은 이들의 활동을 기억하고 추모하며 현재화한다는 의미에서 광복절만큼이나 뜻깊은 날이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917 호주 생활비 압박 속, 소비자 신뢰도 최저치... 고용시장도 점차 활력 잃어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9.
4916 호주 최악의 임대위기... 낮은 공실률 불구, 일부 교외지역 단기 휴가용 주택 ‘넉넉’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9.
4915 호주 규칙적인 낮잠, 건강한 뇌의 핵심 될 수 있다?... 뇌 건강 관련 새 연구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9.
4914 호주 Like living in ‘an echo chamber’... 소음 극심한 시드니 교외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2.
4913 호주 시드니 주택 위기 ‘우려’... 신규공급 예측, 연간 2만5,000채로 감소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2.
4912 호주 스트라스필드 등 다수 동포거주 일부 지방의회, 카운슬 비용 인상 추진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2.
4911 호주 공립 5학년 학생들 사립학교 전학 ‘증가’... 시드니 동부-북부 지역 두드러져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2.
4910 호주 850년 이후 전 대륙으로 퍼진 커피의 ‘deep, rich and problematic history’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2.
4909 호주 COVID-19와 함께 독감-RSV까지... 건강 경고하는 올 겨울 ‘트리플 위협’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2.
4908 호주 올 3월 분기까지, 지난 5년간 주택가격 폭등한 시드니 교외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2.
4907 호주 높은 금리로 인한 가계재정 압박은 언제까지?... 이를 결정하는 5가지 요인은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2.
4906 호주 호주 경제 선도하는 NSW 주... 실업률은 지난 40여 년 이래 최저 수준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2.
4905 호주 전례 없는 생활비 압박... 젊은 가족-임차인들의 재정 스트레스 ‘최고 수준’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2.
4904 호주 거의 7만6천 개 일자리 생성으로 5월 실업률 하락... 기준금리 인상 전망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2.
4903 호주 대마초 관련 정당, NSW-빅토리아-서부호주 주에서 ‘합법화’ 추진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2.
4902 호주 대학졸업자 취업 3년 후의 임금 상승 규모, 직종에 따라 크게 달라져 file 호주한국신문 23.06.15.
4901 호주 최고의 부유층들, 대부분 시드니 동부 지역에 거주... 억만장자들, 납세기피 file 호주한국신문 23.06.15.
4900 호주 호주 국민가수 슬림 더스티의 히트곡 ‘A Pub with No Beer’의 그 펍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3.06.15.
4899 호주 연금 정보- 새 회계연도부터 고령연금 지급, 일부 변경 file 호주한국신문 23.06.15.
4898 호주 지난해 NSW 등서 매매된 부동산의 25%, 고령의 구매자가 모기지 없이 구입 file 호주한국신문 23.0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