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호주 경제 1).jpg

‘CommSec’의 가장 최근 분기별 국가경제 분석 결과 호주 국가경제를 주도해 왔던 NSW 주가 주택 공급 및 치솟은 가격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경제 주도 1위 자리에서 후퇴할 수도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사진 : aap

 

‘CommSec’ 분기별 경제 분석 자료서, “주택 공급 및 가격 안정화 절실”

 

14분기 넘게 호주 국가경제를 주도하고 있는 NSW 주가 더딘 주택공급과 높은 부동산 가격으로 향후 선두주자 자리를 빼앗기게 될 지도 모른다는 분석이 나왔다.

금주 월요일(29일) 시드니 모닝 헤럴드가 커먼웰스 증권회사인 ‘CommSec’(Commonwealth Securities)의 최근 분기별 국가경제 분석 자료를 인용, 보도한 바에 따르면 각 주별 호주경제의 판도가 바뀔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CommSec’의 분기별 보고서는 8가지 핵심 경제지표를 활용해 지난 10년간 각 주(state)의 경제 실적의 평균을 계산, 지역별 경제 상황을 비교한다.

전체적으로 지난해 NSW 주의 한 해 경제성장률은 6.7%로 국가 전체 평균(5.6%) 보다 높아 여전히 NSW 주는 국가 경제를 이끄는 첨병이다.

동 보고서에 따르면, NSW 주는 소매업(retail trade), 주택건설(dwelling starts), 장비 투자(equipment investment), 건설 프로젝트(construction work) 및 실업률(unemployment)을 포함하는 5개 지표 부문에서 1위, 경제 성장(economic growth) 부문 2위, 인구성장(population growth)과 주택금융(housing finance) 부문에서는 3위를 기록했다.

지난 분기 NSW 주의 경제 실적(총수요과 맞먹는 수치)은 지난 10년간의 평균보다 25% 높았다. 또한 NSW 주는 비즈니스 장비 지출(약 6%) 부문에서도 유일하게 10년간 평균 수준을 유지했다.

또한 NSW 주는 호주에서 가장 일자리가 많은 지역으로, 지난 분기 실업률은 4.7%를 기록했다. 이는 9년째 가장 낮은 수치이며, 지난 10년간의 평균보다 10%나 떨어진 수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CommSec’은 NSW 주의 주택시장에 문제가 발견됐다고 지적하면서, 호주 경제지표의 판도에 변화가 있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동 사의 보고서에 따르면 작년 12월 시드니 주택 가격은 0.9%포인트 하락했다. 주택건설 수치(건설승인 건수와는 다름)는 2017년 9월 분기에만 1년 전과 비교해 약 10%가 하락했다.

‘CommSec’의 크레이크 제임스(Craig James) 수석 경제학자는 “순 인구이동 비율과 주택건설 붐이 NSW 주 경기성장의 주 원동력이며, 빅토리아(Victoria) 주의 제조업 기반 산업이 하락세를 걷고 있어 적어도 내년까지는 경제실적 1위를 유지할 것”이라고 전망하면서도, “영원한 1등은 없다”면서 “NSW 주의 미래 경제는 카운슬(council)의 역할을 최소화하고 늘어나는 인구를 감당할 수 있도록 주택공급을 강화하는 것에 달려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이어 “주택공급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 인구는 점차 빅토리아(Victoria) 주 또는 퀸즐랜드(Queensland) 주로 이동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NSW 주 정부 재무부(Treasurer)는 향후 4년간 NSW 전역의 인프라 건설 비용으로 700억 달러를 지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각 주별 연간 경제성장률(%)

-NSW : 6.7

-VIC : 6.2

-QLD : 9.3

-SA : 5

-WA : 3.6

-TAS : 3.4

-NT : 11.9

-ACT : 3.9

-Australia : 5.6

 

▲각 주별 연간 소매업 성장률(%)

-NSW : 3

-VIC : 3.7

-QLD : 1.2

-SA : 3.5

-WA : 0.7

-TAS : 2.5

-NT : 0.6

-ACT : 2.4

-Australia : 2.5

 

▲각 주별 연간 고용 성장률(%)

-NSW : 3.5

-VIC : 3

-QLD : 4.6

-SA : 1.2

-WA : 3

-TAS : 2.8

-NT : -2.8

-ACT : 4.7

-Australia : 3.4

 

▲각 주별 연간 건설 프로젝트 성장률(%)

-NSW : 8.9

-VIC : 10.7

-QLD : 2.4

-SA : 22.8

-WA : -22.2

-TAS : 0.1

-NT : 0.2

-ACT : -0.8

-Australia : 2

 

▲각 주별 연간 인구 성장률(%)

-NSW : 1.57

-VIC : 2.34

-QLD : 1.64

-SA : 0.61

-WA : 0.84

-TAS : 0.864

-NT : 0.15

-ACT : 1.69

-Australia :1.6

 

▲각 주별 연간 주택금융 성장률(%)

-NSW : 5

-VIC : 12.3

-QLD : -1.8

-SA : -4.7

-WA : -8.9

-TAS : 0.3

-NT : 1

-ACT : 20.2

-Australia :3.9

Source: CommSec State of the States report

 

김진연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호주 경제 1).jpg (File Size:121.4KB/Download:21)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097 호주 민간 부문 임금정체 지속, 올 2분기 공공 부문은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19.08.29.
2096 호주 ‘셀피’ 명소 사진 촬영 조심하세요... 사진 찍던 시드니 여성, 추락사 file 호주한국신문 19.08.29.
2095 호주 NSW 기업체 절반 이상, “기술인력 부족해다” 하소연 file 호주한국신문 19.08.29.
2094 호주 8월 마지막 주 경매, 매물 수 478채로 소폭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19.09.05.
2093 호주 시드니-멜번 교외 지역, 지난 10년 사이 인구 크게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19.09.05.
2092 호주 부동산 경기 회복 조짐... 주택 담보대출 금액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19.09.05.
2091 호주 독서주간 ‘Book Week’ 맞아 돌아보는 호주의 도서출판 검열 제도 file 호주한국신문 19.09.05.
2090 호주 카운슬 쓰레기 수거 비용 왜 인상됐나? file 호주한국신문 19.09.05.
2089 호주 호주 직장인 절반 가까이, “직장에서 외로움 느껴요” file 호주한국신문 19.09.05.
2088 호주 올해부터 호주인들이 보다 쉽게 입국할 수 있는 국가는... file 호주한국신문 19.09.05.
2087 호주 3D 횡단보도, 길 건널 때 더욱 안전할까? file 호주한국신문 19.09.05.
2086 호주 NSW•QLD 산불사태 악화…주택 20여채 전소 톱뉴스 19.09.10.
2085 호주 녹색당, 호주내 홍콩 학생 영주 대책 촉구 톱뉴스 19.09.10.
2084 호주 호주 이민자 지방분산정책, 영주 이민자 수 감소 초래 톱뉴스 19.09.10.
2083 호주 호주 44년만의 첫 경상흑자 기록…2분기에 $59억 흑자 톱뉴스 19.09.10.
2082 호주 시드니 노숙자 증가…비상 숙소 ‘포화’ 톱뉴스 19.09.10.
2081 호주 호주, 대북제재 감시용 해상 초계기 일본 근해 배치 톱뉴스 19.09.10.
2080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봄 시즌 9월 첫 주말 경매, 81.9%의 높은 낙찰률 기록 file 호주한국신문 19.09.12.
2079 호주 비싸게 팔리는 퀸즐랜드 휴양지 아파트들 file 호주한국신문 19.09.12.
2078 호주 8월 시드니-멜번 주택 가격 상승, 부동산 시장 성장 이끌어 file 호주한국신문 19.0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