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등을 제치고 호주에 부유층 이민자들이 가장 많이 몰리는 이유는 무엇일까?

 

무엇보다 한국을 비롯 중국, 일본, 홍콩, 싱가포르, 베트남과의 교역이 용이한 지리적 위치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이와 더불어 안전적 요인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됐다.

실제로 여성에게 지구상에서 가장 안전한 나라로 호주가 꼽혔고, 어린이에게도 역시 안전한 곳으로 분류됐다.

또한 호주에는 상속세가 없다는 점도 해외의 부유층 이민자들에게 큰 매력이 되는 것으로 보인다.

이른바 “사망세”(death duty)라고 불렸던 상속세는 지난 1979년  퀸슬랜드 주의 조 비요키-피터슨 정부를 시작으로 호주의 모든 주와 테러토리에서 폐지된 바 있다.

물론 부동산 양도 소득세(Capital gain tax)는 적용되고 있다.

이 밖에 최근 10년 동안 호주가 보여온 뛰어난 경제 성장세 역시 기업 신임도와 기회를 증진시킨 것으로 동 보고서는 지적했다.

 

호주인들의 부의 증진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10년 동안 미국의 전체 부는 20%의 성장폭에 그친 반면 호주의 부는 83%나 증가했다.

결과적으로 10년전과는 달리 현재 호주인은 현재 평균적으로 미국인보다 훨씬 부유한 것으로 조사된 것.

여기에 더해 유럽, 미주, 아시아 주요국가들의 대형 기업들이 호주에 지사를 설립하는 사례가 늘면서, 이들 지사 책임자들의 호주 이민 사례도 늘고 있다.  

이 보고서는 또 “캐나다나 호주처럼 인구 밀도가 낮은 국가들이 인구 당 부의 수준이 가장 높았던 반면 나이지리아, 에티오피아, 방글라데시, 파키스탄 등과 같이 인구밀도가 높은 국가들이 가장 빈곤한 것으로 재확인됐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저 인구밀도 국가의 경우 교역이나 자원에 있어 타 국가에 대한 의존도가 낮고 국가 내부적으로도 토지나 자원에 대한 경쟁이 덜 치열하며 광활한 야생 지역과 더불어 폐기물이나 오염도가 낮아 삶의 질이 증진된다”고 진단했다.

 

http://topdigital.com.au/node/5286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197 호주 호주 경제 선두 NSW 주, 주택공급 부족으로 1위 ‘위태’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1.
3196 호주 비만, “사회적 전염 가능성 있다”... 미 연구진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1.
3195 호주 심리학자가 주는 ‘매일의 행복감 찾기’ 다섯 가지 조언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1.
3194 호주 신기술 혁신... 30년 이내 호주인의 삶은 어떻게 변화할까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1.
3193 호주 신규 보육 서비스 지원 패키지... ‘보조금 제도’ 변경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1.
3192 호주 연방 정부, 세계 최고 건강 추구하는 ‘국가적 임무’ 추진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1.
3191 호주 전 세계 국가와 비교한 호주 각 주(state)의 경제 규모는...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1.
3190 호주 공립-사립-셀렉티브 학교,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은?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1.
» 호주 상속세 없는 호주, 부유층 이민자들이 몰린다 톱뉴스 18.02.02.
3188 호주 5세 이하 NSW 아동 독감 예방주사 무료 톱뉴스 18.02.02.
3187 호주 연방정부 캐비넷 문건 유출 파동 확산 톱뉴스 18.02.02.
3186 호주 타이완, 타스마니아 산 과일 수입 금지 톱뉴스 18.02.02.
3185 호주 시민권 취득자 감소세… 장기 심사 대기자는 증가 톱뉴스 18.02.02.
3184 호주 임금•물가 상승률 추월한 사립학교 학비 인상폭 톱뉴스 18.02.02.
3183 호주 시드니 남부 및 캔터베리-뱅스타운 아파트 가격 하락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8.
3182 호주 스트라스필드 카운슬, ‘Youth Summit’ 개최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8.
3181 호주 NSW 주 ‘어린이 스포츠 활동비’ 1명당 연간 100달러 지원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8.
3180 호주 중앙은행, 18개월째 최저 기준금리 1.5% ‘유지’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8.
3179 호주 호주 5개 주요 도시, 지난 10년 사이 실질 주택가치 ‘하락’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8.
3178 호주 교실에서의 스마트폰, 학습 성과에 방해일까 효과적일까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