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주택가치).jpg

부동산 컨설팅 사인 ‘코어로직’(CoreLogic)이 소비자 물가지수(Consumer Price Index)를 지난 10년간의 전국 주택가치에 적용한 결과 지난 10년 사이 시드니와 멜번(Melbourne), 호바트(Hobart) 3개 도시에서만 실질적 주택가치 성장을 기록했다. 사진은 경매를 통해 주택 매매가 이루어졌음을 알리는 사인 부착.

 

시드니-멜번-호바트 외 도시들... 퍼스(Perth), 25%의 하락으로 가장 커

 

지난 10년 사이 호주의 8개 주요 도시 가운데 5개 도시의 주택가치가 최대 25% 하락했으며, 서부 호주(WA) 퍼스(Perth)가 가장 큰 타격을 입었다는 새 자료가 나왔다.

금주 화요일(6일), 부동산 컨설팅 사인 ‘코어로직’(CoreLogic) 자료를 인용한 ABC 보도에 따르면 2017년까지 10년 사이 시드니와 멜번(Melbourne), 호바트(Hobart) 3개 도시에서만 실질적 주택가치 성장을 기록했다.

‘코어로직’이 내놓은 이번 보고서는 실질 물가상승률을 보여주는 최근 소비자 물가지수(Consumer Price Index)를 지난 10년간의 전국 주택가치에 적용했다.

그 결과, 이 기간 동안 실질 주택가치가 상승한 곳은 시드니를 비롯해 3개 도시뿐이었다.

이번 조사 결과 인플레이션을 반영한 실질 가치에서 퍼스의 부동산 가격은 25.4%의 하락으로 최대치인 것으로 분석됐다.

이어 다윈(Darwin)이 16.7% 하락으로 두 번째를 기록했으며 브리즈번(Brisbane) 역시 11.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부 호주(SA) 애들레이드(Adelaide)와 캔버라(Canberra) 또한 소폭 하락한 것으로 분석된 가운데 최근 5년 사이 주택 가격이 크게 치솟은 시드니와 멜번은 각각 44.1%, 39.1% 상승했다.

 

시드니 부동산 시장 ‘위축’

 

이번 보고서는 또한 최근의 부동산 가치 하락에 대한 암울한 그림을 보여주고 있다는 평이다.

최근 분기별 수치에서 시드니 시장의 급격한 둔화는 전국 부동산 평균 가격을 하락시키고 있다. 2017년에만 시드니의 부동산 실질 성장은 1.2%에 불과했다. 지난해 마지막 3개월인 12월 분기에는 오히려 2.5%가 하락했다.

퍼스의 경우에는 지난 한해 인플레이션을 반영하지 않은 명목가치는 2.3%였으나 실질 가치 하락은 4.1%에 달했다. 다윈은 명목 가치 6.5%에 실질가치는 8.3%로 급격히 낮아졌다.

호바트의 경우 지난해 10% 이상의 가치 상승을 보였으나 ‘코어로직’ 보고서는 적정 주택 가격을 상쇄하기 시작하면서 실질가치도 완화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베이비 부머-X세대가 누렸던

투자 혜택 기대, “어렵다”

 

서부 호주 부동산연구원(Real Estate Institute of WA. REIWA)의 하이든 그로브스(Hayden Groves) 대표는 첫 주택구입자들에게 부동산에 대한 그리 밝지 않은 그림과 부동산 가치가 더 이상 10년마다 두 배로 증가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려주고 있다.

그는 “지난 10년간의 경우에는 그렇지 않았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이 같은 부동산 경기의 불황에도 퍼스 지역 부동산 시장에도 희망이 있다고 전망했다. 그는 REIWA의 분석을 인용, 퍼스의 부동산 가격은 하락할 만큼 하락한 상태이며 이제는 상승하는 것만 남았다고 말했다.

‘REIWA’의 자료는 퍼스의 부동산 시장을 다소 밝은 그림으로 그려놓고 있다. 지난 2014년 첫 분기(1-3월) 퍼스의 부동산 가격은 54만 달러였으나 지난해 마지막 분기(9-12월)에는 51만7천 달러였다. 9.4%가 하락한 것이다.

10년 전 퍼스의 주택 중간 가격은 47만5천 달러지만 가장 최근 집계인 지난해 4분기에는 51만7천 달러로, 이는 인플레이션 요인 때문이 아니다.

그로브스 대표는 같은 기간 퍼스의 주별(per week) 임금은 420달러 이상 높아졌으며 낮은 기준금리는 부동산 구매를 부추켰다고 설명했다. 이어 지난 10년 사이 퍼스 부동산 시장이 상당히 어려웠다는 점을 인정하면서 “현재의 부동산 시장은 훨씬 더 낙관적인 전망이 있다”며 “단기간에 퍼스 부동산 시장이 위축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부동 투자 포기할 시기 아니다”

 

투자 컨설턴트로 일하는 닉 브러닝(Nick Bruining)씨는 부동산에 대한 손실은 사람들이 언제, 어디에서 구매했는가에 달려 있다고 말한다. 현 시점에서의 매각에 대해서는 “손해를 볼 것”이라고 진단한 그는 “부동산 분야에는 좋은 투자처가 있으며, 특히 도심 가까운 지역을 눈여겨 보라”고 조언했다.

브러닝씨는 이어 “지난 4-5년 사이 ‘모기지 벨트’(mortgage belt. 주택담보 대출로 주거지를 구입한 이들이 집중된 주거개발 단지)로 개발된 외딴 지역의 경우 기준금리 변동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면서 “투자에 대한 기본 수익을 고려하기 전, 임대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소득과 향후 성장 가능성을 먼저 살펴보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 주택가치 변화율

(2017년까지 10년 사이)

-Sydney : 44.1%

-Melbourne : 39.1%

-Brisbane : -11.4%

-Adelaide : -3.8%

-Perth : -25.4%

-Hobart : 1.2%

-Darwin : -16.7%

-Canberra : -1.1%

-combined capitals : 21.3%

-National : 13.8%

Source: Core Logic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주택가치).jpg (File Size:80.7KB/Download:17)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197 호주 호주 경제 선두 NSW 주, 주택공급 부족으로 1위 ‘위태’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1.
3196 호주 비만, “사회적 전염 가능성 있다”... 미 연구진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1.
3195 호주 심리학자가 주는 ‘매일의 행복감 찾기’ 다섯 가지 조언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1.
3194 호주 신기술 혁신... 30년 이내 호주인의 삶은 어떻게 변화할까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1.
3193 호주 신규 보육 서비스 지원 패키지... ‘보조금 제도’ 변경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1.
3192 호주 연방 정부, 세계 최고 건강 추구하는 ‘국가적 임무’ 추진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1.
3191 호주 전 세계 국가와 비교한 호주 각 주(state)의 경제 규모는...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1.
3190 호주 공립-사립-셀렉티브 학교,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은?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1.
3189 호주 상속세 없는 호주, 부유층 이민자들이 몰린다 톱뉴스 18.02.02.
3188 호주 5세 이하 NSW 아동 독감 예방주사 무료 톱뉴스 18.02.02.
3187 호주 연방정부 캐비넷 문건 유출 파동 확산 톱뉴스 18.02.02.
3186 호주 타이완, 타스마니아 산 과일 수입 금지 톱뉴스 18.02.02.
3185 호주 시민권 취득자 감소세… 장기 심사 대기자는 증가 톱뉴스 18.02.02.
3184 호주 임금•물가 상승률 추월한 사립학교 학비 인상폭 톱뉴스 18.02.02.
3183 호주 시드니 남부 및 캔터베리-뱅스타운 아파트 가격 하락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8.
3182 호주 스트라스필드 카운슬, ‘Youth Summit’ 개최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8.
3181 호주 NSW 주 ‘어린이 스포츠 활동비’ 1명당 연간 100달러 지원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8.
3180 호주 중앙은행, 18개월째 최저 기준금리 1.5% ‘유지’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8.
» 호주 호주 5개 주요 도시, 지난 10년 사이 실질 주택가치 ‘하락’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8.
3178 호주 교실에서의 스마트폰, 학습 성과에 방해일까 효과적일까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