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조이스 의원 1).jpg

전 공보보좌관과의 부적절한 관계로 집권 여당 내에서도 압박을 받아오던 바나비 조이스(Barnaby Joyce) 국민당 대표이자 연방 부총리가 끝내 사임을 밝혔다. 다만 그는 NSW 주 북서부, 뉴 잉글랜드(New England)를 지역구로 하는 연방 하원의원직은 그대로 유지한다.

 

바나비 조이스 부총리, 집권당 내 갈등 끝에 사임

 

호주 국민당 대표이자 자유-국민 연립 정부의 부총리인 바나비 조이스(Barnaby Joyce) 의원이 전 공보담당 보좌관과의 염문 스캔들로 모든 직책에서 사임 의사를 밝혔다.

지난 주 금요일(23일) 호주 언론들 보도에 따르면 조이스 부총리는 2주 전 33세의 전 공보비서 비키 캄피언(Vikki Campion)과의 부적절한 관계로 그녀가 조이스 부총리의 아들을 임신 중이라는 소문이 불거졌으며, 이로 인해 대중과 자유-국민 연립 여당 내에서도 사퇴 압력을 받아왔다.

특히 말콤 턴불(Malcolm Turnbull) 총리와 깊은 갈등을 이어오던 그는 이날(23일) 기자회견을 자청해 “26일(월)부로 연방 부총리직과 국민당 대표직을 모두 내려놓겠다”고 발표했다.

조이스 전 부총리는 “의회뿐만 아니라 비키와 아직 태어나지 않은 내 아이, 내 딸들과 아내(Natalie Joyce)를 위해 내가 차단기(a circuit-breaker)가 되어 모든 일을 막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 사임 이유를 전했다.

최근 연속적으로 붉어진 이중국적 논란과 한 서부 호주 여성의 성추행 불만 접수로 논란이 됐던 조이스 의원은 이번 외도 파문으로 정치 인생에 상당한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게 됐다.

국민당은 금주 월요일(26일) 오전 8시 캔버라에서 의원총회를 열고 마이클 맥코맥(Michael McCormack) 전 보훈부 장관을 후임 국민당 대표로 선출했다. 염문설이 불거진 직후에만 해도 당 대표를 교체하지 않고 안정적인 당 운영을 추구했던 국민당도 이번 사건으로 충격에 빠진 상태다.

2004년 상원의원으로 정계에 선출된 조이스 전 부총리는 자신의 저술을 통해 “의원직을 절대 그만두지 않겠다. 평의원으로 뒷자석에 앉아서라도 계속해서 일 하겠다”며 평생 정치인으로 살겠다는 의지를 표명, 호주 국내 최고의 정치인 중 한 명으로 평가받아왔다.

상원으로 일하던 그는 지난 2013년 NSW 주 북서부 내륙 뉴잉글랜드(New England) 지역구를 기반으로 하원에 출마했다. 이어 2016년, 당시 국민당 대표였던 워렌 트러스(Warren Truss) 의원이 정계은퇴를 선언하면서 국민당 대표로, 또 연립을 구성하고 있는 자유-국민 집권 여당의 부총리에 임명됐다.

이번 조이스 전 부총리의 사임을 주도한 인물은 앤드류 브로드(Andrew Broad) 국민당 하원의원이다. 그는 조이스 부총리와 비키 캠피언이 페어팩스 미디어(Fairfax Media)와의 인터뷰에서 정치인들과 국민들에게 “이제 그만 염문 스캔들을 넘어가 달라”고 요청하자 조이스 의원의 사퇴를 강하게 촉구했고, 24시간이 채 지나지 않아 조이스 의원의 사임 발표가 이어졌다.

한편 조이스 전 부총리의 외도 스캔들에 이어 캔버라 소재 의회의사당에서 벌어지는 정치인들과 장관 및 미디어 관계자들 간의 부적절한 성행위도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지난주 토요일(24일) 시드니 모닝 헤럴드는 캔버라를 담당하는 호주 각 신문, 방송 기자 및 관계자들의 말을 인용, 의회의사당에서 목격되거나 소문으로 떠돌고 있는 정치인과 의회 직원 또는 보좌관과의 부적절한 관계를 종합해 전하기도 했다.

 

김진연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조이스 의원 1).jpg (File Size:46.2KB/Download:26)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177 호주 호주인 가구당 평균 자산 100만 달러 첫 돌파 톱뉴스 19.07.16.
2176 호주 “호주 10학년 학생 20명 중 1명꼴로 MDMA 접근” 톱뉴스 19.07.16.
2175 호주 등반 금지 조치 앞둔 울루루에 등반객 쇄도 톱뉴스 19.07.16.
2174 호주 논란의 종교 자유 보장 강화법, 찬반공방 가열 톱뉴스 19.07.16.
2173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file 호주한국신문 19.07.18.
2172 호주 “멍멍멍, 알왈왈” 2019 시드니 DOG LOVER‘S SHOW 열린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07.18.
2171 호주 화제의 자동차- McLaren 720S Spider file 호주한국신문 19.07.18.
2170 호주 말 많고 탈 많았던 시드니 경전철, 올해 안 일부 구간 개통 file 호주한국신문 19.07.18.
2169 호주 서부 호주 퍼스의 작은 보트하우스, 여행자들의 ‘셀피’ 핫스폿으로 file 호주한국신문 19.07.18.
2168 호주 시드니 북부 카운슬, ‘NYE 불꽃놀이’ 관람자에 입장료 받기로 file 호주한국신문 19.07.18.
2167 호주 이민자들이 호주인들의 일자리를 빼앗는다? “근거 없는 추측” file 호주한국신문 19.07.18.
2166 호주 시드니 M4 East 터널 개통, '시드니 게이트웨이' 첫 걸음 file 호주한국신문 19.07.18.
2165 호주 4살 아들 앞에서 친모 참수 살해한 20대 시드니 여성 톱뉴스 19.07.23.
2164 호주 자유당 연립, 원주민 헌법지위 및 의회 대표권 보장 이슈에 ‘내부 설전’ 톱뉴스 19.07.23.
2163 호주 “뮤직 페스티벌은 마약 파티…?” 톱뉴스 19.07.23.
2162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Pent-up Demand’... 로젤 소재 코티지 190만 달러 낙찰 file 호주한국신문 19.07.25.
2161 호주 유명학교 인근 주택가격, 다른 지역에 비해 높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07.25.
2160 호주 무급 근무 어디까지 합법이고 무엇이 불법인가? file 호주한국신문 19.07.25.
2159 호주 NSW 교통부 “9월30일까지 그린 슬립 환급금 받아가세요” file 호주한국신문 19.07.25.
2158 호주 호주 일자리 도심 편중... “출퇴근 문제 심각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0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