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러시아스파이 1).jpg

지난달 4일 영국에서 발생한 전직 러시아 이중 스파이 독살 기도사건과 관련 호주 정부가 세계적인 영국의 대러시아 제재에 동참해 러시아 외교관 2명에 대한 추방명령을 내린 가운데, 마이클 맥코맥(Michael McCormack) 신임 연방 부총리가 러시아 내 반서방 정서로 인한 공격의 위험을 들어 호주 국민들에게 러시아 여행에 대한 주의령을 발령했다. 사진은 러시아 모스크바(Moscow) 붉은 광장의 성 바실리 대성당 저녁 풍경.

 

영국 내 러시아 스파이 암살시도 관련, 반서방 정서 따른 공격 ‘경고’

 

지난달 4일 영국에서 발생한 전직 러시아 이중 스파이 독살 기도사건과 관련해 전 세계가 러시아를 고립시키려는 태세에 돌입한 상황이다.

미국 등 전 세계 30여개 국가들이 각국 내 러시아 외교관을 추방시키며 영국 정부에 지지의사를 표하는 가운데, 호주도 최근 러시아 외교관 2명을 추방 조치했다.

이 같은 조치로 러시아 내에서 반서방 정서가 급격히 확산되고 러시아 내 서방국가 여행자에 대한 무차별 공격 위험이 고조되면서 호주 정부 또한 러시아 여행 주의보를 발령했다.

러시아에 대한 서방국가의 제재는 러시아 당국의 이중스파이 독살 시도에서 시작됐다. 영국 솔즈베리(salisbury)에 있는 한 쇼핑몰 인근에서 60대 남성과 30대 여성이 위독한 상태로 발견됐고 영국 수사기관 조사 결과 발견된 남자는 러시아 출신 이중스파이였던 세르게이 스크리팔(Sergei Skripal), 함께 있던 여성은 그의 딸인 율리아 스크리팔로 밝혀지면서 비롯된 것이다.

영국 수사 당국에 따르면 이들은 러시아가 개발한 신경작용제 ‘노비촉’(Novichok)에 노출돼 사망 직전 상태였다. 영국 당국은 노비촉이, 러시아가 군사적 목적으로 개발한 독성물질이라는 이유를 들어 러시아 정부를 이 암살시도 사건의 배후로 지목했고, 영국에 이어 24개국 이상의 국가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소속 국가들을 포함한 30개국에서 약 150명의 러시아 외교관 추방으로 이어졌다.

지난 달 26일(월), 호주 정부도 두 명의 러시아 외교관에 대해 “외교관 신분을 빙자한 정보요원들”이라며 7일 안에 출국할 것을 통보했다. 그러자 러시아도 4일 뒤인 30일(금) 보복 조치로 러시아 주재 호주 외교관 2명을 추방했다.

이런 가운데 마이클 맥코맥(Michael McCormack) 연방 부총리는 “현재 외교적 갈등이 지속되고 있어 러시아를 방문하는 호주인들은,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다시 한 번 생각해볼 것”을 당부했다. 특히 러시아 월드컵이 두 달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줄리 비숍(Julie Bishop) 외교부 장관도 러시아 월드컵에 대한 보이콧(boycott)은 배제한다면서도 러시아 여행을 피할 것을 당부한다고 말했다.

 

러시아 외교부,

독살 시도 연류 부인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미국 대통령은 지난 달 26일, 이번 사건과 관련해 러시아 외교관 60명을 추방하고 러시아 영사관 폐쇄를 명령하는 등 영국의 대러시아 제재에 적극 동참했다.

금주 일요일(1일) 러시아 방송들은 추방당한 외교관들이 두 대의 비행기를 통해 러시아 브누코보(Vnukovo) 국제공항에 도착했음을 알렸다. 이 중에는 워싱턴 주재 러시아 대사관과 뉴욕 주재 러시아 영사관 및 유엔 주재 러시아 외교관도 포함됐다.

러시아는 아직까지 이중 스파이 독살 기도사건에 대한 개입 사실을 부인하고 있는 상황이다. 자국 외교관들이 본국으로 송환된 날, 러시아 외교부는 국제 화학무기 감시단체인 화학무기금지기구(Organisation for the Prohibition of Chemical Weapons. OPCW)에 노비촉 독살 시도 사건의 수사에 대한 감시와 함께 관련 정보를 요청하기도 했다.

러시아 정부가 OPCW에 제출한 문서에는 영국 수사당국이 요청한 협조사항과 독살에 사용된 물질의 샘플 수집 과정 및 방법 등에 대한 질문이 포함되어 있다.

영국이 독살에 사용된 화학물질에 대한 분석을 의뢰한 전문가들 중 몇 명은 OPCW 관계자들이었다. 러시아 외교부는 지난 달 31일(토) 영국 및 프랑스 당국에 질문사항을 보내기도 했다.

이번 암살 시도의 표적이 된 스크리팔은 전직 러시아군 정보기관인 총정찰국(GRU, Glavnoye Razvedyvatelnoye Upravlenie) 소속 장교로, 영국에 국가기밀을 넘겼다가 국가 반역죄로 자국에서 수감생활을 하던 중 죄수 맞교환으로 풀려나 1995년 영국 정부의 스파이로 전향했다.

300명 이상의 러시아 스파이 명단 등을 영국 비밀정보국(M16)에 넘긴 대가로 10만 달러를 받는 등 스크리팔의 첩보행위를 알아차린 러시아 당국은 2006년 모스크바에서 그를 체포, 13년형을 구형했다. 그러나 그는 2010년 미국과의 스파이 교환 작업 과정에서 다시 한 번 풀려났으며 영국 등 다른 서방 정보기관에 지속적으로 정보를 제공해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세계 각국의 러시아 외교관 추방 움직임

-미국, 워싱턴 및 뉴욕 포함 자국 내 러시아 외교관 60명 추방 명령

-호주, 러시아 외교관 2명에게 7일 이내 본국으로 돌아갈 것 지시

-영국, 러시아 외교관 23명 추방, 주 모스크바(Moscow) 영국 대사관 축소 조치

-NATO, 러시아 외교관 7명 추방 및 부임을 위해 신임 수속을 밟고 있는 3명에 대한 신임 절차 중단

-캐나다, 러시아 외교관 4명 추방 및 신임 지원자 3명 거부

-우크라이나, 러시아 외교관 13명 추방 계획

-독일, 폴란드, 프랑스, 각각 러시아 외교관 4명 추방 계획

-리투아니아와 체코, 러시아 외교관 3명 추방 계획

-이탈리아, 네덜란드, 덴마크, 스페인, 알바니아, 각각 러시아 외교관 2명 추방 계획

-스웨덴, 크로아티아, 루마니아, 헝가리, 아일랜드, 마케도니아, 노르웨이, 핀란드, 라트비아, 에스토니아 각각 러시아 외교관 1명 추방 계획

 

김진연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러시아스파이 1).jpg (File Size:62.6KB/Download:24)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237 호주 Do you know? 12 The Best Public Arts around Sydney city file 호주한국신문 19.06.13.
2236 호주 연방 국회의원들 연봉 오른다... 최저 21만1천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19.06.13.
2235 호주 “시드니 관광산업의 가장 큰 고객은 호주 현지인이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06.13.
2234 호주 1.25%의 사상 최저 기준금리... 모기지 절약은 얼마? file 호주한국신문 19.06.13.
2233 호주 NSW 주, 첫 주택구입자들에게 2년간 8억5천만 달러 지원 file 호주한국신문 19.06.13.
2232 호주 연방정부 예산 1580억 달러 소득세 감축안, 상원통과 불확실 file 호주한국신문 19.06.13.
2231 호주 럭비 스타 이스라엘 폴라우 “동성애는 죄악, 동성애자는 사탄” 톱뉴스 19.06.18.
2230 호주 아다니 광산개발 프로젝트 최종 승인...시위 격화할 듯 톱뉴스 19.06.18.
2229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file 호주한국신문 19.06.20.
2228 호주 자동차 업계 화제- Lexus RC F Track Edition file 호주한국신문 19.06.20.
2227 호주 호주 10대 청소년들의 성 관련 조사, “The kids are all right...” file 호주한국신문 19.06.20.
2226 호주 12 best public arts around Sydney city(2) file 호주한국신문 19.06.20.
2225 호주 Victoria 주 안락사 허용, 호주 최초로 ‘조력자살’ 법안 발효 file 호주한국신문 19.06.20.
2224 호주 "감기 조심하세요!" 올 겨울 독감 극성, 병원들 환자로 넘쳐나 file 호주한국신문 19.06.20.
2223 호주 2019-20 NSW Budget - 공교육 부문 및 교통 인프라 건설에 주력 file 호주한국신문 19.06.20.
2222 호주 2019-20 NSW Budget - Winners and losers file 호주한국신문 19.06.20.
2221 호주 ‘살인 독감’ 호주 전역서 맹위….독감 사망자 NSW주 50명 돌파 톱뉴스 19.06.25.
2220 호주 BTS ‘조롱’ Ch9, 방탄소년단 팬에 ‘사과’…"인기 강조한 유머" 해명 톱뉴스 19.06.25.
2219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file 호주한국신문 19.06.27.
2218 호주 미국 낙태금지법 돌풍, 호주에도 상륙할까 두려운 호주 10대들 file 호주한국신문 19.0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