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2차 남북정상회담 '종전선언' 부활 또는 평화선언 가능성
2018 남북정상회담이 오늘 거행된다.

이번 정상회담에서 남과 북이 65년간 유지해온 한반도 정전체제에 마침표를 찍기 위한 첫걸음을 뗄지 주목된다.
'평화, 새로운 시작'이 슬로건인 데서 보이듯 정전체제를 넘어선 평화체제 구축은 이번 정상회담의 핵심 의제 중 하나로 꼽힌다.

 

<오늘(27일) 판문점 평화의집에서 열리는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남북정상회담장 모습.  정상회담 테이블은 궁궐의 교각 난간 형태를 모티브로 하여 두 개의 다리가 하나로 합쳐지는 모습으로 제작됐으며 정상들이 앉는 테이블 중앙 지점의 테이블 폭을 2018mm로 제작, 한반도 평화 정착 실현을 위한 역사적인 2018년 남북정상회담을 상징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회담장 배경에는 금강산의 높고 푸른 기상을 담고 있는 신장식 작가의 '상팔담에서 본 금강산' 작품이 걸려있다. 그리고 전체적인 실내 인테리어는 한옥의 대청마루를 모티브로 전체적으로 한옥 내부 느낌이 나도록 조성했다.(연합뉴스)>

법적으로 전쟁이 끝나지 않은 한반도의 정전체제를 평화체제로 전환함으로써 북한이 더는 핵무기를 보유할 이유가 없도록 만드는 일은 북한 비핵화에 대한 '상응 조치'인 동시에 비핵화 협상의 '견인차'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무엇보다 북핵 해결의 과정과 평화체제 구축의 과정이 사실상 처음으로 병행 가동될 수 있을지가 중요 관전 포인트로 떠올랐다.
평화체제의 울타리 안에는 전쟁을 법적으로 끝내는 평화협정 체결과 북미 국교 정상화, 주한미군의 역할과 한미합동군사훈련의 향배, 남북 간 해상 불가침 경계선 확정, 평화보장 관리기구의 구성 및 운영, 비무장지대의 평화지대로의 전환, 군비통제 등 다양한 요소가 존재한다.

외교가는 북한 비핵화와 평화체제 프로세스가 상호 영향을 주거니 받거니 하며 진행되다가 북한 보유 핵무기의 최종 폐기와 평화협정 발효를 통해 동시에 마침표를 찍는 시나리오를 그리는 분위기다.

 

<27일 발표된 남북정상회담 남·북측 공식수행원. 윗줄 왼쪽부터 남측 공식수행원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서훈 국가정보원장, 조명균 통일부 장관, 송영무 국방부 장관, 강경화 외교부 장관, 정경두 합동참모의장. 아랫줄 왼쪽부터 북측 공식수행원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 김영철 당중앙위원회 부위원장, 최 휘 당중앙위원회 부위원장, 리수용 당중앙위원회 부위원장, 김여정 당중앙위원회 제1부부장, 리명수 총참모장, 박영식 인민무력상, 리용호 외무상, 리선권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위원장.>

 

한편 이번 남북정상회담을 앞두고 호주언론과 호주한인사회의의 관심도 무척 높아지고 있다. 

주요 언론들도 연일 남북정상회담에 대한 보도를 쏟아내고 있으며 특히 패어팩스 계열사의 디 오스트레일리안 파이낸셜 리뷰(AFR)지는 이백순 주호한국대사와의 특별 대담을 통해 이번 정상회담의 의미를 진단했다.

이대사는 AFR지와의 대담에서 “남북정상회담의 성공은 한반도 평화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 평화적 배당금이 배분되는 것과 마찬가지다”라고 그 의미를 평가했다.

한편 호주한인사회 단체들도 이번 남북정상회담에 대한 지지의사를 다각도로 표출하고 있다.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아세안 지역회의(부의장 이숙진)가 역내의 주요 인사들에게 발송한 ‘남북정상회담 지지’ 전자편지 시안.>

몇몇 단체들이 한인매체를 통한 정상회담 지지 광고를 게재하는 한편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는 호주 언론매체와 주요 정치인 등 주류사회 인사 4천여명에게 이레터를 발송해 ‘남북정상회담에 대한 역내 한인사회의 지지 의사’를 표명했다

 

27일 열릴 남북정상회담만찬에 쓰일 만찬 메뉴가 24일 공개됐다. 사진은 추운 겨울 동토를 뚫고 돋아나는 따뜻한 봄 기운을 형상화한 망고무스. 봄꽃으로 장식한 망고무스 위에 한반도기를 놓아 단합된 한민족을 표현하고 단단한 껍질을 직접 깨트림으로 반목을 넘어 남북이 하나됨을 형상화했다는 게 청와대의 설명.

남북정상이 건배에 쓸 문배술(왼쪽). 문배술은 고려시대 이후 천년을 이어오는 술로 중요무형문화재 '제 86-가 호'이자 대한민국 식품명인 7호로 문배술의 고향은 평안도이나 지금은 남한의 명주가 됐다. 두견주는 충남 당진시 면천면에서 진달래 꽃잎과 찹쌀로 담근 향기 나는 술.

 

http://topdigital.com.au/node/5750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997 호주 Federal election- 총선 승패의 갈림길은... file 호주한국신문 19.05.23.
2996 호주 Federal election- 연립 정부의 예상되는 경제 압박은... file 호주한국신문 19.05.23.
2995 호주 호주 최고 지도자로 꼽히는 밥 호크 전 총리, 89세로 타계 file 호주한국신문 19.05.23.
2994 호주 Escape to Stanley, Tasmania: It’s just special. It’s not like anywhere else file 호주한국신문 19.05.23.
2993 호주 소규모 주택, 노숙 여성들의 주거 문제 해결책 될까., file 호주한국신문 19.05.23.
2992 호주 시드니 신규주택 공급 꾸준히 증가... 5년 뒤 20만채 건설 file 호주한국신문 19.05.23.
2991 호주 ‘노스웨스트 메트로’ 라인, 이번 주 일요일 개통 file 호주한국신문 19.05.23.
2990 호주 광역시드니, 10주 후 수도사용 제한 시행 방침 file 호주한국신문 19.05.23.
2989 호주 부동산 시장침체 속, 시드니 서부 일부 지역 주택 가격 ‘상승세’ file 호주한국신문 19.05.23.
2988 호주 전국 부동산 매매 전망... 3년 후 가격이 오를 잠재 투자 시장은? file 호주한국신문 19.05.23.
2987 호주 Federal election: 주요 정당의 빈곤층 복지정책 file 호주한국신문 19.05.16.
2986 호주 Federal election: 호주 우파-좌파 성향 선거구는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19.05.16.
2985 호주 Federal election 2019- 여성 후보자, 이전보다 줄어 file 호주한국신문 19.05.16.
2984 호주 ‘셀렉티브 스쿨’ 입학 점수, 전년도 대비 더 높아져 file 호주한국신문 19.05.16.
2983 호주 NSW 주, 음주운전 단속 ‘무관용’ 원칙 적용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19.05.16.
2982 호주 The 22 places you're probably pronouncing incorrectly file 호주한국신문 19.05.16.
2981 호주 올해 아치볼드 상, ‘토니 코스타’가 그린 ‘린디 리’ 초상화 수상 file 호주한국신문 19.05.16.
2980 호주 “광역시드니, 심각한 가뭄 상황에 시달리고 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05.16.
2979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쿠지 소재 2침실 아파트, 잠정 가격서 20만 달러 ↑ file 호주한국신문 19.05.16.
2978 호주 유권자 지지도 쇼튼 당수에 기울어... 양당 선호도 격차는 좁혀져 file 호주한국신문 19.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