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싱가포르에서 열린 역사적인 북미 정상회담과 관련해 호주정부는 조심스런 환영의 반응을 비쳤다.

말콤 턴불 연방총리는 “한반도 평화를 향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노력은 매우 설득적이었고, 강력한 협상력을 발휘했다”면서 “북한 비핵화를 향한 힘찬 발걸음이다”라고 긍정적 반응을 비쳤다.

연방정부는 그러나 "북한이 12일 합의한 비핵화 절차 여부를 입증하는데 호주가 적극 참여하는 방안을 모색할 것"이라는 입장을 드러냈다.

줄리 비숍 외무장관은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북한의 김정은 위원장이 정상회담을 가진 것은 역사적이고 상징적이지만 낙관만은 할 수 없다”고 선을 그었다.

비숍 장관은 특히 향후 북한의 비핵화 검증 절차에 호주도 적극 참여할 것이라고 제안하면서 "북한은 반드시 전면적 비핵화를 단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비숍 장관은 “북한의 비핵화 검증에는 국제원자력기구( IAEA)와 세계적 전문가들이 참여해야 한다”는 점도 덧붙였다.

그는 또 “북한은 이제 어제 정상회담 합의안에 대한 진정성 여부를 입증해야 할 책임이 주어진 것”이라고 압박했다.

비숍 장관은 "과거에 양국간에 합의된 사안이 이행되지 않은 전례가 있는 만큼 전 세계가 지켜보는 가운데 서명된 합의안의 진정성 여부를  북한은 입증해야 할 책임 있다"고 말했다.

노동당의 빌 쇼튼 당수도 매우 신중한 환영의 반응을 보였다.

쇼튼 당수는 “미북 정상이 머리를 맞대고 협상에 나섰다는 것은 높게 평가해야 하지만 지난 25년 동안 협상을 통해 이룬 것이 사실상 없다는 점을 간과할 수는 없다”면서 “더욱 좋은 결과를 가져오기 위한  압박을 늦출 수 없다”고 강조했다.

케빈 러드 전 연방총리도 자신의 트윗터를 통해 “매우 매우 역사적인 순간이다. 하지만 갈 길은 멀다”라고 논평했다.

 

<싱가포르에서 역사적인 북미정상회담이 열린 12일 발간된 현지 석간신문과 13일자 조간 신문들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악수 사진을 일제히 1면에 실었다.
 현지 유력 영자신문 스트레이츠타임스의 13일자 조간은 1면에 평소와 다른 밝고 두꺼운 용지를 사용해 눈길을 모았다. 이 신문은 '평화로 가는 기나긴 길의 첫 발'로 정상회담 관련 1면톱 기사 제목을 뽑았고, 유력 중국어 신문인 연합조보 13일자는 '트럼프-김정은 세기의 악수, 역사의 새 페이지를 열다'를 제목으로 썼다. >

 

 

SMH “정치적 수사는 긍정적…합의안은 공상적”

ABC “히틀러-챔버레인 회담 연상시킨 북미정상회담

 

호주언론의 반응은 정치권과 비교되지 않을 정도로 비평적 반응이 지배적이었다.

회담장 현지를 시시각각으로 생중계한 ABC는 회담 직후 미국, 한국, 영국, 호주 등의 한반도 전문가들을 대거 연결해 회담 결과를 입체적으로 분석했다.

ABC는 “다수의 학자들인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의 회담이 2차 대전 직전의 영국 챔버레인 수상과 히틀러의 회담을 연상시켰지만 그나마 희망을 비쳤다”고 언급했다.

ABC의 또 다른 채널 뉴스에서는 “북한 관영 매체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양보안을 부각시키면서 ‘역사적인 조미정상회담은 대성공이었다’고 대대적으로 홍보하는 반면 한반도의 전면적 비핵화에 대한 합의안은 축소해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시드니 모닝 헤럴드의 피터 하처 정치국장은 “정치적 수사는 긍정적이지만 트럼프-김정일 정상회담의 합의안은  공상적이다”라고 비평했다.

하처 국장은 “이번 정상회담의 가장 중추적 이슈인 북한 핵무기와 관련해 실제로 김정은 위원장으로부터의 실질적 양보안은 찾아볼 수 없다”고 지적했다.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미국 트럼프 대통령과 12일 싱가포르의 센토사섬에서 역사적인 첫 북미정상회담을 가졌고 이 자리에서 공동성명을 채택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보도했다>

미국 언론 김정은의 승리진짜 승자는 중국

미국 언론의 혹평은 더욱 거셌다.

워싱턴포스트(WP)는  “더이상 양보는 없다”는 제목의 사설에서 “의문의 여지 없이 싱가포르 회담은 김정은과 북한 정권의 승리였다”고 밝혔다.

타임지는 “이번 정상회담은 북한에 승리를 안겼고, 더 나아가 중국이 진짜 승리자라고 평가했다. “북한과 미국은 모두 회담에서 그들이 원하는 것을 얻었지만, 장기적으로 진정한 승자는 중국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사설에서 이번 회담을 계기로 향후 미국이 북한에 더 많은 양보를 해야 할 상황에 놓일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 신문은 “북한은 앞으로 모든 단계에서 미국의 양보를 주장할 것”이라며 “회담에 전념한 트럼프는 김정은이 떠나지 않도록 더 많은 양보를 해야 한다는 압박을 받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시사잡지 뉴요커도 북한과 중국이 승리했다고 단정지었다.

뉴요커는 “남북회담에서 했던 말이 북미정상회담 합의안에서 대부분 되풀이됐고, 미래 회담을 위한 모호한 계획만 남겼다”고 비판했다

한편 웬디 셔먼 전 국무부 차관은 언론과의 인터 뷰에서 “트럼프는 상호 간의 동등한 조치 없이 ‘큰 양보’만 했다”고 말했다.
미 국무부 북핵특사를 지낸 로버트 갈루치 조지타운대 교수는 “회담에 대한 유일한 반응은 실망이고 미국이 얻은 것은 아무 것도 없다”라고 질타했다.
한편 크리스토퍼 힐 전 국무부 동아태 담당 차관보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이 서명한 공동 성명에는 검증 절차나 비핵화 일정이 명시되지 않는 등 과거 합의보다 후퇴한 선언”이라고 분석했다.

http://topdigital.com.au/node/5982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437 호주 “견고한 유대감으로 공정하고 번창하는 미래 지향...” file 호주한국신문 19.01.24.
2436 호주 호주 ‘슈퍼리치들’ 자산, 1년 만에 1천600억 달러 늘어나 file 호주한국신문 19.01.24.
2435 호주 NSW 주 지방도시들 주택가격, 지난 5년 사이 크게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19.01.31.
2434 호주 NSW 주 정부의 ‘워털루 주거지 종합개발 계획’에 복지 단체 반발 file 호주한국신문 19.01.31.
2433 호주 NSW 주립도서관, ‘루프탑 레스토랑’ 개장 강행? file 호주한국신문 19.01.31.
2432 호주 NSW 주 정부, ‘Metro West’ 라인에 9개 역 마련 시사 file 호주한국신문 19.01.31.
2431 호주 비만-영양실조-기후변화, 인류를 위협하는 가장 큰 세 가지 요소 file 호주한국신문 19.01.31.
2430 호주 ‘블룸버그’ 혁신지수서 한국, 6년 연속 최고 자리 차지 file 호주한국신문 19.01.31.
2429 호주 미래세대는 은퇴 후 ‘그레이 노마드’의 삶을 살 수 있을까? file 호주한국신문 19.01.31.
2428 호주 호주를 지도에 올려놓은 탐험가 플린더스 유해, 마침내 발견 file 호주한국신문 19.01.31.
2427 호주 ‘전 세계 각 문화 장점들’로 다양성-조화 만들어가야... file 호주한국신문 19.01.31.
2426 호주 “다문화 커뮤니티를 위한 기회 제공에 지속적 노력...” file 호주한국신문 19.01.31.
2425 호주 지난해 실업률 하락... 빅토리아-NSW 주 일자리 힘입어 file 호주한국신문 19.01.31.
2424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1/4 에이커 부지의 카슬힐 주택, 잠정가에서 $425,000 ↑ file 호주한국신문 19.02.07.
2423 호주 호주인들, 주택가격 하락에도 부동산 시장 전망 ‘낙관’ file 호주한국신문 19.02.07.
2422 호주 시드니 주택 구매 최적기는 ‘2008년’... 2년 전 판매자들, 수익 최대 file 호주한국신문 19.02.07.
2421 호주 ‘자선활동’ 버스커들의 ‘Strathfield Sessions’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19.02.07.
2420 호주 “유아 교육, 주요 생활 능력 습득... 일생 동안 영향 미쳐” file 호주한국신문 19.02.07.
2419 호주 시드니 재즈 라이브 클럽 ‘The Basement’, 다시 문 연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02.07.
2418 호주 중국 여행자로 호황 누리던 호주 관광산업, 위축될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19.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