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질병).jpg

호주보건복지연구원(AIHW)이 최근 발표한 ‘건강 2018’(Health 2018) 보고서에 따르면 호주 성인의 두 명 중 한 명이 하나의 만성질환을 앓고 있다. 비만, 올바르지 않은 식이 요법, 신체 활동량 부족이 만성질환의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사진 : aap

 

‘보건복지연구원’ 조사, 사망원인의 87%... 주요 원인은 ‘운동 부족’

 

호주인들의 평균 수명은 늘어났지만, 인구 절반이 각종 만성적인 질병을 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주 수요일(20일) ABC 방송은 ‘호주 보건복지연구원’(Australian Institute of Health and Welfare. AIHW)이 최근 발표한 ‘건강 2018’(Health 2018) 보고서를 인용, 삶의 질을 악화시키는 만성질환에 대한 실태를 보도했다.

AIHW의 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만성질병은 크게 8가지로 암, 심혈관 질환, 정신질환, 관절염, 허리 통증, 만성 폐쇄성 폐질환, 천식, 당뇨병이다. 호주 성인의 2명 중 1명이 이들 질환 중 하나를 앓고 있으며, 4명 중 1명 가까이는 두 가지 이상을 안고 있다.

호주 성인 및 어린이를 통틀어 3명 중 1명(700만 명)이 천식과 같은 만성 호흡기 질환을 앓고 있으며, 3명 중 1명(690만 명)은 허리통증, 관절염, 골다공증과 같은 근골격 질환을, 10명 중 1명(170만 명)은 만성 신장병의 생체의학적 징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성인 20명 중 1명(120만 명)은 스스로 당뇨병을 앓고 있다고 보고했으며, 65세 이상 노인 11명 중 1명(376,000 명)은 치매 상태이다.

보고서는 “만성질병은 전체 사망원인의 87%, 전체 질병 부담의 61%, 입원사유의 3분의 1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또한 보고서는 비만을 만성 질환의 주요 위험 인자로 꼽은 뒤 “호주인 성인 10명 중 6명이 과체중 또는 비만이며, ‘심각한 비만’을 가진 인구가 두 배 증가했다”고 전했다.

‘호주공공보건학회’(Public Health Australia)의 테리 슬레빈(Terry Slevin) 박사는 “만성질병의 3분의 1은 예방이 가능하다”며 “명확한 해결방안과 계획이 없어 예방에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만성질병예방연합’(Chronic Disease Prevention Alliance)의 산치아 아란다(Sanchia Aranda) 교수는 높은 체질량, 올바르지 않은 식이 요법, 신체 활동량 부족을 이 만성질환의 가장 큰 원인으로 진단했다.

아란다 교수는 “고령화가 심화되면서 만성질환 환자가 급증할 것”이라며 “식품의 조리법, 라벨, 광고 등과 더불어 영양학적으로 건강한 음식을 선택하도록 유도하고 또 보다 쉽고 보편화된 신체활동 환경을 조성해 건강한 생활문화를 선도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한편 AIHW의 배리 샌디슨(Barry Sandison) CEO는 “저소득 계층이 흡연을 하거나 당뇨에 걸릴 확률은 3배가 더 높으며, 이들은 비용문제로 인해 치과에 가지 않거나 약사의 약 처방을 받지 않을 가능성이 두 배 이상 많다”고 우려했다.

 

김진연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질병).jpg (File Size:56.1KB/Download:20)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437 호주 “견고한 유대감으로 공정하고 번창하는 미래 지향...” file 호주한국신문 19.01.24.
2436 호주 호주 ‘슈퍼리치들’ 자산, 1년 만에 1천600억 달러 늘어나 file 호주한국신문 19.01.24.
2435 호주 NSW 주 지방도시들 주택가격, 지난 5년 사이 크게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19.01.31.
2434 호주 NSW 주 정부의 ‘워털루 주거지 종합개발 계획’에 복지 단체 반발 file 호주한국신문 19.01.31.
2433 호주 NSW 주립도서관, ‘루프탑 레스토랑’ 개장 강행? file 호주한국신문 19.01.31.
2432 호주 NSW 주 정부, ‘Metro West’ 라인에 9개 역 마련 시사 file 호주한국신문 19.01.31.
2431 호주 비만-영양실조-기후변화, 인류를 위협하는 가장 큰 세 가지 요소 file 호주한국신문 19.01.31.
2430 호주 ‘블룸버그’ 혁신지수서 한국, 6년 연속 최고 자리 차지 file 호주한국신문 19.01.31.
2429 호주 미래세대는 은퇴 후 ‘그레이 노마드’의 삶을 살 수 있을까? file 호주한국신문 19.01.31.
2428 호주 호주를 지도에 올려놓은 탐험가 플린더스 유해, 마침내 발견 file 호주한국신문 19.01.31.
2427 호주 ‘전 세계 각 문화 장점들’로 다양성-조화 만들어가야... file 호주한국신문 19.01.31.
2426 호주 “다문화 커뮤니티를 위한 기회 제공에 지속적 노력...” file 호주한국신문 19.01.31.
2425 호주 지난해 실업률 하락... 빅토리아-NSW 주 일자리 힘입어 file 호주한국신문 19.01.31.
2424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1/4 에이커 부지의 카슬힐 주택, 잠정가에서 $425,000 ↑ file 호주한국신문 19.02.07.
2423 호주 호주인들, 주택가격 하락에도 부동산 시장 전망 ‘낙관’ file 호주한국신문 19.02.07.
2422 호주 시드니 주택 구매 최적기는 ‘2008년’... 2년 전 판매자들, 수익 최대 file 호주한국신문 19.02.07.
2421 호주 ‘자선활동’ 버스커들의 ‘Strathfield Sessions’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19.02.07.
2420 호주 “유아 교육, 주요 생활 능력 습득... 일생 동안 영향 미쳐” file 호주한국신문 19.02.07.
2419 호주 시드니 재즈 라이브 클럽 ‘The Basement’, 다시 문 연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02.07.
2418 호주 중국 여행자로 호황 누리던 호주 관광산업, 위축될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19.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