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러시아월드컵에서 도입된 VAR(비디오 판독) 시스템이 호주 축구 대표팀 사커루즈에 이어 태극전사마저 울렸다.

심판진과 함께 그라운드를 주시하는 37개의 ‘정밀 눈’은 이번 월드컵 대회에서 각국 대표팀의 희비를 엇갈리게 하고 있다.

사람의 판정이 놓친 장면을 기계가 잡아내는 시스템으로 호주와 한국은 호된 신고식을 치러야 했다.

아무튼 VAR은 경기 결과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한국 대표팀은 18일(호주동부표준시) 러시아 니즈니노브고로드 스타디움에서 열린 러시아월드컵 F조리그 첫 경기에서 후반 21분 수비수 김민우가 벌칙지역 안으로 들어온 빅토르 클라에손을 막기 위해 태클을 했다.

주심은 이 장면에 대해 VAR를 실시했고 페널티킥을 선언했다.

대표팀은 이 페널티킥을 막지 못해 0-1로 졌다. 경기 내용 여부를 떠나 결과적으로 스웨덴은 VAR의 최대 수혜자가 된 것. 

VAR 때문에 희비가 엇갈린 팀은 한국과 스웨덴 뿐만이 아니다.

호주 대표팀 사커루즈는 그야말로 VAR 판독으로 눈물을 흘렸고, 감독 이하 선수 모두가 강한 불만을 터뜨렸다.  

지난 16일 러시아 카잔 아레나에서 열린 C조리그 첫 경기에서는 프랑스가 VAR의 도움을 얻어 2-1로 승리했다. 후반 9분 앙트완 그리즈만(27)이 페널티 지역에서 호주 수비수 조슈아 리스던(26)의 발에 걸려 넘어졌다.

파울을 불지 않았던 주심은 프랑스 선수들의 거센 항의가 이어지자 경기를 중단하고 VAR을 요청했다.
반칙이 명백했던 한국 김민우의 태클과는 전혀 달리, VAR 화면을 보고도 일반인들은 판단이 어려울 정도의 애매모호한 상황이었지만 정밀 판독을 통해 주심은 페널티킥을 선언했고 프랑스의 그리즈만은 이를 성공시켰던 것.

 

호주의 골키퍼 매트 라이언은 "상대팀에게 졌다는 생각이 들지 않고 테크놀로지에 패한 느낌"이라며 불만을 터뜨렸다.  
앙투안 그리즈만에게 반칙을 범해 페널티킥을 허용한 수비수 조시 리즈던은 "나는 분명히 공에 발을 갖다 댔다"며 "그리즈만과 작은 접촉은 있었는지 모르지만 그 즉시 다리를 뺐다"고 항변한 바 있다.

동료 트렌트 세인스배리 역시 “어떻게 하겠나. 내가 VAR을 바꿀 수 있는 것도 아니니 그저 받아들이는 것이다”라며 아쉬움을 토로했다.
 마르베이크 감독 역시 기자회견에서 비디오판독 후 판정을 번복한 안드레스 쿠냐 주심을 비난했다. 

월드컵 중계방송사 SBS의 크레이그 포스터 해설위원도 “당시 상황을 볼 때 주심이 페널티킥을 선언할 자신이 없었다는 것 자체가 페널티킥을 선언할 상황이 아니었음을 반증하는 것으로 VAR 판독 요청 자체가 어설펐다”고 지적했다.
SNS 상에서의 사커루즈 팬들의 불만은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VAR 논란은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C조의 페루-덴마크 간 경기에서도VAR을 통해 페널티킥이 선언됐고, G조 리그 튀니지와의 첫 경기에서 2골을 넣으며 잉글랜드의 승리를 이끈 해리 케인의 경우 오히려 두 차례나 VAR 판독 기회가 거부됐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하지만 VAR 덕분에 러시아월드컵이 깨끗한 대회가 되고 있다는 분석도 있다.

VAR은 지난 3월 국제축구평의회(IFAB)가 도입을 결정한 바 있다.

심판이 리플레이 영상을 보면서 지난 판정을 재확인하거나 번복할 수 있도록 돕는 시스템이다.

주심은 모니터를 통해 경기장에 설치된 카메라 37대로 촬영된 다양한 각도의 영상을 볼 수 있다.

득점 상황ㆍ페널티킥ㆍ퇴장 선수 확인ㆍ징계 선수 정정 등 경기 결과에 직접 영향을 주는 판정에만 활용되면서 결국 승패의 직격탄이 되고 있다.

한편 F 조 예선 첫 경기에서 패한 태극전사는 24일(일) 새벽 1시(호주 동부 표준시) 독일을 물리친 남미의 전통강호 멕시코와 맞붙는다.

 

사진=AAP. Adam Davy/PA Wire

http://www.topdigital.com.au/node/6015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437 호주 “견고한 유대감으로 공정하고 번창하는 미래 지향...” file 호주한국신문 19.01.24.
2436 호주 호주 ‘슈퍼리치들’ 자산, 1년 만에 1천600억 달러 늘어나 file 호주한국신문 19.01.24.
2435 호주 NSW 주 지방도시들 주택가격, 지난 5년 사이 크게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19.01.31.
2434 호주 NSW 주 정부의 ‘워털루 주거지 종합개발 계획’에 복지 단체 반발 file 호주한국신문 19.01.31.
2433 호주 NSW 주립도서관, ‘루프탑 레스토랑’ 개장 강행? file 호주한국신문 19.01.31.
2432 호주 NSW 주 정부, ‘Metro West’ 라인에 9개 역 마련 시사 file 호주한국신문 19.01.31.
2431 호주 비만-영양실조-기후변화, 인류를 위협하는 가장 큰 세 가지 요소 file 호주한국신문 19.01.31.
2430 호주 ‘블룸버그’ 혁신지수서 한국, 6년 연속 최고 자리 차지 file 호주한국신문 19.01.31.
2429 호주 미래세대는 은퇴 후 ‘그레이 노마드’의 삶을 살 수 있을까? file 호주한국신문 19.01.31.
2428 호주 호주를 지도에 올려놓은 탐험가 플린더스 유해, 마침내 발견 file 호주한국신문 19.01.31.
2427 호주 ‘전 세계 각 문화 장점들’로 다양성-조화 만들어가야... file 호주한국신문 19.01.31.
2426 호주 “다문화 커뮤니티를 위한 기회 제공에 지속적 노력...” file 호주한국신문 19.01.31.
2425 호주 지난해 실업률 하락... 빅토리아-NSW 주 일자리 힘입어 file 호주한국신문 19.01.31.
2424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1/4 에이커 부지의 카슬힐 주택, 잠정가에서 $425,000 ↑ file 호주한국신문 19.02.07.
2423 호주 호주인들, 주택가격 하락에도 부동산 시장 전망 ‘낙관’ file 호주한국신문 19.02.07.
2422 호주 시드니 주택 구매 최적기는 ‘2008년’... 2년 전 판매자들, 수익 최대 file 호주한국신문 19.02.07.
2421 호주 ‘자선활동’ 버스커들의 ‘Strathfield Sessions’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19.02.07.
2420 호주 “유아 교육, 주요 생활 능력 습득... 일생 동안 영향 미쳐” file 호주한국신문 19.02.07.
2419 호주 시드니 재즈 라이브 클럽 ‘The Basement’, 다시 문 연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02.07.
2418 호주 중국 여행자로 호황 누리던 호주 관광산업, 위축될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19.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