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프리스쿨 1).jpg

지난주 발표된 NSW 주 2018-19 예산 계획에서 발표된 3~4세 아동 유치원(pre-school) 보조금이 지역유치원(community preschools)에만 지원돼 실질 수혜자는 17.5%에 그친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사진은 시드니 지역의 한 유치원. 사진 : aap

 

지역 유치원에만 해당... 80% 가정, “시간 못 맞춰 이용 어렵다”

 

지난 6월19일 발표된 NSW 주 2018-19 예산 계획에서 3~4살 아동부터 유치원 (pre-school)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연령이 하향 조정된 가운데, 주 정부가 지역유치원(community preschools)에만 보조금을 지급하겠다고 밝혀 유아교육 단체들이를 비판하고 나섰다.

지난주 금요일(22일) ABC 방송에 따르면, 현재 3세 아동을 둔 10가구 중 8가구의 부모들이 자녀를 어린이집(day care centres)에 보내고 있다. 긴 시간 아이들을 맡겨둘 수 있다는 것이 그 이유다. 반면 커뮤니티 유치원들의 경우 단시간만 이용할 수 있어 시간을 맞추기가 어려운 대부분의 맞벌이 가정들은 이용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호주돌봄위원회(Care Council of Australia)의 엘리자베스 데스(Elizabeth Death) CEO는 주 정부의 보조금 정책에 대해 “부모 중 한 명은 일을 하지 않는 가정만이 이용할 수 모델”이라며 “장시간의 보육이 필요한 맞벌이 부부들은 아무것도 받을 수 없는 정책”이라고 지적했다.

보도에 따르면 데스 CEO는 사라 미첼(Sarah Mitchell) 유아교육 장관을 찾아가 “정부 보조금은 모든 3세 아동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보편적 접근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며 해당 사항과 관련해 이의를 제기하기도 했다. 그녀는 “신규 프리스쿨 수혜자는 전체 3세 아동 중 17.5%밖에 해당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종합(프리스쿨 2).jpg

커뮤니티 유치원의 경우 단시간만 이용이 가능하고 이 시간을 맞추기 어려워 3세 아동을 둔 80%의 학부모들은 장시간 아이를 맡겨둘 수 있는 어린이집(day care centres)을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사진 : flickr.com

 

미셸 카네기(Michele Carnegie) ‘호주지역아동학습’ CEO은 “수혜 아동은 전체 NSW에서 8천 명으로 추산된다”면서 “보다 많은 아동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학부모들이 일어나 싸워야 한다”고 말했다.

케이트 워싱턴(Kate Washington) 의원 또한 해당 보조금을 두고 ‘사기성 발표’(con job)라며 비난했다. 그녀는 “센트럴 웨스트(central west)에 위치한 카우라(Cowra)와 뉴 잉글랜드(New England) 소재 가이라(Guyra)와 같은 지역에는 지역 유치원이 아예 없어 혜택은 꿈도 못 꾼다”며 “주 정부가 ‘눈 가리고 아웅하는 식’의 정책으로 학부모들을 호도하고 있다”고 강하게 비난했다.

또한 아이가 지역 유치원에 입학할 수 있다손 치더라도 정부 보조금이 일주일에 2일만 지원돼 금전적으로 큰 혜택은 아니라는 지적도 함께 제기됐다.

한편 NSW 주 재무부는 “장시간 어린이집의 경우 연방정부로부터 보조금이 지원되고 있다”며 이를 반박했다.

 

김진연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프리스쿨 1).jpg (File Size:57.5KB/Download:21)
  2. 종합(프리스쿨 2).jpg (File Size:77.3KB/Download:2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417 호주 전 세계 여행자들이 선정한 최고의 호텔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19.02.07.
2416 호주 화끈, 짜릿, 스릴, 통쾌... 영화 장르의 새 지평을 연 자동차 액션 file 호주한국신문 19.02.07.
2415 호주 The 14 mistakes first-time visitors to Australia make file 호주한국신문 19.02.07.
2414 호주 ‘정기적 운동-체중감량’ 만으로 20만 건의 암 예방 가능 file 호주한국신문 19.02.07.
2413 호주 “RBA, 내년 중반까지 기준금리 두 차례 인하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19.02.07.
2412 호주 NSW 주 보건부, 호주 방문자에 ‘보험 가입’ 당부 file 호주한국신문 19.02.07.
2411 호주 시드니 북부와 동부, 30대 이후 출산 여성 가장 많아 file 호주한국신문 19.02.07.
2410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뉴트럴베이 아파트, 입찰자들 ‘눈치싸움’ file 호주한국신문 19.02.21.
2409 호주 중국인들, 뉴질랜드 여행 ‘보이콧’... 화웨이 통신장비 거부에 ‘보복’ file 호주한국신문 19.02.21.
2408 호주 미국, 대호주 주요 투자국으로 부상... 중국 넘어서 file 호주한국신문 19.02.21.
2407 호주 한 자동차 수집가의 ‘Aston Martin DB5’, 새 호주교통박물관 전시 file 호주한국신문 19.02.21.
2406 호주 호주인 40%, 해외여행 경험 없어... 그 이유는 무엇? file 호주한국신문 19.02.21.
2405 호주 시드니 가계 지출, 건강보험-의료비 지출 가장 크게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19.02.21.
2404 호주 NSW 주가 제공하는 가계생계비 부담 완화 정책들은? file 호주한국신문 19.02.21.
2403 호주 노동당 지지율 크게 하락... 노동당-연립 지지율 2%로 좁혀져 file 호주한국신문 19.02.21.
2402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올 들어 가장 많은 660채 주택, 경매 매물로 등록 file 호주한국신문 19.02.28.
2401 호주 주택 공급자들, 지난 10년 이래 가장 큰 매매가 할인율 보여 file 호주한국신문 19.02.28.
2400 호주 NSW 학교들, 장애 학생 급속 증가에 큰 ‘압박감’ file 호주한국신문 19.02.28.
2399 호주 임신 중인 자매의 뒷모습... 올해 인물사진 공모전 ‘최우수상’에 file 호주한국신문 19.02.28.
2398 호주 학부모들의 ‘school shopping’, 거주지 소재 하이스쿨 외면 file 호주한국신문 19.0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