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위폐 1).jpg

시드니 전역에서 다량의 100달러짜리 위조지폐들이 발견되고 있는 가운데, 우연히 소지하게 된 피해자들이 피해 보상을 호소하고 있다. 호주연방경찰(AFP) 및 호주중앙은행(RBA)은 ‘Suspect counterfeit banknote form’ 문서를 작성한 뒤 관련 증거와 위폐를 함께 동봉해 발송할 것을 당부하고 있다. 사진 : aap

 

엄격히는 배상 안 돼, 철저히 확인 후 의심되는 지폐는 거절해야

 

최근 시드니 각 지역에서 다량의 100달러짜리 위조지폐들이 발견되고 있는 가운데, 이로 인한 한인 상가들의 피해도 증가하고 있으며 피해를 본 스몰 비즈니스들은 이에 대한 손해를 호소하고 있다.

호주연방경찰(Australian Federal Police. AFP)은 전국적으로 불법 유통되고 있는 위조지폐가 정부, 사업체 및 개인 모두에게 심각한 피해를 줄 수 있으므로 각별한 주의를 필요하다며 화폐 범죄법 ‘Crimes (Currency) Act 1981’에 근거, 전국의 주(State), 테리토리(Territory) 및 연방 경찰에 위조지폐와 관련한 모든 사항을 적발 및 기소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했다. 해당 법은 국내 및 해외 화폐를 모두 포함한다.

호주중앙은행(Reserve Bank of Australia. RBA)도 연방경찰과 함께 위조지폐에 대한 공동관할권을 갖고 관련 사건에 협조하기로 합의했으며, 호주 위조지폐의 취소 및 재발행에 대한 책임을 담당하게 됐다.

RBA는 위조지폐를 알고 있으면서도 소유하고 있거나 사용하는 것, 알고도 신고하지 않는 경우 모두 불법에 해당되므로 위조지폐를 발견한 경우 반드시 가까운 경찰에 신고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또한 자신이 위조지폐의 유통에 연관되지 않았으며, 우연히 이를 소지하게 됐음이 증명될 경우 지폐에 해당하는 금액을 배상한다고 밝히고 있다.

 

▲위조지폐로 의심된다면?= 위조가 의심되는 동전, 지폐, 증권을 소지하게 된 경우 지역 경찰이나 각 주 및 테리토리의 연방경찰에 문의하고, 위폐를 소지하게 된 경위를 설명한 ‘Suspect counterfeit banknote form’, 그리고 관련된 모든 증거를 위폐와 함께 AFP 화폐부서(Locked Bag 4817, Somerton VIC 3062)로 우편 발송해야 한다. AFP는 범죄법에 의거, 사법당국이 요청한 전문 감정인으로부터 진위 여부가 가려지며, 이후 법원의 판결에 따라 위폐로 판명된 동전, 지폐 및 증권은 모두 재정부의 지시에 따라 AFP의 협조아래 폐기처분된다고 밝히고 있다.

의심화폐 신고 제출 서류는 https://www.afp.gov.au/sites/default/files/PDF/afp-suspect-banknote-submission-form.pdf를 통해 다운받을 수 있다.

 

▲위조지폐에 대해 배상받으려면...= RBA는 위조된 동전, 지폐 및 증권은 아무런 가치가 없고, 소지하는 것 자체가 위법에 해당되므로 주 또는 연방 경찰에 제출되어야 한다고 경고하고 있다. RBA는 화폐가 의심될 경우 이를 거절할 수 있어, 엄격히는 배상되지 않는다고 밝히고 있다. 그러나 우연히 소지하게 되어 배상을 원하는 경우, 위폐 범죄에 연루되지 않았음이 증명될 경우에만 해당 금액 전액을 배상받을 수 있다. 배상신청 단계는 다음과 같다.

1. 위폐를 안전히 보관한다 : 위폐로 의심되는 화폐는 최대한 만지지 않은 상태에서 봉투에 넣어 보관한다.

2. 소지 경로를 작성해 둔다 : 어떠한 경로로 이 위폐를 소지하게 되었는지에 대해 관련된 모든 정보를 최대한 자세하게 작성한다.

3. 즉시 주(State) 또는 연방(Federal) 경찰에 신고한다.

한편 위조지폐에 관련 사항은 RBA 문의전화(1800 633 220) 또는 banknotes@rba.gov.au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김진연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위폐 1).jpg (File Size:68.2KB/Download:38)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857 호주 ‘자선활동’ 버스커들의 ‘Strathfield Sessions’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19.02.07.
2856 호주 시드니 주택 구매 최적기는 ‘2008년’... 2년 전 판매자들, 수익 최대 file 호주한국신문 19.02.07.
2855 호주 호주인들, 주택가격 하락에도 부동산 시장 전망 ‘낙관’ file 호주한국신문 19.02.07.
2854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1/4 에이커 부지의 카슬힐 주택, 잠정가에서 $425,000 ↑ file 호주한국신문 19.02.07.
2853 호주 지난해 실업률 하락... 빅토리아-NSW 주 일자리 힘입어 file 호주한국신문 19.01.31.
2852 호주 “다문화 커뮤니티를 위한 기회 제공에 지속적 노력...” file 호주한국신문 19.01.31.
2851 호주 ‘전 세계 각 문화 장점들’로 다양성-조화 만들어가야... file 호주한국신문 19.01.31.
2850 호주 호주를 지도에 올려놓은 탐험가 플린더스 유해, 마침내 발견 file 호주한국신문 19.01.31.
2849 호주 미래세대는 은퇴 후 ‘그레이 노마드’의 삶을 살 수 있을까? file 호주한국신문 19.01.31.
2848 호주 ‘블룸버그’ 혁신지수서 한국, 6년 연속 최고 자리 차지 file 호주한국신문 19.01.31.
2847 호주 비만-영양실조-기후변화, 인류를 위협하는 가장 큰 세 가지 요소 file 호주한국신문 19.01.31.
2846 호주 NSW 주 정부, ‘Metro West’ 라인에 9개 역 마련 시사 file 호주한국신문 19.01.31.
2845 호주 NSW 주립도서관, ‘루프탑 레스토랑’ 개장 강행? file 호주한국신문 19.01.31.
2844 호주 NSW 주 정부의 ‘워털루 주거지 종합개발 계획’에 복지 단체 반발 file 호주한국신문 19.01.31.
2843 호주 NSW 주 지방도시들 주택가격, 지난 5년 사이 크게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19.01.31.
2842 호주 호주 ‘슈퍼리치들’ 자산, 1년 만에 1천600억 달러 늘어나 file 호주한국신문 19.01.24.
2841 호주 “견고한 유대감으로 공정하고 번창하는 미래 지향...” file 호주한국신문 19.01.24.
2840 호주 2018 HSC 성적표에 오타... NSW 주 정부, ‘사과’ 전해 file 호주한국신문 19.01.24.
2839 호주 올해 선보이는 각 자동차 회사들의 새 브랜드는...(3) file 호주한국신문 19.01.24.
2838 호주 Oversold Australia: Ten major attractions that don't live up to the hype file 호주한국신문 19.0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