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정전기념 1).JPG

한국전 정전 65년을 맞은 지난 7월27일(금), 무어파크(Moore Park) 소재 한국전참전기념비에서 거행된 기념식에서 윤상수 총영사와 데이빗 헐리(David Hurley) NSW 주 총독(Governor)이 헌화에 이어 묵념을 올리고 있다.

 

무어파크 한국전 참전 기념비서, 현지 청소년들 대거 참여

 

한국전 정전 65주년을 맞은 지난 7월27일(금), 무어파크(Moore Park)에 자리한 한국전 기념비 앞에서 대규모 기념행사가 개최됐다.

이 행사는 매년 정전일을 기해 NSW 한국전참전기념비관리위원회(NSW Guardians of the Korean War Memorial Committee, Moore Park, Sydney)가 진행해 오고 있으며, 올해에는 65주년을 기해 시드니총영사관(총영사 윤상수)이 행사를 후원, 한국전전 참전 호주군에 대한 한국정부의 위로와 감사의 뜻을 전달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이날 기념식에는 데이빗 헐리(David Hurley) NSW 주 총독이 특별히 자리를 함께 했으며 윤상수 총영사, 야당 내각의 린다 볼츠(Lynda Voltz) 보훈담당 의원, 마크 테일러(Mark Taylor) 주 하원의원을 비롯해 연방 보훈부, 국방부, 미국-터키-그리스-필리핀 총영사 등 참전국 12개국 영사단, 호주 재향군인 단체 및 동포단체 등 180여 인사가 정전일을 기념했다. 또한 버우드 걸스(Burwood Girls High School), 시드니 보이스 하이(Sydney Boys High School) 학생을 비롯해 동포자녀 청소년들이 참석해 합창과 성경 낭독, 시 낭송 및 의전을 맡아 선대의 희생을 기리는 일에 함께 했다.

이날 헐리 주 총독은 전 군 장성으로서 자신의 동료 군인들이 한국전에 참전했던 사실을 언급하면서 호주인들의 삶과 기억에 한국전쟁이 깊이 새겨져 있다고 말했다. 주 총독은 이어 “호주와 UN연합군 참전국들이 자유와 민주주의를 수호하기 위해 한국전에서 희생한 만큼, 이들은 물론 사랑하는 사람을 잃은 가족들을 항상 기억해야 한다”는 당부와 함께 한반도 평화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어 윤 총영사는 호주군의 희생과 헌신을 바탕으로 오늘날 대한민국은 경제 발전과 완전한 민주주의를 누릴 수 있게 되었음을 밝히고, 최근 남북정상회담과 북미정상회담으로 상징되는, 한국정부의 한반도 평화 정착을 위한 노력을 알렸다. 또한 문재인 대통령의 6.25 유엔참전용사 추모사를 언급하며 한국전 참전 호주용사들의 고귀한 희생에 감사를 표했다.

 

종합(정전기념 2).JPG

정전 65주년 기념행사에는 현지 청소년들도 대거 참석했다. 예비 군 후보생들인 시드니 보이스 카뎃(Sydney Boys High School cadet)의 헌화(사진).

 

‘NSW 한국전참전기념비’는 지난 2009년 NSW 주 정부와 한국정부, 시드니 한인동포의 오랜 노력으로 건립됐다. 기념비의 헌화대 석재는 호주군이 참전하여 승리를 거둔 가평 전투의 의미를 담아 한국 가평군에서 공수하였고, 2미터 높이의 금속으로 재생(Regeneration)의 의미를 형상화한 무궁화 조각 및 전사한 호주군인 340명 중 NSW 주 출신 136명을 상징하는 쇠막대 전시로 구성됐다.

호주는 한국전 발발 당시 미국에 이어 UN연합군으로서 두 번째로 한국을 위해 참전을 결정한 나라이다. 당시 호주는 육-해-공 3군에서 1만7천여 병력을 파병했으며 340명이 전사했다.

이날 정전 기념식에 참석한 이들은 “한국전은 호주와 한국을 이어주는 중요한 역사적인 사건”이라며 “점차 전쟁을 겪지 않은 세대가 늘어나고 있는 만큼, 이 같은 기념행사를 통해 전쟁의 교훈과 그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는 개인의 삶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 |
  1. 종합(정전기념 1).JPG (File Size:92.0KB/Download:12)
  2. 종합(정전기념 2).JPG (File Size:82.2KB/Download:15)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834 호주 호주 문화예술계 인사들, 한국 공예의 아름다움에 반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08.02.
833 호주 화제의 기업- 해외 송금서비스 ‘와이어바알리’ file 호주한국신문 18.08.02.
832 호주 캔버라서 펼쳐진 한국의 흥과 역동적 대중문화 file 호주한국신문 18.08.02.
» 호주 한국전 정전 65주년... ‘한반도 평화 중요성’ 재확인 file 호주한국신문 18.08.02.
830 호주 “잊지 않겠습니다” - 시드니 모어파크 한국전 정전 65주년 기념식 톱뉴스 18.08.03.
829 호주 서부호주 워홀 세미나 마련돼 톱뉴스 18.08.03.
828 호주 [심층진단 – 이민문호 축소, 한인 이민 희망자의 돌파구는?] 톱뉴스 18.08.03.
827 호주 서던골드, 한국 구봉금광 재개발 사업 가속화 톱뉴스 18.08.03.
826 호주 올해 ‘영 아치’에 동포자녀 어린이 최종 후보작 올라 file 호주한국신문 18.08.09.
825 호주 영화 ‘신과 함께 2’, 호주-뉴질랜드서 흥행 질주 file 호주한국신문 18.08.09.
824 호주 한인 여대생 반은지 살해범 “나는 무죄, (우발적) 살인은 저질렀지만...” 톱뉴스 18.08.09.
823 호주 <인터뷰> 장재곤 변호사 “쫓기면 안돼, 적성에 맞아야 미래 그릴 수 있어” 톱뉴스 18.08.09.
822 호주 “독립을 위한 선열들의 처절한 갈망과 희생이 광복 이끌어...” file 호주한국신문 18.08.16.
821 호주 ‘Australia-Korean Art Exhibition’ 개막, 8월23일까지 이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18.08.16.
820 호주 세계 일본군 위안부 기림일-소녀상 건립 2주년 기려 file 호주한국신문 18.08.16.
819 호주 장항준-전고운... 유명 영화인들, 시드니 관객과 만난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08.16.
818 호주 세계웅변대회, 호주 대표단 큰 성과 거둬 톱뉴스 18.08.18.
817 호주 테너 이용훈의 오페라 ‘아이다’ 톱뉴스 18.08.18.
816 호주 반은지씨 참혹한 살인사건... 가해자 '조현병으로 심신미약' 주장 톱뉴스 18.08.18.
815 호주 ‘한호정경포럼’, 오는 10월 포럼 예정... 주제는 ‘북핵문제’ file 호주한국신문 18.0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