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광복회).jpg

3차 남북 정상회담을 통해 나온 9.19 평양공동선언문 내용에 대해 광복회 호주지회가 적극적인 지지 입장을 표했다. 사진은 지난 8월 광복절 기념식에서 기념사를 하는 호주 지회 황명하 회장.

 

남북정상회담 선언문 직후 ‘평화-번영 위한 광복회 소원문 발표

‘3.1운동 100주년 공동 기념’ 환영, 이해 떠나 ‘민족’ 입장 천명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3차 정상회담을 통해 발표된 ‘평양 공동선언’ 내용에 대해 광복회 호주지회(회장 황명하. 이하 ‘광복회’)가 이 내용에 대한 적극 지지 입장을 밝혔다.

광복회는 금주 월요일(24일) “9.19 평양공동선언에 담긴, 내년 3.1운동 100주년 남북공동 기념을 환영하며,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 등 남북관계 발전에 관해서는 우리 국민이 이해관계를 떠나 민족을 먼저 생각할 때가 되었다”는 내용의 ‘한반도 평화-번영을 위한 광복회의 소원’(광복회 소원문)을 발표했다.

소원문에서 “광복회는 한반도 비핵화와 남북한 종전합의, 다양한 분야의 교류협력을 확약한 이번 3차 남북정상회담의 ‘평양공동선언’을 통해 발표된 내년 3.1운동 100주년 남북공동 기념을 적극적으로 환영한다”고 입장을 표한 뒤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 등 남북관계 발전에 관한 한 국민 모두가 이해관계를 떠나 먼저 민족의 입장에서 바라볼 때가 되었음을 천명한다”고 강조했다.

광복회는 “3차 남북정상회담을 통해 그동안 교착상태에 빠진 북미협상 재개의 외교적 성과와 함께 남북한 평화유지에 대한 북측의 열망도 충분히 확인된 만큼, 향후 지속적인 남북관계 개선 노력을 기대한다”며 “지난날 3.1운동을 비롯한 독립운동에 참여하신 선열들은 조국광복과 함께 지금처럼 분단된 조국이 아니라, 하나 된 한반도를 원했다. 선열들의 뜻을 받든 광복회는 남북 간 더 이상의 분단과 전쟁을 원치 않으며, 상호 이해를 바탕으로 한 평화와 번영, 통일을 염원한다”고 밝혔다.

이어 “대일 항쟁기 시급한 목표인 민족의 독립실현 앞에 하나가 되어 3.1운동의 기적을 이룬 한국인들의 후예답게 오늘날의 민족적 과업인 평화통일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여야의 모든 정당 또한 당리당략을 뛰어넘어 협력하여야 한다”면서 “이는 훗날 역사의 심판을 피하기 힘든 중대사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우리의 3.1 독립운동 선열들은 남녀노소, 빈부노농, 종교까지도 초월하여 민족적 대의 앞에 하나가 되었다. 그리고 오늘날 자랑스런 대한민국의 법통이 된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건립하는 역사를 남겼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광복회는 “한반도 평화의 디딤돌이자, 통일의 마중물이 될 ‘4.27 판문점 선언’은 남북이 성실히 이행해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우리 국민의 지지와 국회비준은 꼭 필요한 수순”이라며 “한국 국회가 지난 2014년 제정한 ‘남북관계 발전에 관한 법률’ 제21조에 명시된 국회의 의무를 성실히 이행해주기를 촉구한다”고 밝혔다.

 

  • |
  1. 종합(광복회).jpg (File Size:31.9KB/Download:19)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794 호주 주시드니 한국문화원, 영문 명칭 변경 호주한국신문 15.05.07.
793 호주 “호주 워홀러 참가자들의 꿈을 응원합니다” 호주한국신문 15.05.07.
792 호주 어번 카운슬, 무료 운동 강습 프로그램 운영 호주한국신문 15.05.07.
791 호주 ‘Auburn Career Advice Expo’ 개최 호주한국신문 15.05.07.
790 호주 어번 카운슬, 고령자 돌봄 서비스 제공 호주한국신문 15.05.07.
789 호주 호주 구세군, ‘2015 자선기금 계획’ 발표 호주한국신문 15.05.07.
788 호주 “시드니 주택가격 상승, 공급부족 때문 아니다” 호주한국신문 15.05.07.
787 호주 인도네시아 언론들도 자국 사형제도 비난 호주한국신문 15.04.30.
786 호주 ‘발리나인’과 함께 집행된 다른 6명의 사형수는... 호주한국신문 15.04.30.
785 호주 ‘발리나인’, 체포서 사형까지 10년 과정은... 호주한국신문 15.04.30.
784 호주 애보트 정부, 인도네시아 주재 호주대사 소환 호주한국신문 15.04.30.
783 호주 ‘발리나인’ 두 사형수 감형 노력 ‘물거품’ 호주한국신문 15.04.30.
782 호주 MCC NSW, 안작 100주년 기념식 개최 호주한국신문 15.04.30.
781 호주 호주 유명 레스토랑 근무했던 한인 워홀러 피해 호주한국신문 15.04.30.
780 호주 UTS, ‘북 이주학생 영어교육 장학 프로그램’ 발표 호주한국신문 15.04.30.
779 호주 ANU 스즈키 교수, 아베 총리의 ‘언어유희’ 비난 호주한국신문 15.04.30.
778 호주 전문가들, “호주 경제 위기 지속” 진단 호주한국신문 15.04.24.
777 호주 “호주 생활비, 19개 선진국 중 가장 높아” 호주한국신문 15.04.24.
776 호주 또 다시 발생한 워홀러 사망에 한인사회 충격 호주한국신문 15.04.24.
775 호주 ‘총선’ 노린 노동당, ‘경제 개혁안’ 선보여 호주한국신문 15.0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