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시소추).jpg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김복동 할머니 별세 소식이 전해진 직후 ‘시드니 평화의 소녀상 실천 추진위원회’가 스트라스필드에 마련한 분향소(사진)에는 동포 수십 명이 찾아 고인을 기렸다.

 

‘시드니 시소추’, 김복동 할머니 분향소 운영-추모제 개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로 이 사실을 세계 곳곳에 알리며 정의와 평화, 인권을 위해 투쟁해온 김복동 할머니가 지난 일요일(28일) 밤 별세하면서 한국 내에서 뜨거운 추모 물결이 일고 있는 가운데, 시드니에서도 김 할머니를 기리는 추모 행사가 펼쳐졌다.

‘시드니 평화의 소녀상 실천 추진위원회’(대표 염종영, 이하 ‘시소추’) 회원들은 스트라스필드 소재 한 장례 사무실에 분향소를 설치하고 화-수요일(29-30일) 이틀간(저녁 6시부터 9시까지) 운영했다. 아울러 수요일 저녁에는 고인의 큰 뜻을 돌아보는 추모제를 거행했다.

이틀간의 기간, 분향소를 찾은 시소추 회원 신준식씨는 방명록에 “하얀 목련꽃 김복동 할머니, 저희들에게 주신 용기와 희망을 가슴에 안고 끝까지 싸워 일본의 공식사죄를 받아내겠습니다. 늦게 펴 더 아름다운 꽃 목련꽃 김복동 할머님, 편히 잠드소서.”라고 애도의 글을 남겼다. 급박하게 마련한 분향소임에도 소식을 들은 동포 수십 여 명이 분향소를 찾아 고인을 기렸다.

김복동 할머니의 별세로 이제 한국에 생존해 있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는 23명이 남게 됐다. 이들은 생전에 일본의 공식 사과와 보상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피해자들의 인권과 명예회복을 위해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는 문재인 정부의 약속이 반드시 지켜지길 호소한다.

시소추는 지난 2016년 8월 6일, 해외 지역에서는 네 번째이자 호주에서는 첫 번째로 시드니 애쉬필드 연합교회(Ashfield Uniting Church)에 ‘평화의 소녀상’을 세웠다. 아울러 일본군 성노예 문제의 정의로운 해결과 평화의 소녀상 건립을 위한 국내외 연대 및 인간의 존엄과 평화를 지키기 위한 다양한 문화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 |
  1. 종합(시소추).jpg (File Size:53.5KB/Download:19)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714 호주 총영사관, 신년 첫 브리즈번 순회영사 계획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18.12.19.
713 호주 "한국인이 은퇴 후 가장 살고 싶은 나라 1위는 호주 톱뉴스 18.12.22.
712 호주 호주한인사회에도 분 한반도 평화의 바람 톱뉴스 18.12.22.
711 호주 [송년 특집-심층진단] 한반도를 바라보는 호주의 시각 톱뉴스 18.12.22.
710 호주 호주민주연합, 표창원 의원 초청 ‘토크 콘서트’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19.01.10.
709 호주 NSW 주 총리 등, 한인 동포들에 신년 인사 전해 file 호주한국신문 19.01.10.
708 호주 표창원 의원, 호주 동포들과 대한민국 미래 논한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01.17.
707 호주 블랙핑크, 호주 투어 확정 톱뉴스 19.01.21.
706 호주 정현, 호주오픈 2회전서 아쉬운 패배 톱뉴스 19.01.21.
705 호주 21대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 “재외선거인 등록 하세요” file 호주한국신문 19.01.24.
704 호주 ‘2.8 및 3.1 독립운동’ 기념식, 첫 주요 행사로... file 호주한국신문 19.01.24.
703 호주 올해 ‘시드니한민족축제’, 4월6-7일 탐벌랑 파크서 file 호주한국신문 19.01.24.
702 호주 故김복동할머니 豪시드니 추모제 file 뉴스로_USA 19.01.30.
701 호주 총영사관, 퀸즐랜드 도시 순회영사 일정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19.01.31.
700 호주 민주평통, 후반기 의장 표창 자문위원 격려 file 호주한국신문 19.01.31.
» 호주 “하얀 목련꽃 김복동 할머님, 편히 잠드소서...” file 호주한국신문 19.01.31.
698 호주 한국문화원, ‘선비 정신’과 관련된 음식문화 소개 전시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19.02.07.
697 호주 “임시정부의 독립선언서에 담긴 가장 중요한 가치, 이어가야...” file 호주한국신문 19.02.07.
696 호주 “열린문교회 운영위원(7명) 지명-임기는 교회 정관에 위배된 것” file 호주한국신문 19.02.21.
695 호주 선비 정신과 음식-공예의 조화... ‘선비의 식탁’ 전시회 개막 file 호주한국신문 19.02.21.